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리】본 연구는 섀도잉 학습을 한국어 발음 교육에 적용할 때, 텍 스트가 학습자의 발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밝히기 위한 실험 연 구이다. 여기서 선정한 텍스트는 ‘구어체 텍스트’와 ‘문어체 텍스트’이 다. 즉 일상적인 대화를 위주로 하는 ‘구어체 텍스트’와 정보 제공과 설명을 위주로 하는 ‘문어체 텍스트’를 각각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 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 결과를 통하여 각각의 텍 스트를 활용한 효과와 두 집단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발음 교육에 섀도잉 학습을 적용할 때, 변수로 작용할 수 있는 텍스트에 대한 연구를 처음 시도하였다는 점과 또한 구어체 텍스트와 문어체 텍스트를 섀도잉 학습에 활용할 때, 각 텍스 트에 대한 효과와 두 텍스트를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에 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