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유아들의 자유놀이에서 나타난 개방성의 다차원 KCI 등재

Multi-Dimension of Openness in the Free Play of Children using Unstructured Materia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27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자유놀이에서 나타나는 놀이 양상을 탐색함으로 유아의 주도적이고 즐거운 놀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A유치원 유아를 대상으로 자유놀이와 바깥놀이 시간에 대한 유아관찰을 실시하였다. 유아관찰기록, 관찰영상 전사본, 현장약기(field notes)가 수집되었고 수집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과정에서 나타난 탐색의 다양성과 개방성의 양상은 탐색과 놀이 결합, 탐색과 실험, 도전의 범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다양한 탐색과정에서 자신이 발견한 점을 친구들에게 선언하고 다른 방법의 탐색을 제안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탐색활동은 놀이와 결합되었고 두가지 놀잇감을 결합하여 새로운 놀이가 즉흥적으로 창안되었다. 널빤지 탐색을 통해 유아들은 다양한 길을 만들어 가면서 탐색, 실험, 도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유아들의 놀이에서 나타난 놀이변형과 개방성의 양상은 신속한 의사결정과 호혜적 협상, 융통적 규칙과 놀이방법의 범주로 나타났다. 신속한 의사결정과 호혜적 협상은 유아의 놀이 변형과정에서 나타났으며 놀이 참여자들의 공동의 가상적 관심사가 반영되었다. 또한, 유아의 놀이에서 ‘자신이 만든 규칙’에 의해 진행되었고, 놀이 참여자들은 이러한 규칙을 수용함으로 놀이규칙과 방법에서 융통성의 모습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leading and enjoyable play environment for children through exploring the play patterns that appeared in free play. For this, child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free play and outdoor play time in ‘A’ kindergarten, and this included collecting the following: child observation records, observation video transcripts and field notes. Following thi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tterns of diversity in the children's play process appeared to be a combination of the categories of exploration and improvisation. exploration, experimentation, and challenge. The children presented their findings to friends during various explorations and suggested exploring other ways. By combining exploration and improvisation and combining two materials a new improvisation was invented. The children were seen exploring, experimenting and challenging themselves as they explored boards and made roads. Second, the pattern of play deformation and openness shown in the play of children appeared in the categories of quick decision making, reciprocal negotiation, flexible rules and play methods. Rapid decision making and reciprocal negotiation emerged during the children's play transformation process and reflected the shared hypothetical concerns of the play participants. Activities were also carried out with the rules that children made by themselves while playing, and the players showed flexibility and acceptance in their play rules and methods.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지 및 연구 대상 선정 배경
    2. 자료수집 및 분석
Ⅲ. 연구결과
    1. 탐색의 다양성과 개방성의 양상
    2. 놀이변형의 개방성 양상
Ⅳ. 논의 및 결론
    1. 탐색의 다양성과 개방성의 양상
    2. 놀이변형의 개방성 양상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권혜진(순천향대학교) | Kwon Hye-Jin (Soon Chun Hy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