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3년 기상청에서 분류한 강수유발 기압유형을 근거로 1973년부터 2002년까지 30년간 전국 61소의 시간별 강수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강수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시간강수자료를 이용하여 강수의 시작과 종료를 정의하여 지속시간과 집중호우까지의 도달시간을 조사하였고 집중호우 발생 확률을 분석하였다. 지난 30년 동안 한반도의 강수현상을 조사한 결과 연평균 약 179회의 강수가 발생하였으며, 강수지속시간과 강수량은 각각 2.9시간과 7.1 mm로 나타났다. 저기압형에 의한 강수가 전체의 약 59%를 차지했고, 여름에는 장마형, 가을에는 전선형과 태풍형, 겨울에는 지세형의 강수가 나타나는 계절적 특징을 보여주었다. 태풍과 장마 등 열대기류와 관련된 강수유형들은 10 mm 이상의 강수량을 보인 반면에, 국지적인 규모로 나타나는 유형들은 5 mm 미만의 약한 강수량을 보였다. 전체 강수현상 중 집중호우로 이어진 경우는 1.24%로 호우 기준까지 약 12.9 시간이 소요되었다. 집중호우를 자주 유발하는 유형은 장마형과 저기압형으로 나타났으나, 발생 확률은 태풍직접형, 태풍변질형, 열대류수렴형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남해안 지역은 태풍직접형과 태풍변질형, 영동지역은 태풍직접형, 경기 및 강원북부는 태풍변질형, 열대류수렴형과 장마형이, 그리고 충청지역은 태풍변질형과 열대류수렴형에 의한 집중호우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상청에서 분류하였던 강수의 유형은 다소 주관적인 면을 가지고 있으나 한반도 강수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별 무리가 없었다. 특히 새롭게 분류를 시도한 열대류수렴형은 여름철에 많은 강수를 유발하는 기압계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용해본 결과 기존 방법보다 관입 화강암체의 위치와 그 규모를 알아내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수평적인 밀도 변화가 뚜렷하게 존재하는 지역의 경우, 새로운 중력 자료 처리 방법이 기존의 부게 보정에서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천부의 분해능을 높이고, 심부의 밀도 분포도 좀더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TEX〉 강도 크기가 탈수작용으로 인하여 서서히 감소한다. SEM 및 EDS분석에서 석고로 판단되는 방사상의 결정 집합체들이 침상과 주상의 결정들로 구성되어 있다. 꽃 모양의 구조를 보이는 GTb 시료는 EDS분석에서 Ca 성분이 검출되지 않는다. Ca 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 꽃 모양의 증발잔류광물은 사리염으로 판단된다.-CP군에 비해 높았다(P〈0.05). 결론: 저자들이 개발하여 위암수술 환자에 적용한 CP 프로그램은 재원기간을 줄이고 총 진료비를 감소시킨 반면 일일 진료비의 상승과 환자 및 의료진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 향후 다기관이 참여하는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 보다 적절한 표준진료지침을 개발하여 그 효용성을 객관화 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있을 때 C/C 13(23%), C/T & T/T 43(77%)이었고, 흡연력이 없을 때 C/C 5(12%), C/T & T/T 35 (88%)였다(P=0.189). 환자군 내에서 음주력 유무에 따른 MTHFR유전자형의 분포는 음주력이 있을 때 C/C 12(26%), C/T & T/T 33(74%)이었고, 음주력이 없을 때 C/C 6(12%), CT & T/T
        4,300원
        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시아의 동안에 위치한 한반도는 수리적, 지리적 요인에 의해 지역에 따라 강수현상 및 탁월 일기의 다소와 그 계절변화가 크다. 이러한 탁월한 날씨의 특징은 한국의 하계의 강수출현율과 그 순변화에 잘 반영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의 78개 관측지점의 하계강수량(1991~2003)의 순별 평균값에 대해 주성분분석법을 응용하여 하계강수량의 순변화형을 추출하고, 그의 공간스케일과 강수량의 다소에 따라 강수지역구분을 한 것이다. 주성분 분석에 의해 추출된 주성분 벡터와 진폭계수(Rs)에 따라 하계 강수량 순변화의 전형적인 특징은 두 개의 순변화형으로 표현되며 그 누적기여율은 64.3%이다. 또한 한국의 하계 강수량의 순변화형은 A~K형까지 9개가 추출되었고, 강수지역은 17개형으로 분류되었다.
        4,300원
        3.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annual and seasonal rainfall trends and patterns of the Punjab province, Pakistan during the 1981-2015. The spatial patterns and temporal trend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Modified Mann Kendall test. Finding revealed that 13 weather stations of Punjab province have show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ing trend of annual and summer monsoon rainfall during the study period. From further investigation, the rainfall during the summer monsoon period (JJAS) found to be increased by 12.45%, similarly the rainfall during the whole of year be also increased by 18.75%. The significant decreasing trends observed with the higher percentage change in annual and monsoon rainfall for the stations of Sialkot and Lahore in the northern and central Punjab. The empirical evidences suggested that northern Punjab gets more moisture as compared the Southern and Western Punjab. This study suggests intensive empirical research in the future to evolve further spatio-temporal trends in the rainfall pattern of Punjab.
        4.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precipitation patterns and diurnal variation trends of hourly precipitation intensity due to climate change. To that end, we used the hourly precipitation data obtained from 26 weather stations around South Korea, especially Busan, from 1970 to 2009.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ourly precipitation was concentrated on a specific time of day. In particular, the results showed the so-called “morning shift” phenomenon, which is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hourly precipitation during the morning. The morning shift phenomenon was even more pronounced when a higher level of hourly precipitation intensity occurred throughout the day. Furthermore, in many regions of Korea, including Busan, this morning shift phenomenon became more prevalent as climate change progressed.
        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spatio-temporal patterns of seasonal precipitation and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around Mt. Halla (1,950m) and their associations with elevation and aspect are examined based on daily precipitation data for the recent decade(2003~2012) observed at 24 weather stations in Jeju Island.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annul total precipitation and the annual frequency of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exceeding 80mm of daily precipitation increase with height by approximately 242mm/100m and 1.0day/100m, respectively. Seasonally,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over the high mountain area mostly occur in summer (June~August) and also appear in other seasons including winter (December~February). The frequency of annual or seasonal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as well as precipitation is higher in the southeastern or northeastern slope than in the southwestern or northwestern slope of Mt. Halla. These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the flow direction of moist air that ascends the slope of Mt. Halla when anticlockwise circulation of low pressure systems prevails. These findings provide primary information for developing the proactive strategies to mitigate potential flooding in the low-elevated coastal areas by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over Mt. Halla
        6.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luster analysis of diurnal precipitation patterns is performed by using daily precipitation of 59 stations in South Korea from 1973 to 1996 in four seasons of each year. Four seasons are shifted forward by 15 days compared to the general ones. Number of clusters are 15 in winter, 16 in spring and autumn, and 26 in summer, respectively. One of the classes is the totally dry day in each season, indicating that precipitation is never observed at any station. This is treated separately in this study. Distribution of the days among the clusters is rather uneven with rather low area-mean precipitation occurring most frequently. These 4 (seasons) × 2 (wet and dry days) classes represent more than the half (59 %) of all days of the year. On the other hand, even the smallest seasonal clusters show at least 5∼9 members in the 24 years (1973-1996) period of classification. The cluster analysis is directly performed for the major 5∼8 non-correlated coefficients of the diurnal precipitation patterns obtained b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consider the spatial correlation. More specifically, hierarchical clustering based on Euclidean distance and Ward's method of agglomeration is applied. The relative variance explained by the clustering is as high as average (63%) with better capability in spring (66%) and winter (69 %), but lower than average in autumn (60%) and summer (59%). Through applying weighted relative variances, i.e. dividing the squared deviations by the cluster averages, we obtain even better values, i.e 78 % in average, compared to the same index without clustering. This means that the highest variance remains in the clusters with more precipitation. Besides all statistics necessary for the validation of the final classification, 4 cluster centers are mapped for each season to illustrate the range of typical extremities, paired according to their area mean precipitation or negative pattern correlation. Possible alternatives of the performed classification and reasons for their rejection are also discussed with inclusion of a wide spectrum of recommended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