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기 성인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열등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 상향비교와 SNS 이용동기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각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설문지를 구성한 후, SNS를 이용하는 초기 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35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건부 자아존중감, SNS 상향비교, SNS 이용동기, 그리고 열등감은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조건부 자 아존중감이 열등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SNS 상향비교는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SNS 상향비교와 열등감의 관계에서 SNS 이용동기의 조절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건부자아존중감이 SNS 상향비교를 매개로 열등감에 미치는 간 접효과를 SNS 이용동기의 영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성인이 열등감을 경 험하는 것과 관련하여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조건부 자아존중감은 외재적 동기에 부합할 때 조건적으로 유지되는 자아존중감이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인스타그램 이용자 3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인스타그램에서의 상향비교의 간접효과를 검증하는 매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일주일간 경험하는 우울 경험이 높았으며, 이는 인스타그램 내 상향 비교에 의해 설명되었다. 이는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높은 이용자일수록 인스타그램에서 자신보다 우월해 보이는 이용자와 자주 비교하며 이로 인해 더 우울해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SNS 이용자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개인차 변인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SNS 이용자의 우울감에 대한 기존 연구를 확장한 의의를 논의하였다.
Background: The serratus anterior (SA) muscle is one of the important muscles in the upward rotation of the scapula when the arm is raised. Insufficient muscle activity of the SA can cause deformation of the shoulder rhythm resulting in shoulder pathology. Objects: This study intends to compare SA and upper trapezius (UT) activity during the conventional wall-slide and push-up plus exercises for SA muscle strengthening and the scapular upward rotation (SUR) exercise. Methods: A total of 30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measur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SA and UT muscles during the wall-slide, push-up plus and SUR exercises. The one-way repeated ANOVA was used to compare SA and UT muscle activities during the 3 exercises. Results: During the SUR exercise, SA muscle activity was 79.88%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ts activity during the other 2 exercises. The UT muscle activity was 47.53 %MVIC during the SUR exercise, indicating a significantly higher UT muscle activity than during the other 2 exercis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UR exercise can maximize SA muscle activity to strengthen the SA while keeping UT muscle activity at an appropriate leve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levels of the scapular upward rotators [upper trapezius (UT), lower trapezius (LT), and serratus anterior (SA)] and other scapular muscles [posterior deltoid (PD), levator scapulae (LS), and infraspinatus (IS)] during isometric lower trapezius exercises. Twenty males with no medical history of shoulder pain or upper extremity disorder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EMG activity was recorded from the UT, LT, SA, PD, LS, and IS while subjects performed three different exercises: Prone arm lift (PAL), Backward rocking diagonal arm lift (BRDAL), Modified Prone Cobra (MPC).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determin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exercises. A lower relative activation of UT, LT, and SA was seen with the MPC than with the other exercises (p<.05). The relatively lower activation of the UT identified, the MPC exercise as the preferred choice for preferential strengthening the LT (p<.05). However, a higher activation in the PD, LS, and IS occurred with the MPC than with the other exercises (p>.05). The recruitment pattern of synergist varied depending on the exercise postu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ercise postur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election of strengthening exercise for weak mus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