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건강가정과 레질리언스(Resilience)의 역동성

Dynamics of Healthy Home and Resili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8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오늘날 가정의 위기는 심화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가정과 가족의 의미, 그리고 기능과 역할을 정확히 알고 대처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가족발달관점과 건강의 연속성 그리고 현대 가족의 위기와 역경이라는 환경과 상황에 따른 가족 강점과 능력의 강화를 위한 레질리언스(Resilience)의 역동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가족기능의 핵심요소를 파악하고 가족과정의 전개를 통해 가족의 역기능 요소들을 규명하여 기능적인 가족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통적 가치관의 회복, 효과적인 의사소통, 개별성과 연결성 등 가족의 레질리언스를 강화하고 기능적인 가족과정을 증진시키는 역할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역기능적 가족의 관계회복을 위한 가족과정의 강점과 관계회복을 위한 가족구성원들의 노력은 기능적인 가족체계를 형성하고, 개인의 중요성 인식과 사회문화적 상황에 대처하는 사회체계 적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질리언스라고 주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가족구성원들이 가족구조나 기능을 인식하고 역할의 변화에 긍정적이고 탄력적으로 대처한다면 가족생활은 더욱 성장하고 발전할 것이다. 아울러 가족과 사회는 더 큰 복지를 위한 토대가 될 것이고 사회변동에 따른 새로운 변화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21세기 가족형태는 일정한 유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양한 가족구조 속에서 다기능적 접근과 개인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을 지는 자유의지의 시대이다. 가족구성원 각자가 레질리언스의 능력을 끌어내는 능력을 개발하면서 함께 일하고 사랑하고 양육하는 모든 가족에게서 미처 인식되지 않았던 강점을 발견하고 이를 더욱 성장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Nowadays, family crisis becomes more aggravated. That is why many people poses demand for correct knowledge and measures on significance of home and family as well as their roles and functions as we know.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realize dynamics of resilience for building up original strength and capability of family from viewpoint of family development, health consistency as well as in given environment and context of modern family's crisis and adversity.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key factors of effective family functioning and examine dysfunctional factors of family through developing family process to create a functional family system. To this end, it is required to set priority on roles for building up family resilience and enhancing functional family process(e.g. restoration of traditional values, effective communication, individuality and connectivity, etc).Moreover, it is reasonably maintained that the strength of family process for reconciled relationship of dysfunctional family and the efforts of family members to recover their relationships comprise family resilience that can afford to form a functional family system, recognize importance of individual family members, and improve their ability of social system to adapt to cope with sociocultural circumstances.Conclusively, if family members perceive their own family structure or functioning and cope positively and flexibly with their changing roles, it is expected that their family life will grow more and develop further. In addition, both family and society will be a foundation for wider range of welfare and family will be able to experience new changes involving social change.In the 21st century, family doesn't exist in specific form or category any longer. This is the age of free will which takes multifunctional approaches in various family structures and allows individuals to have discretion of decision with their own responsibility. Hopefully, it is advisable that each of family members should develop their own capability of inducing resilience, and discover and further build up unrecognized individual strength of family members who work and love with one another and bring up childre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가족발달관점과 건강의 이해
  1. 성역할의 변화
  2. 문화의 다양성과 사회경제적 불균형
  3. 가족생활주기의 연장
  4. 발달적 관점에서의 건강
 Ⅲ. 가족위기와 레질리언스
  1. 현대인의 여가 풍족성
  2. 가족의 위기 상황
  3. 사회체계의 닫힌 형태로의 절대복종
 Ⅳ. 관계회복과 레질리언스
  1. 전통적 가치관의 회복
  2. 효과적인 의사소통
  3. 개별성과 연결성
  4. 기능적인 가족체계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신상수(세계사이버대학 사회복지과) | Sang Su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