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退溪 逸詩에 대한 연구 - 새로 발견된 親筆 逸詩에 대한 일고찰 KCI 등재

Study on chinese poem of Teogye Lee Hwang - A recently found undiscovered poem of his own

퇴계 일시에 대한 연구 - 새로 발견된 친필 일시에 대한 일고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782
  • DOIhttps://doi.org/10.14381/NMH.2018.59.09.30.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필자는 退溪 李滉(1501-1570)의 한시를 연구하던 중에 그의 逸詩를 발견하게 되었고, 그 시 내용에 규명할 만한 것이 있다고 여겨 논문으로 작성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특히 첫째 수에 해당하는 작품은 문집에 실려 있지 않은 일시임을 확인했고, 그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해 아래와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첫째, 퇴계의 친필로 남은 한 수의 逸詩는 風流의 現場에 대한 實證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필자는 이를 조선 중기 영남의 江湖에서 차를 즐겨 마셨다는 사실과 함께 막 완성된 「漁父歌」를 初演한 풍류의 현장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으로 보았다. ‘烹茶仙風’ 즉 ‘차를 마시는 신선의 모습’이라는 사자성어 는 퇴계의 일시에 들어 있는 시구를 통해 만들어본 것이다. 이는 당시 퇴계가 추구했던 하나의 江湖의 眞樂과 연관 지을 수 있는 한 경지가 아니었을까 한다. 둘째, 새로 발견된 퇴계의 일시는 元韻의 형태로 聾巖 李賢輔 (1467-1555)와 溫溪 李瀣(1496-1550)의 次韻으로 이어졌는데, 정작 퇴계 자신의 문집에는 누락된 채 지금에 이르렀다. 그런데 이는 道學 淵源이라는 學統의 계승문제와 연관 지워 생각해 볼 수도 있다고 본다. 그래서 문집과 초고로 남은 작품들에 대한 詩題를 함께 살폈는데, 거기 에서 드러난 ‘先生’이 ‘相公’ 등으로 달리 표현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미묘한 시각차 때문에 중심 작품이 일시로 남아 문집에 오르지 못한 것으로 추론해 보았다. 필자는 자료 고찰을 통해, 퇴계 역시 도학 계통상으로 농암을 師承關 係로 인식하기보다는 그를 鄕先輩로서 인품과 문학 방면에 국한해 무한한 존경을 표했다고 보았다. 끝으로 그동안 年譜나 口碑傳承의 형태로 그 일부 시구절만 알려졌던 河西 金麟厚(1510-1560)가 퇴계를 기린 한시 또한 발견되어 이를 번역해 퇴계의 시인과 도학자로서의 면모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게 했다.

There has been found a chinese poem of Teogye Lee Hwang which has a crucial value on its content but had not yet been discovered. Firstly, this newly found poem with his own handwriting enables us to have a study on the scenery of enjoyment in nature. Especially, an important word in this study, 烹茶仙風 (Paeing-Da-Sun-Pung), meaning an aura of a taoist who enjoys having a tea, was created with a combination of some words concerning the delight and pleasure in this recently discovered poem. Secondly, despite the originality of wording in this poem from which a littery work of Lee Hyun-boh and Lee Hae is derived, it could not actually be found in the collection of his own. This would hopefully be a historically important clue of an ongoing question with the verification of scholastic succession. Lastly, a chinese poem of Kim In-Hoo, which had not been fully discovered and had remained only through the form of chronologic reports or through the mouth transmission, have been found so that it could help make understanding of Lee Hwang's taoistic aura.

목차
<국문초록>
 Ⅰ. 서언
 Ⅱ. 詩人으로서의 위상
 Ⅲ. 逸詩를 보는 視角
 Ⅳ. 새로 발견된 퇴계의 逸詩
 Ⅴ. 逸詩의 時點
 Ⅵ. 逸詩를 통해 드러난 의미
 Ⅶ. 결언
 <참고문헌>
 
저자
  • 徐守鏞(한국고문헌연구소 소장, the Institute of ancient Korean documents) | 서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