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淸州 父母山城과 周邊 堡壘의 築城技法

Construction methods for Bumosanseong Fortress and other forts in Cheongju

청주 부모산성과 주변 보루의 축성기법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72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0,1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청주 父母山城은 단면 사다리꼴 모양의 협축식 전면 석축성벽, 편마암계의 성돌을 장방형으로 가공하여 10m 정도 높이로 정교하게 쌓은 체성벽, 높이 4m에 달하는 단면 삼각형의 보축성벽,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야 성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만든 懸門式성문 등의 축성기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축성기법은 5-6세기의 新羅城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지만 동시기의 고구려성이나 백제성에서는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요소 들이다. 부모산성 주변에는 4개의 堡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필자는 부모산 정상부에도 보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작은 성을 확장하여 쌓는 경우는 있지만, 큰 성을 쌓은 후 그 안에 다시 작은 보루를 쌓는 사례는 없기 때문에 이는 父母山城보다 보루가 먼저 축조되었음을 입증하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부모산 일대에 구축된 여러개의 작은 堡壘는 백제가 쌓은 성이며, 父母山城은 6세기 중엽 이 지역으로 진출한 신라가 쌓은 성으로 추정된다. 부모산 제1보루와 학천산성 등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보루는 모두 版築技法으로 토축부를 먼저 쌓고 외벽을 석축으로 마감하는 ‘土芯石築工法’으로 쌓았음이 확인되었다. 토심석축공법은 토성과 석성의 장점을 결합한 축성기법으로서 원래 고구려의 축성기술이었지만 고구려의 남진과정에서 백제에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로부터 새로운 축성기술을 받아들인 백제는 6세기 초부터 扶蘇山城의 일부 구간과 부여 나성 등 都城뿐만 아니라 부모산 일대의 보루처럼 국경 지역의 성곽도 전통적인 土城공법 대신 이러한 토심석축공법을 적용하여 石城을 쌓기 시작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Main features of Bumosanseong Fortress include stone walls with the trapezoid shape cross section and stone walls with earthen base in the middle, 10m high elaborate fortress body made of rectangular shaped gneiss stone blocks, 4m high wall built over filled gap, and a fortress gate that can only be reached by climbing a ladder. These fortress construction methods are not found in Goguryeo or Baekje fortresses and seen only in Silla fortresses constructed between 5thand6thcenturi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Bumosanseong Fortress is a fortress constructed by Silla. It has been known that 4 forts exist around the Bumosanseong Fortress but this author found that there is one more fort on the summit of Bumosan Mountain. The fact that there is a fort inside the Bumosanseong Fortress proves that 5 forts were constructed earlier than the Bumosanseong Fortress. When Cheongju area was Baekje territory, Baekje constructed a defense system by constructing small forts in the Bumosan Mountain. But in mid 6thcentury,Silla drove out Baekje from this area and constructed Bumosanseong Fortress using a fortress construction method that is different from the fortress construction method used by Baekje. The Baekje forts that have been excavated, such as the 1st fort of Bumosan Mountain and Hakcheonsanseong Fortress are known to be constructed us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one fortress with earthen base” with which earthen base is built first and stone walls are constructed surrounding the earthen base.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one fortress with earthen base” that combined the advantages of earthen fortress and stone fortress was widely used by Goguryeo and it seems that the method was spread to Baekje as Goguryeo expanded its territory southward. It is estimated that Baekje started to construct stone fortresses using this method in border areas, such as the forts in Bumosan Mountain, as well as in the capital area, such as some sections of Busosanseong Fortress and outer fortress of Buyeo around early 6thcentury.

목차
Ⅰ. 머리말
 Ⅱ. 學術調査 現況
 Ⅲ. 築城技法에 대한 檢討
 Ⅳ. 맺음말
저자
  • 심광주(토지주택박물관) | Sim, Gwang-zh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