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평형능력은 보행에 영향을 미치고, 보행속도는 노인의 건강한 척도를 말해주는 기준이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체성감각계 지원이 여성 노인의 보행 및 평형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평소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으며, 이비인후과적으로 이상이 없는 노인으로 평균 연령이 75세 여성 노인 61명을 실험군 31명과 통제군 30명으로 분류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2.44m왕복걷기, 10m 일반걷기 및 빠르게 걷기, 6분 걷기를 실시하였다. 평형감각 검사로는 뉴로컴사의 Equi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44m 왕복걷기와 10m 일반걷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0m 빠르게 걷기, 6분걷기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감각에서는 조건 2, 3, 4, 6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성감각계 지원이 노인 여성들의 보행 및 평형유지 능력에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지팡이의 적극적 사용이 권장된다 할 수 있겠다.
        4,000원
        2.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언양읍성 북문주변 성곽정비사업 일환으로 발굴조사한 지역에서 체성, 북문지와 옹성 1개소, 치성 2개소, 성 외측에 전체적으로 조성된 해자, 수혈유구 등 다양한 유구가 조사되었다. 이번 발굴조사에서 북문지와 옹성의 구조, 체성부와 치성의 축조방법, 규모 등이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특히 체성의 축조방법에 있어서 내벽의 경우 계단식 축조수법이 아닌 내탁부와 성 안쪽과 내벽 내탁부를 구분하는 경계석열이 확인된 것이 가장 큰 성과이다. 해자의 평면형태, 규모, 내부시설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체성, 치성, 옹성과의 축조에 있어서 선후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체성과 치성은 동시기에 축조되었으며, 북문지의 옹성은 체성보다 늦은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역에서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북서쪽 모서리에서 암거시설 형태의 입수구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해자와 만나는 구상유구가 확인되었는데, 입지조건, 내부시설 등으로 볼 때 해자쪽으로 물을 공급하는 용도의 구로 생각된다. 언양읍성은 문헌에서 확인된 읍성(석성)의 축조시기(1500년)와 이번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유물(자기류, 기와류)의 편년을 비교해 볼 때 연대가 비교적 일치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번 발굴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북문주변 성곽 정비복원 시에 문헌자료와 함께 고고학 자료를 검토, 보완하여 정확한 정비복원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5,500원
        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accumulations of outcomes from archaeological excavations of mountain fortress of three kingdoms period, there have been studies about time-periodic territory range of mountain fortress, difference in the way(method) of construction, defence system and so on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his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valley part of stone fortress.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secure large quantity of fresh water for those who lived at mountain fortress. Especially when builders of fortress construct a fortification at the valley part of stone fortress, in advance they must sufficiently consider several option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water resources. First, when it comes to build a fortification on a ridge[or a slope] of a mountain, you have only to consider a vertical stress. However, when it comes to build a fortification at the valley part of a mountain, You must have more sufficient preparations for the constructing process. Because there are not only a vertical stress but also a horizontal pressure simultaneously. Second, a fortification of mountain fortress built by using unit building stone is a structure of masonry construction like brick construction, and the valley part of it is where the construction of the fortification begins. Third, when it comes to build a fortification at the valley part of a mountain, it seems that they use a temporary method such as coffer dam in oder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fortification due to heavy rain. Furthermore, in response to a horizontal pressure a fortification is built by the way of its plane make an arch, or by piling up the soil with the plate method(類似版築) and earthen wall harder method(敷葉) they increas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ortification and its cutoff capacity. In front direction they put the reservoir facility for the fear that the hydraulic pressure and earth pressure a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ortificatio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fortification at the valley part of a mountain is done in the same oder as follows; leveling of ground(整地) ⇨ construction of coffer dam ⇨ construction of the fortification between the both banks of the valley ⇨ construction of the fortification at bottom part of spill way(餘水路) between the both banks of the valley ⇨ construction of spill way(餘水路) & reservoir facility ⇨ construction of the fortification at upper part of spill way between the both banks of the valley. Coffer dam facility seems to be not only the protection device on occasion of flood but also an important criterion to measure the proper height of spill way or tailrace(放水路). This study has a meaningful significance in that it empirically examines the method of reduction of the horizontal pressure which the fortification at the valley part of a mountain takes, the date the construction was done, and wether the changes in climate such as heavy rainfall influence the process of construction.
        4,900원
        4.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미음지구부지 문화재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조사구역 전체를 감싸는 형태의 체성부가 확인되었으며 조사구역 남-북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조사구역의 동쪽은 석축으로, 서쪽은 토축으로 체성을 축조한 형태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남쪽 토축구간 및 동쪽 석축구간에서 각 1개소씩 문지 2개소가 확인되었으며 인수구와 퇴수구가 갖추어진 배수시설이 북쪽 체성부 및 동쪽 체성부, 동문지에서 확인되었는데 체성부에서 확인된 수구는 정방형 및 장방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동쪽 체성 인수구의 좌우로 길이 약 28m, 폭 50㎝ 크기의 석열이 이어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 석열의 기능은 성내에 차서 흘러내리는 우수로부터 체성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구릉 정상부에서 확인된 체성부를 중심으로 조사대상지의 서쪽과 남쪽을 아우르는 형태로 외황으로 추정되는 완만한 ‘V'字형의 구상유구가 확인되었다. 구상유구의 전체 길이는 약 110m이고 폭은 약 3~5m, 잔존깊이는 약 1.2~2.0m 이다. 출토된 유물은 기와편 및 자기편으로 기와편이 다수를 차지한다. 출토기와의 문양은 어골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자기류는 청자편, 백자편 및 분청사기편이 확인된다. 구랑동 유적은 고려시대 州鎭城과 함께 군사적 주요 거점에 설치된 일종의 감시초소의 역할을 하였던 戍의 성격을 띠는 유적으로 판단된다. 고려는 건국초기부터 신영토의 개척과 방비를 위하여 주요지점에 주진성을 점진적으로 축성하였는데 주진성은 거주성으로 치소나 군창 등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보다 평면둘레가 작았던 수는 둘레 100~200m의 토성 또는 석성으로 축조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각각의 주진성의 관할 하에 있었다. 구랑동 유적은 해안지역의 요충지인 이곳에 전방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戍를 설치, 운영하였던 것으로 생각되며 고려전기에 동, 남해안을 약탈하여 막대한 피해를 주었던 동여진 해적에 대한 대비 목적과 더불어 점차 동여진의 침입이 줄어들고 일본과의 교섭이 진행되면서 점차 내왕이 잦아지자 이에 대한 경계의 목적도 있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6,900원
        5.
        2009.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8.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9.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high intensity, high frequency microcurrent electrical neuromuscular stimulation(MENS) of auricular and somatic acupuncture points and low intensity, low frequency microcurrent electrical neuromuscular stimulation(MENS) of auricular and somatic acupuncture points on experimental pressure threshold at the elbow according to the time. Fifty healthy adults, aged 19 to 26 years, were assigned randomly to one of five groups: 1) the high intensity, high frequency somatic group(n=10) received MENS to somatic acupuncture points, 2) the high intensity, high frequency auricular group(n=10) received MENS to auricular acupuncture points, 3) the low intensity, low frequency somatic group(n=10) received MENS to somatic acupuncture points, 4) the low intensity, low frequency somatic group(n=10) receive MENS to somatic acupuncture points, and 5) the placebo group(n=10) received placebo treatment and served as controls. Pressure threshold was measured before, after, 5 minutes, 10 minutes and 15 minutes. Pressure threshold has increased significantly(p<.05) in the high intensity, high frequency auricular group following treatment after 5 minutes,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sure threshold change scores among five groups, Only the high intensity, high frequency auricular group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score in pressure threshold following treatment after, 5 minutes, 10 minutes and 15 minutes after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The results indicated that MENS applied to the high intensity, high frequency auricular group increases pressure threshold.
        4,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