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敎育用基礎漢字 字素表(試案)」와 중국 「現代常用字部件及部件名稱規範」에 제시된 字素의 비교연구 KCI 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Graphemes between "Graphemes Table(Tentative) for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of South Korea and "Specification of Common Modern Chinese Character Components and Component Names" of Chin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692
  • DOIhttps://doi.org/10.14381/NMH.2016.52.12.30.25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본고는 「교육용기초한자 자소표 制定을 위한 試案 연구」(2015)에서 제시한 ‘試案’과 현재 중국 교육부에서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는 「現代常用字部件及 部件名稱規範」(2009)과의 상호비교를 통하여, 兩者 간의 得失을 따져 보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試案’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試案’에서 제시한 310개 組 453개 기초자소와 중국의 441개 組 514개 部件을 서로 비교하여 일차적으로 아래와 같은 兩者 간의 차이를 가려내었다. 1. 양자가 동일하게 선정한 자소: 343개 2. 前者에서 따로 설정한 자소: 110개 3. 後者에서 따로 설정한 자소: 171개 본고는 위의 3과 4를 중심으로 하여 양자 간에 차이가 나는 원인을 분석한 결과, 그 원인은 아래와 같은 이유에서 비롯된 것임을 적출 할 수 있었다. 1. 楷書體와 簡體字 간의 乖離 2. 對象 字數의 차이 3. 문자의 系統性과 現實性에 대한 인식차이 4. 層次分析 방법의 채택여부 5. 기타 이상의 비교작업을 통하여 양자 간의 得失을 糾明해 본 결과, 양자 모두 각 각 설정한 ‘자소추출원칙’을 일관되게 지키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게 확인되 었고, 疏漏한 부분 역시 적지 않게 발견되었다. 그러나 작업을 통하여 전자 의 문제점을 다시 검토하고 보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게 되었으 며, 자소 數의 增減 、分組(組 나눔) 등의 문제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 修訂 해야 할 부분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수확이라고 판단되었다. 이외에 도, 본고의 작업결과는 한자문화권에서의 한자공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 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현재 韓中 양국에서 각각 公式字形으로 사용하고 있는 楷書體와 簡體字간의 互換原理를 파악하는데 있어서의 중요 한 학습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Tentative Plan" from "A Study on a Tentative Plan for “Graphemes Table for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2015) with the "Specification of Common Modern Chinese Character Components and Component Names"(2009), which was set by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and is currently in use, assess gains and losses between them, and supplement the "Tentative Plan" for its insufficient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first compared the 310 groups and 453 basic graphemes in the "Tentative Plan" with the 441 groups and 514 components of the Specification. There were the following differences between them: 1. Number of graphemes that were found in both of them: 343 2. Number of graphemes that were found only in the former: 110 3. Number of graphemes that were found only in the latter: 171 The study analyzed the causes of differences between them with a focus on the second and third outcome above and identified the following causes: 1. A gap between the Haeseo style an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2.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haracters covered 3.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systemicity of characters and reality 4. Whether the method of layered analysis was used or not 5. Others The study assessed gains and losses between them through comparison and found that both of them failed to observe the "principles of grapheme extraction" set each in a consistent manner and were careless in many parts. The findings, however, bring huge benefits such as searching for ways to review again and supplement the problems with the former and discovering the points that needed specific revision in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characters and separation of groups. In addition, the findings can serve as basic data to solve the issue of common 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Chinese cultural zone and as important learning materials to figure out the substitution principles of Haeseo an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that are the official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in South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저자
  • 박추현(경상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 겸 남명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Park, Choo-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