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L1 Chinese speakers of Korean acquire Korean embedded clauses with wh-expressions. Korean embedding verbs tutta ‘listen’ (Propositional-selecting predicate class) and kwungkumhata ‘wonder’ (Question-selecting predicate class) subcategorize for different types of complements which are defined by declarative complementizer ta or interrogative complementizer nunci. Tutta takes declarative or interrogative clauses and kwungkumhata can take only interrogatives. Experimental stimuli consisted of 12 embedding clauses by tutta (6 ta complementizer items and nunci complementizer items) and 12 embedding clauses by kwungkumhata(6 ta complementizer items and nunci complementizer items). Sixty three 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speakers of Korean(CK)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40 Korean native speakers(NK) participated as a control group. CK subjects were divided into 31 CK high group and 32 CK low group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Korean proficiency. The acceptability judgment among 3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utta-nunci condition and kwungkumhata-ta condition. The result showed that different learning principles were applied depending on the proficiency of learners. CK high group accepted the wh-embedding sentences in accordance with the semantic meaning of matrix verbs and type of wh-embedding clauses. However CK low group were not sensitive enough to discern the different linguistic context of wh-embedding sentences and rather accepted most of the given sentences.
엘리엇 시 「크리스마스트리의 재배」에 나타난 경이로움과 두려움은 다소 밝고 교훈적이어서 성당에서의 살인에 나타난 경이로움과 두려 움만큼 무겁고 장중하게 느껴지지 않고 있다. 성당에서의 살인에서는 슬퍼해야 할 죽음과 즐거워해야 할 탄생이 평화나 구원 등 기독교의 신 비로 연결되고 있지만, 「크리스마스트리의 재배」에서는 이러한 신비가 아동에게는 경이로운 체험이면서 동시에 두려움으로 정의되고 있어서이 다. 결국 「크리스마스트리의 재배」는 노년과 아동의 순수함과 단순성을 찬양하며 성자 루시의 삶과 순교를 신비롭게 조명한다. 이러한 신비는 아동에게 경외심을 주던 같은 신비이며, 이를 잃어버린 영혼과 세상에 대한 심판을, 즉 죽음의 두려움을 초월한 아동의 순수한 즐거움과 겹쳐 있다. 우선 경이로움이 놀라워 두려움으로 느껴지고, 그리고 두려움은 냉혹한 삶의 현실과 죽음에서 오는 모순이다. ‘크리스마스트리’가 엘리 엇에게 주는 의미는 천사의 예언과 함께 온 예수의 탄생 그리고 아이의 신비로운 경험, 그리고 살며 겪어야 할 수난과 영광, 이어 노년의 행복 한 죽음과 평화에서 찾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