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산 구랑동 유적 성격에 대한 검토

The Review on the Characteristic of Busan Gurang-Dong Remai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1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이 글은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미음지구부지 문화재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조사구역 전체를 감싸는 형태의 체성부가 확인되었으며 조사구역 남-북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조사구역의 동쪽은 석축으로, 서쪽은 토축으로 체성을 축조한 형태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남쪽 토축구간 및 동쪽 석축구간에서 각 1개소씩 문지 2개소가 확인되었으며 인수구와 퇴수구가 갖추어진 배수시설이 북쪽 체성부 및 동쪽 체성부, 동문지에서 확인되었는데 체성부에서 확인된 수구는 정방형 및 장방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동쪽 체성 인수구의 좌우로 길이 약 28m, 폭 50㎝ 크기의 석열이 이어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 석열의 기능은 성내에 차서 흘러내리는 우수로부터 체성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구릉 정상부에서 확인된 체성부를 중심으로 조사대상지의 서쪽과 남쪽을 아우르는 형태로 외황으로 추정되는 완만한 ‘V'字형의 구상유구가 확인되었다. 구상유구의 전체 길이는 약 110m이고 폭은 약 3~5m, 잔존깊이는 약 1.2~2.0m 이다. 출토된 유물은 기와편 및 자기편으로 기와편이 다수를 차지한다. 출토기와의 문양은 어골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자기류는 청자편, 백자편 및 분청사기편이 확인된다. 구랑동 유적은 고려시대 州鎭城과 함께 군사적 주요 거점에 설치된 일종의 감시초소의 역할을 하였던 戍의 성격을 띠는 유적으로 판단된다. 고려는 건국초기부터 신영토의 개척과 방비를 위하여 주요지점에 주진성을 점진적으로 축성하였는데 주진성은 거주성으로 치소나 군창 등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보다 평면둘레가 작았던 수는 둘레 100~200m의 토성 또는 석성으로 축조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각각의 주진성의 관할 하에 있었다. 구랑동 유적은 해안지역의 요충지인 이곳에 전방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戍를 설치, 운영하였던 것으로 생각되며 고려전기에 동, 남해안을 약탈하여 막대한 피해를 주었던 동여진 해적에 대한 대비 목적과 더불어 점차 동여진의 침입이 줄어들고 일본과의 교섭이 진행되면서 점차 내왕이 잦아지자 이에 대한 경계의 목적도 있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argeted on Gurang-Dong remains identified during the excavation of Mieum district remains in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re was a rampart covering the whole research area, its east and west side were built with stone and earth respectively. And 1 gate each was found in earthen embankment on the south, and stone embankment on the east, water supply facilities equipped with inlet and outlet were found in north and east rampart and east gate, in particular water hole found in rampart was square and rectangular. Stone line wa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of water hole on the east main castle, and possibly its function was to protect the main castle against rainfall running down from castle. And 'V'-shaped moat located in the center of rampart found in the top of hill was found, and it run from the west to the south. The total length of moat was about 110m, its width and depth was about 3~5m and about 1.2~2.0m respectively. There were artifacts excavated from this area such as roof tile, porcelain, and so forth. Earthenware was usually fishbone-patterned. For porcelain, there were celadon, white porcelain, grayish-blue-powdered celadon. It is decided that Gurang-Dong remains played a role of observation post installed in main military base together with Jujin based fortress. Goryeo built Jujin based fortress in main point to develop new land and defend the nation since it was established, Jujin based fortress which was for the residence included Chiso or military storage, and each border-guarding post built with earth or stone, which has smaller circumference(100~200m), was under the jurisdiction of Jujin based fortress. It is considered that Gurang-Dong remains, the strategic point on coast, installed a border-guarding post to monitor and control, and also to prepare for the invasion of East Yeojin tribe pirates into south-east coast, and guard Japan which used to frequently come and go.

목차
Ⅰ. 머리말
Ⅱ. 연혁
Ⅲ. 규모와 축조수법
Ⅳ. 구랑동 유적의 성격에 대한 검토
Ⅴ. 맺음말
저자
  • 김갑진((재)동양문물연구원) | Kim, Gap 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