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건부 자아존중감은 외재적 동기에 부합할 때 조건적으로 유지되는 자아존중감이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인스타그램 이용자 3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인스타그램에서의 상향비교의 간접효과를 검증하는 매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일주일간 경험하는 우울 경험이 높았으며, 이는 인스타그램 내 상향 비교에 의해 설명되었다. 이는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높은 이용자일수록 인스타그램에서 자신보다 우월해 보이는 이용자와 자주 비교하며 이로 인해 더 우울해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SNS 이용자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개인차 변인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SNS 이용자의 우울감에 대한 기존 연구를 확장한 의의를 논의하였다.
        4,300원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part of the short-period variability survey (SPVS) at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 tory, we obtained time-series BV CCD images in the region of the open cluster NGC 1039 (M34). The observations were performed for 22 nights from July 29, 2008 to September 26, 2010. We also made LOAO observations for 10 days from September 18, 2009 to October 30, 2010 to confirm the small variabilties of δ Scuti-type variable stars. In this paper we presented the observational properties of 28 variable stars found in the region. They are seven δ Scuti-type variable stars, two Doradus-type variable stars, four- teen eclipsing binary stars and five semi-long periodic or slow irregular variables, respectively. Only three variables were listed in the GCVS and the rest are newly discovered ones. We have performed multiple- frequency analysis to determine pulsation frequencies of the δ Scuti-type and ɤ Doradus-type variable stars, using the discrete Fourier transform and linear least-square fitting methods. We also have derived the periods and amplitudes of 12 eclipsing binaries from the phase fitting method, and presented the light curves of all variable stars.
        4,300원
        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s the second paper on a systematic search for variable stars in Cyg OB3 region.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observational properties of 46 variable stars found in the region. Among them, 27 are eclipsing binaries and others are semi-long periodic or slow irregular variables. Only 5 are known variables and the rest are newly discovered ones. We have obtained the period and amplitude of 20 eclipsing binaries using the phase fitting method, and present the light curves of 46 variable stars.
        4,200원
        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part of the short-period variability survey (SPVS) at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we obtained time-series BV CCD images in the region of Cyg OB3 association centered on the open cluster NGC 6871. The observations were performed for 18 nights from September 5, 2008 to September 1, 2009. We found 15 short-period variable stars in the region. They are δ Scuti type stars belonging to the local spiral arm, Orion spur. Among them, only two stars were previously known, and the rest are newly discovered ones. In this paper, we have performed a multiple-frequency analysis to determine frequencies of the 15 δ Scuti type stars, using the discrete Fourier transform and linear least-square fitting methods. One of the newly discovered variable stars is a double-mode δ Scuti type star with the fundamental and the first overtone modes, and two are high amplitude δ Scuti stars.
        4,200원
        8.
        2015.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처리 방법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재활용되지 못하는 폐기물 및 처리되지 못하는 폐기물들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의 발생 특성 때문에 미래에도 폐기물 매립지는 폐기물 처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폐기물 매립지의 중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폐기물 매립 시 무분별한 매립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표적으로 폐기물 매립지에 반입된 폐기물은 계량대에서 중량을 측정한 후 매립되어 진다. 그러나 매립 후에는 폐기물 매립지의 용량을 부피로 관리함으로 인하여 중량으로 반입된 폐기물에 밀도를 적용하여 부피로 환산하나 밀도의 부정확성으로 인하여 매립량 통계에 오차가 발생하거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외에도 매립작업 시 다짐 밀도 및 잔여용량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향후 매립가능 연한 산정 및 폐기물 매립지 수요 예측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립지 진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는 3D 레이저 스캐너를 개발하였다. 3D 레이저스캐너는 카메라 멀티 측정을 이용한 삼차원 영상취득 방법과 비교하여 더욱 정밀하고 주변 조명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아 낮과 밤 구분 없이 옥외에서 지형정보 등의 삼차원 형상 측정이 가능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3D 레이저 스캐너를 실제 폐기물 매립지 현장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측량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정확성은 평균 97.5%, 표준편차는 평균 3.8%로 나타나 매우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존의 측량방식은 정해진 시간동안 측량이 가능한 측정 지점의 수가 하루 몇 지점 정도로 한정되어 있으나 레이저 스캐너는 그 단점을 극복하고 같은 시간 동안 측량 가능한 측정 지점의 수가 수천 지점 이상 가능하므로 매립용량 측정에 훨씬 효과적이며, 지속적으로 매립용량을 측정함으로서 폐기물 매립지의 침하량도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페기물 매립지 용량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적으로 폐기물 매립지의 정확한 사용가능연수 파악 가능 및 구체적인 폐기물 매립지의 필요 지자체가 파악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효율적인 국토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폐기물 매립지에서의 매립밀도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지속적인 부피 및 침하량의 측정은 폐기물 매립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여러 물리화학적 반응 및 생물학적 반응과 연계한 폐기물 매립지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9.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홍수 저감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농경지의 저류지화를 통한 홍수저감 방안에 대한 정책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하천의 횡적 공간을 확보하여 저류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실효성 검증을 위해 낙동강구미 상류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극한홍수에 대한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홍수저감효과분석에는 LISFLOOD 모델이 사용되었으며 과거 침수이력이 있는 농경지를 저류지로 활용 하였을 경우 500년 빈도 홍수 발생 시 최대 약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