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both store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at large discount stores, and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each dimension of store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on satisfaction with PB apparel products and on repurchase intension.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264 large discount store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d buying PB apparel products at large discount sto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rchased PB items and image, improvement of PB apparel products showed differences by gender. Second, the dimensions for store attributes were categorized as convenient of shopping environment, product quality, customer service, advertising reach, convenient location, and reasonable prices. The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were categorized as material handling management, quality, fashion ability, and brand power. Third, generally, both store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at large discount stor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PB apparel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PB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males were partly affected by store attributes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PB satisfaction and repurchasing intention of females, however, were partly affected by only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not store attributes.
        4,800원
        3.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환위기 이후 급격한 출점과 성장을 해온 대형마트 점포수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지만 신규 출점은 계속적으로 지속될 전망이고 향후 대형마트 성장세는 둔화되나 점 포수 등 외형적 성장은 계속되는 가운데 상품 차별화 추구, 고객 니즈부응, 고마진획득 등이 지속적으로 가능해져 PB상품 개발이 불황 국면 극복을 위한 저성장 시대의 마케팅 전략의 하나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 된다. 또한 국내 3대 대형마트가 의류PB 브랜드 를 계속적으로 출시, 확장하고 있는 상황과 운영전략에 대해 연구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형마트의 PB의 성공사례와 문제점을 도출하여 PB의 필요성에 대해 차별화와 고이익 창출을 위한 성공 적 전략 방안을 논의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형 마트 PB의 개념과 전략 방안 및 성공사례와 전 망을 살펴보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빠른 성장을 보이는 PB를 단 순히 유통업체가 상품을 유통시키면 된다는 제한된 역할 수행에서 벗어나, 제조업체가 지닌 유통 채널에 대한 지배력을 얻을 수 있 다는 것을 의미 확장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미 세계 주요 선진 유통업체들은 자사의 상품차별화와 수익성향상을 위해 PB상품 개 발에 많은 노력을 쏟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국적전략 및 외형적 확장, 더불어 높은 재무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좋은 사례는 쉽게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할인점의 포화에 따른 새로운 대안을 위해서는 차별화된 PB운영 전략이 필요함을 국내3개 주요할인점 사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특히 의류 PB상품은 철저한 시장분석과 디자인트렌드 및 고객니즈를 반영한 상품개발로 차별화된 상품력 및 고마진 획득을 통해 출점 정체된 대형마트 지속성장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좋은 계기를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여 할 인점 출점 한계에 따른 새로운 상품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할인점 주요 3개사의 경영실적과 세계 몇 개국의 대표적인 PB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국내 전체 소매 산업에 일반화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향후에는 국내에 입점된 다국적 SPA 브랜드와 국내 할인점 PB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가치를 극대 화한 의류PB 확대전략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