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리스트《발라드 2번》의 조성구조: 증3화음의 확장 KCI 등재

Tonal Structure of Liszt’s Ballade, No.2: An Extended Application of the Augmented Tria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978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서양음악학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한국서양음악학회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초록

리스트의《발라드 2번》은 소나타 형식으로 되어 있으나, 전통적인 분석방법으로는 해결 되지 않는 조성구조의 모호함이 나타난다. 필자는 리스트의 증3화음에 대한 관심과 바이쯔 만(Carl Freidrich Weitzmann, 1808-80)의 이론을 토대로 성부진행의 측면에서 이 작품의 새 로운 분석을 시도하였다. 리스트와 동시대를 살았던 바이쯔만은 1853년에 발표된 논문인 “Der übermässige Dreiklang”에서 증3화음이 다양한 조성과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해 논 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리스트의 초기 작품에서 한 패시지의 장식적 역할로 사용되었던 증3화음은 바이쯔만의 논문이 발표된 이후 증3화음의 영역이 확대되거나 작품의 동기와 결합하여 작품전체의 구조 로 사용되는 등 그 이전에 사용했던 방식과는 다르게 나타난다. 《발라드 2번》은 1853년에 작곡되어 1854년에 출판된 작품으로, 이후 증3화음이 조성구조로 확장된 리스트의 작곡 스 타일을 살펴볼 수 있는 시발점이 되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는 증3화음이 표면적인 사용에 서 벗어나 거시적인 조성구조로 확장되고, 그 안에서 관계없이 나열되는 화성진행들도 증3 화음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났다.

Franz Liszt’s Ballade, No.2 is based on the Greek/Roman mythology called “Hero and Leander.” Although the piece shows formal structure of a traditional sonata form, it presents obscure tonal structure. Interestingly, the ambiguous tonality shown in this piece is associated with music theories of Carl Freidrich Weitzmann (1808-80): Liszt's Ballade No.2 was composed in 1853; The same year Weitzmann published “Der übermässige Dreiklang,” and released it in 1854. It is true that Liszt had consistently used the Augmented triads as melodic ornamentations before 1853. However, in his Ballade No.2, he extended their harmonic functions so that the Augmented triad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overall tonal structure.

저자
  • 송세라 | Se-Ra 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