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다문화수용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전래동화 기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문화수용성의 차원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전래동화를 선정하여 총 12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체류외국인과 결혼이민자 수를 고려하여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태국 각 나라별로 이야기의 구조, 주제, 교훈 등이 유사하며 문화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각 나라의 대표 전래동화를 선정하였으며, 다문화수용성의 세 가지 차원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과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 다문화적 요소인 심미적 감성 역량과 공동체 역량에 중점을 두어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인식-내면화-행동’의 3단계로, 활동주제는 각 단계에 맞춰 ‘세계 전래동화 비교, 분석을 통해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찾기’, ‘다양한 활동을 통해 타인의 감정 이해하고 공감하기’, ‘차별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기르기’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서울특별시 성동구 소재의 E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을 때,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p<.05), 실험집단의 다문화수용성 사후검사 평균은 사전검사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활동지와 소감문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질적 효과성 평가도 병행한 결과, 다문화 가족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타인의 감정 이해, 차별에 대한 반성과 다짐, 행동 변화와 실천의지 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생 스스로도 자신의 인식이 개선되었음을 느끼며 반성과 다짐 등을 통해 공언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세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수용성 제고 교육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향후 다양한 세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학교현장에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2.
        201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화그림책의 흉내말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흉내말 특성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20명이며, 실시기간은 총 12주였다. 연구방법은 흉내말을 넣어 유아들이 이야기꾸미기 한 활동 자료를 수집한 뒤, 흉내말 범주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흉내말 특성 변화를 측정하고, 유아의 반응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래동화그림책의 흉내말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유아들의 흉내말 사용 빈도가 증가하였고 문장에서 다양하게 사용하는 특성을 보였다. 유아들이 사용한 흉내말의 의미적 특성에서는 실시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사용빈도가 점차 증가하였고 기존의 관습화된 흉내말과 새롭게 창조된 흉내말이 나타났으며 어감을 인식하는 특성을 보였다. 유아들이 사용한 흉내말의 형태적 특성에서는 실시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문장에서의 위치를 적절히 찾았으며, 반복적 형태가 주는 리듬감을 인식하였고, 새로운 흉내말을 창조하는 특성을 보였다.
        3.
        2011.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교수 학습 방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을 기초로 유아에게 적절한 전래동화를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5단계의 창의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고안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2개 학급 만 4,5 세 유아 33명을 선정하여 8주간 주 5회씩 총 40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래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교수 학습 방법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전래동화를 들려주기만 한 통제집단 간 유아의 창의성 및 창의성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과 언어의 결정적 시기에 있는 유아들에게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전래동화에 대한 다각적 연구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4.
        2011.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래동화의 도덕적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영천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유치원 2개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6명으로 실험 집단은 A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8명(남: 14명, 여: 4명)이며, 통제 집단은 B초등학교병설유치원 유아 18명(남: 15명, 여: 3명)이었다. 도덕적 판단력 검사일을 기준으로 하여 실험집단의 평균연령은 6년 3개월, 통제집단의 평균연령은 6년 2개월이었다. 실험 집단은 3그룹으로 나누어 11주간 토의활동을 18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래동화의 도덕적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행동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5.
        2007.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개작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파주시 소재 공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2명이었으며, 실험집단 유아에게 8주간 주 3회씩 전래동화를 듣고 개작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조망수용능력 검사도구와 개작활동을 위한 전래동화 8편을 사용하였고,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for Windows 12.0 프로그램으로 통계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은 인지 조망수용능력과 감정 조망수용능력에서 전래동화를 활용한 개작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전래동화를 활용한 개작활동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