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또래 유능성 KCI 등재후보

Teacher's Perception o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15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아교육연구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초록

이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2개 공립유치원 3학급과 대전에 소재한 3개 공립유치원 3학급에 재원중인 만 5세 학급 유아 146명(남아: 71명, 여아: 7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사유아 관계 평가의 갈등, 친밀감, 의존척도에서 교사에 의한 지각 정도와 유아의 또래 유능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교사-유아 관계에 대하여 교사는 교사-유아 관계가 비교적 원만하며 긍정적이라고 지각하고 있었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관계의 성향은 남아와는 갈등이 높은 편이고 여아와는 친밀감이 높은 편이며 의존은 여아보다 남아와의 관계에서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유아 관계의 지각정도와 유아의 성별에 따른 또래 유능성에 대하여 이원변량분석 결과, 갈등, 친밀감, 의존 척도 모두에서 교사의 지각 정도와 유아의 또래 유능성 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척도 별로 보면 교사의 갈등의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은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 모두에서 주효과를 보이며 차이가 있었다. 친밀감의 지각정도는 친사회성과 주도성에서 유의한 주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친사회성에서는 교사의 지각정도와 유아의 성별 간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의존의 지각정도는 친사회성에서 유의한 주효과를 보이며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ren's peer compet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conflict, closeness, and dependency sub-scale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differences by gender. Participants were 146 kindergarteners (boys: 17, girls: 75) of 2 public kindergartens in Seoul, 3 public kindergartens in Daejeou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their teacher-child relationships as relatively positive and effective. The tendency of relation with boys showed higher conflict than girls, and girls showed higher closeness than boy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endency between boys and girls. Second, as the result of two-way ANOVA,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s were found out all significant in conflict, closeness and dependency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gender. There were all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bility, prosocial behavior, and leadership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of conflict. Prosocial behavior was different with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of dependenc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and children's gender.

저자
  • 단현국(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Dan, Hyun K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