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many high-stakes testing situations, test-takers are not allowed to draw on external writing resources while writing, a practice observed more frequently in classroom settings. This may pose problems with the representativeness of test tasks and score interpreta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omain definition of one particular test known as the English Placement Writing Test within an argument-based validation framework. Focusing on the domain definition inference, the following rebuttal was evaluated: Certain essential contextual factors in the academic writing domain are not modeled in the test tasks. To do so, lower- and intermediate-level ESL students (n=92) who previously took the test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regarding their uses of computerbased and face-to-face human-assisted writing tools.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at both levels were statistically similar in their attitudes toward and uptakes of such tools while writing. The difference in availability of external writing tools between the target and test domain may point to issues with task authenticity of the test.
        5,500원
        2.
        2012.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보조의자 및 손 보조도구를 통하여 칸나반병 아동의 미리쓰기(pre-writing)에 필요한 손기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만 5세의 카나반병 아동으로 8주간, 주 3회, 회당 20분의 고전적 작업치료 및 10분의 손 보조도구를 착용하여 실시하였다. 치료시간 30분 동안 아동은 보조의자에 계속 앉아 있었다. 아동의 발달력, 손기능 및 시지각 기능을 살펴보기 위해 치료 전, 치료 4주 후, 치료 8주 후로 총 3번에 걸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한국판 덴버 발달 판별 검사(K-DDST)의 미세운동-적응 영역에서 2개월의 수준 향상을 보였다.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에서 일반적 시지각 지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운동감소 시지각 지수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시각-운동 통합 지수에서도 향상을 보여 손기능의 정확성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결론 : 카나반병 아동을 대상으로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작업치료 중재를 한 결과 손기능 및 시지각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카나반병 아동을 대상으로 보조도구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가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 작업치료분야에서는 이러한 증례가 보고된 적이 없기에, 저자들은 카나반병 아동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조도구 사용 전후 아동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