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mented tungsten carbide has been used in cutting tools and die materials, and is an important industrial material. When the particle size is reduced to ultrafine, the hardness and other mechanical properties are improved remarkably. Ultrafine cemented carbide with high toughness and hardness is now widely u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synthesis of nanostructured WC-Co powders by liquid phase method of tungstate. The precursor powders were obtained by freezen-drying of aqueous solution of soluble salts, such as ammonium metatungstate, cobalt nitrate. the final compositions were WC-10Co. In the case of liquid phase method, it can be observed synthesis of WC-10Co. The properties of powder produced at various temperature, were estimated from the SEM, BET and C/S analyser.
        4,000원
        2.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상법으로 형광체를 합성하였다. 모체 물질은 La2W3O12에 활성제로 Eu3+이온을 첨가하여 활성제 조성 변화에 따른 XRD 분석과 여기 및 방출 스펙트럼 및 온도에 따른 형광 스펙트럼 분석과 수명시간을 측정하였다. La2W3O12:Eu3+의 1 mol%의 XRD 스펙트럼은 ICSD 카드 (78180)에 보고된 데이터 스펙트럼과 비교하였을 때 XRD 스펙트럼이 잘 일치함을 확인 하였다. La2W3O12형광체에 활성제로 Eu3+이온 1 mol%를 첨가한 여기 스펙트럼에서는 286 nm 근처에서 286 nm 넓은 전하전달밴드가 관찰된다. 이 전하전달밴드는 WO4그룹과 Eu3+이온의 전하 전달 밴드이며 O2--W6+,O2--Eu3+의 ligand-to-metal 전하 전달 흡수가 이루어진다. 350〜500 nm 영역에서는 Eu3+의 f-f 전이에 의한 피크가 나타났다. 여기 스펙트럼에서 Eu3+의 7F0 → 5D4,5D4,5L6,5G4,5D3,5D2전이에 해당한다. 방출 스펙트럼은 280, 395 nm로 각각 여기한 결과 Eu3+이온의 5D0 → 7F2(618nm)에서 강한 피크가 보였다. 희토류 이온이 도핑 되지 않은 La2W3O12형광체를 266 nm로 여기하여 온도에 변화 따른 방출 스펙트럼은 저온에서 상온으로 갈수록 형광의 세기가 약하게 나타났다. 온도에 따른 수명시간은 7 K(114 μs), 100 K(94 μs), 200 K(10 μs), 300 K(0.5 μs)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