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 이루어진 주대(周代)의 종묘(宗廟) 연구에서의 핵심 논의는 다음과 같다. 적어도 주나라 때에는, 현재 일반적으로 정의된 ‘종묘는 왕실 사당이다.’ 라는 개념이 형성되기 이전이었으며, 당시 그것은 통치자의 거소 기능을 하던 곳이었다. 따라서 『논어』와 같은 선진시대(先秦時代)에 성서(成書)된 고전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종묘가 언급되는 부분에서는 기존의 제사와 관련된 일방적인 해석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역설(力說)하였다. 주대의 묘(廟)는 천자(天子)로부터 사(士) 계층까지, 통치자와 상·하급 관료 누구나 지닐 수 있었던, 정전과 편전 내지 사랑채 등의 기능을 하던 건축물이 었다. 당시 예(禮) 의식의 주체에서 배제된 서인(庶人) 이하의 계층에서는 고비용이 드는 묘를 굳이 소유할 필요가 없었다. 한편, 선진시대의 사 계층은 자신들의 묘에 ‘종(宗)’자를 부가하여 종묘라고 칭할 수 없었다. 그것은 작위와 영토를 상속받은 자의 묘일 경우에만 종묘라고 칭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여기서의 ‘종’이란, 봉지와 신분의 시작을 열었던 ‘조(祖)’의 상대어로서, 종은 바로 그 조의 대대손손 사자(嗣子)나 사손(嗣孫)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사대부 가문의 사당으로 인식되어 온 ‘가묘(家廟)’는, 실상 당대(唐 代) 이후의 기록들에서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아울러 그것은 주나라 때의 가(家)라고 하는 영지 내에 있는 ‘대부(大夫)의 묘(廟)’의 의미로 쓰인 것은 물론 아니다. 주대의 묘와 종묘 안에는 주요 건축물인 당(堂)이 있다. 고대(高臺)의 건축물이라는 유사한 형태의 전(殿)과 당은, 그 주인 신분의 높고 낮음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해 왔지만, 전국시대 말 이전까지는 전의 존재가 보이지 않는다. 아울러 당시에는 천자 제후 대부 등 각각의 신분에 따른 건물명을 따로 구분 하여 쓰지 않았다.
        6,700원
        2.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understand Xǔ Shèn’s 許慎 contribution to the analysis of the Chinese writing system,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terminology he uses in his Shuōwén jiězì 說文解字 (100 AD). In this paper I shall focus on the term shěng 省. Scholars who have studied the problem of shěng 省 in Shuōwén usually tried to reveal the mistakes either made by Xǔ Shèn or added later to the tex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graphs in traditional liùshū approach, paleography, as well as phonological reconstructions. i Most of these authors may be right in their critical investigation of shěng 省, there are indeed many mistakes in Xǔ Shèn’s graphic analysis, but none of them considered the problem as a whole or tried to understand what was the real reason for Xǔ Shèn to use this term. Shěng 省is a rather complex term with different significations, such as ommission, abbreviation, fusion, etc. I shall first clarify the meanings and uses of shěng in Shuōwén, before trying to understand why Xǔ Shèn needed this special term. We will see that despite many mistaken graphic analysis, already described by Chēn Shìhuī 陳世輝 (1979), Qiú Xīguī 裘錫圭 (1988), and others, shěng 省was an important tool for Xǔ Shèn’s methodological approach to the Chinese writing system that also shows his deep knowledge of the evolution of the script.
        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