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이용한 한국, 중국, 일본의 우제목 연구 동향 분석 The Tresnds of Artiodactyla Researches in Korea, China and Japan using Text-mining and Co-occurrence Analysis of Words

이병주, 김백준, 이제민, 어수형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55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3권 제1호 (2019.02)
pp.9-15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우제목은 짝수 개의 발굽을 갖는 포유동물로 다양한 종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멧돼지, 고라니와 같은 야생 우제목 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 로드킬 등의 급증과 산양, 사향노루 등 일부 종의 개체수 급감으로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우제목 관련 국내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국내 우제목의 연구 동향 분석도 이루어지지 않아 실질적인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 연구 동향 분석에 있어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분석은 연구 문헌들에서 나타나는 주요 단어들을 추출하고 단어들 간의 연관성을 정량화하는데 활용되고 있으며, 연구 주제의 분류에 있어 객관성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분석을 통해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우제목 연구 논문을 분석하고 국가별 연구 주제를 비교하여, 국내 우제목 연구에서의 부족한 점과 향후 필요한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국가별로 우제목과 관련된 연구 논문을 검색하여 수집한 665편의 논문들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결과, 총 199개 단어가 추출되었다. 추출된 단어들에 대한 동시출현단어분석 결과 3개의 단어군이 형성되었다. 각 단어군에 포함된 단어들을 살펴본 결과, 단어군1은 “서식 환경/생태”, 단어군2는 “질병”, 단어군3은 “보전유전학/분자생태”와 관련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별로 각 단어군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중국과 일본은 비교적 고른 단어군 비율을 나타낸 반면, 한국은 “질병”과 관련된 단어군2의 비율이 69%로 상당히 큰 편중을 나타내었다. 연도에 따른 각 단어군별 단어수 회귀 분석 결과에서도 중국과 일본은 3개의 단어군에 해당하는 단어수가 시간 경과에 따라 비교적 고르게 증가하였지만, 한국은 단어군2의 증가율이 나머지 단어군의 5배 이상을 나타냈다. 국내 우제목 연구는 중국과 일본에 비해 질병과 관련된 연구 위주로 진행된 것으로 판단되며, 서식 특성, 행동, 분자생태를 포함한 연구는 매우 적게 수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국내 야생 우제목 동물에 의한 피해 조절과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한 합리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 야생 우제목에 대한 생태 연구를 집중적으로 실시하여 기초생태 자료를 축적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Artiodactyla, which is an even-toed mammal, widely inhabits worldwide. In recent years, wild Artiodactyla species have attracted public attention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crop damage and road-kill caused by wild Artiodactyla such as water deer and wild boar and the decrease of some species such as long-tailed goral and musk deer. In spite of such public attention,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Artiodactyla in Korea, and no studies have focused on the trend analysis of Artiodactyla,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actual problems. Many recent studies on trend used text-mining and co-occurrence analysis to increase objectivity in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subjects by extracting keywords appearing in literature and quantifying relevance between words. In this study, we analyzed texts from research articles of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text-mining and co-occurrence analysis and compared the research subjects in each country. We extracted 199 words from 665 articles related to Artiodactyla of three countries through text-mining. Three word-clusters were formed as a result of co-occurrence analysis on extracted words. We determined that cluster1 was related to "habitat condition and ecology", cluster2 was related to "disease" and cluster3 was related to "conservation genetics and molecular ecology".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rates of occurrence of each word clusters in each country showed that they were relatively even in China and Japan whereas Korea had a prevailing rate (69%) of cluster2 related to "disease". In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number of words per year in each cluster, the number of words in both China and Japan increased evenly by year in each cluster while the rate of increase of cluster2 was five times more than the other clusters in Ko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researches on Artiodactyla tended to focus on diseases more than those in China and Japan, and few researchers considered other subjects including habitat characteristics, behavior and molecular ecology. In order to control the damage caused by Artiodactyla and to establish a reasonable policy for the protection of endangered species,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basic ecological data by conducting researches on wild Artiodactyla more.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1. 국가별 우제목 관련 연구 논문 서지 정보 수집 결과
  2.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분석 결과
  3. 국가별 연구주제 비교 분석 결과
  4.종합 고찰
 REFERENCES
Author
  • 이병주(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Byeong-Ju Lee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
  • 김백준(국립생태원 환경영향평가팀) | Baek-Jun Ki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이제민(국립생태원 포유류연구부) | Jae Min Le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어수형(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Soo Hyung Eo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