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lture teaching is little included in the practice of teaching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which has lasted for a long time. Taking Chinese teaching in Shaanxi Normal University of China (a splendid university famous for Chinese teaching to foreigners) for example, the explanation and description of basic Chinese language uses i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in the teaching of reading,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whereas culture teaching is very limited. This results in low motivation for students to learn Chinese, who are then unable to adapt into the local community and culture, and therefore cannot increase their Chinese standards. Based on the theory of culture intelligence firstly put forth by Peterson, one would be influenced by culture intelligence if he studies, learns, and works in a non-native language environment, and culture intelligence is closely related to culture teaching. Students with high culture intelligence could perform better than those without. This thesis is aiming at discussing the present situation of China’s Chinese teaching to foreigners and giving suggestions based on Culture Intelligence Theory. Firstly, it will discuss the concept and values of culture intelligence. After that, it will discuss the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 lack of culture elements therein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 teaching and students. Finally, it will utilize Culture Intelligence Theory to make suggestions in related areas and explore students' Culture Intelligence cultivation standard as well.
        4,000원
        2.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외 한자교육은 대외한어(중국어)교육의 중요한 영역 중 하나이다. 역사적인 문화적 공통성으로 인해 대외한자교육 중 일본, 한국과 같은 한자문화권 국가들은 다른 국가들과는 다른 교육 관점과 방법을 가지고 있다. 본문은 상형 이론을 적당 히 응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고취하고, 형성 이론을 이용하여 한자 교육의 효율 을 증대함으로써, 공통 문화를 매개로 삼아 한자 배후에 숨겨져 있는 세 개 방면 을 분석함으로써 한자학에서 이미 이루었던 연구 성과와 대외 한자교육이 서로 결합되는 원칙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한자학의 연구 이론과 대외한자교육을 연결 시키는 과정 중에 “適度教學聯繫”을 전제로 한 것은 대외한자교재 개발에 있어 유효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대외한자교육 교재의 단점을 분석함에 있어 그 역 사와 현실적 원인을 분석하고, 향후 개발될 교재 편찬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였다.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