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09년도 한국응용곤충학회 춘계학술발표회 (2009년 5월) 209

121.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assessed the environmental risk of herbicide resistant transgenic rice (Protox) on non-target herbivore, grasshoppers (Oxya japonica japonica Thunberg). We conducted life-history experiments of grasshoppers with measuring their body weight, body length, eating amount, and feces amount between non-transgenic rice (nTR; Dongjin rice) and transgenic rice (TR; Protox ric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Temp. 25Ð, R.H. 50-70%, Photoperiod L16:D8) in 2007. The growth of grasshoppers appeared to increase at each measuring date. We also compared the growth rate of grasshoppers between nTR and TR to examine the transgenic impact on the herbivore and we fou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 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lant types (P>0.05). We found that body weight and body length for grasshoppers were highly correlated at each of the two types of plants, nTR (0.962) and TR (0.960). The correlation of eating amount and feces amount of grasshoppers were higher nTR (0.830) than TR (0.782). The energy effi ciency of the grasshopper was not a signifi cant between nTR and TR (P> 0.05). But the molt timing of the grasshoppers for TR difference was faster than for nTR. Conclusively life-history of the grasshoppers but molt timing was not a signifi cant difference between nTR and TR. Therefore, we could conclude there was not any environment risk on herbivore from our result.
122.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ths were caught by using two 22W UV black light traps per treatment during May, June, August and September in 2007 from our study sites. Our study areas of the Korea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KLTER) sites were Mt. Nam with two plant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Mt. Jiri with three plant communities (Q. mongolica, P. densiflora, Abies koreana), Mt. Wolak with three plant communities (Q. mongolica, P. densiflora, Q. variabilis), and Mt. Jumbong with t재 plant communities (Q. mongolica, P. densiflor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pecies diversity of major plant feeders, Lepidopteran species (moths) at each forest type of the regional KLTER sites. Overall, the total numbers of moth species we’ve collected from the all KLTER sites in 2007 were 670 species. For the three plant communities, Mt.Jiri (11 family, 259 species, 2372 individuals) was the highest site and Mt. Wolak (7 family, 401 species, 2243 individuals) was the next highest. For the two plant communities, Mt. Jumbong (14 family, 166 species, 1750 individuals) was highest and Mt Nam (4 family, 21 species, 142 individuals) was very few. The ordination analyse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S) and cluster analysis, showed distinct clusters separating the assemblages of moth found at each site and each plant community of the KLTER sites (P<0.05 from MRPP). Therefore, we suggest that our sustainable monitoring will verify the distinct cluster with the forest type at each site with many replications.
123.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ve collected litter-dwelling predatory arthropods (spiders and carabid beetles) by using pitfall traps at four different fire intensity treatment areas (control, ground fire, canopy fire, and canopy fire with plantation) at four different regional areas in 2005. We analyzed the arthropod community structures with PC-Ord for the difference of arthropod community among the various fire intensity treatments and control. Our objective was to verify if there was any difference between fired areas and non fired area (control) and between canopy fire with plantation and canopy fire without plantation. From our arthropod community structures, we found there was distinct community composition difference between fired areas and non-fired area as well as between control and canopy fire treatment with plantation or non-plantation. However, we are not sure yet that there was any distinc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ground fire treatments. Our results from the multivariate analysis, Non-para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ordination, could be relatively conclude that the main difference of arthropod community between fired areas and non-fired areal and canopy fire with plantation or non-plantation was caused from the difference of arthropod habitat pattern such as litter depth, litter volumem, CWD cover or volume, and et. al. When we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treatments, we could also conclude that the canopy fire treatment with non-plantation was relatively closed to control than the canopy fire treatment with plantation.
124.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is an insect vector which transmits virus diseases of rice plant causing severe damage to the rice and its damage both quality and yield of rice. Survival rate of overwintering N. cincticeps in Alopeculus acquadis among 15 species of the winter crops and weeds was 37.8% and its most preferred. Density of N. cincticeps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rea which cultivated Astragalus sinicus as a green manure crop in winter season increased in number wintering pass in Alopeculus acquadis and Astragalus sinicus as host plants, because of control of N. cincticeps was not enough in the previous year. Survival rate of N. cincticeps was higher mainly in habitation mixed with rice straw, Astragalus sinicus and Alopeculus acquadis as winter habitation. It warmed due to the effect of the keeping warmth inside of a rice paddy field and the bank around a rice field covered with rice straw or Astragalus sinicus. Also, habitation conditions were optimal for survival because of growing Alopeculus acquadis as the major host plant of N. cincticeps in that place.
125.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ce its first discovery in Jinchoen in 1998, three types of Bemisia tabaci have been recorded in the Repulic of Korea. Because B. tabaci damages the high-return produce such as eggplant and bell pepper, non-chemical methods are sought to control the B. tabaci populations. We studied the mating behaviors of Q-type B. tabaci by video-recording 20 virgin pairs using digital microscopes, of which 10 had a successful mating. The mating behaviors of Q-type males can be divided into searching, paralleling to female, mounting and wing-flicking stages, whereas those of females were almost motionless throughout the mating sequence. During the paralleling stage, males also exhibited antennal drumming and undulation behavior. B. tabaci is know to use vibratory signals during mating. To understand the frequency and function of vibratory signals, we are simultaneously video-recording mating behaviors and measuring vibratory signals by means of a laser vibrometer.
126.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ree species are described in the genus Loxoblemmus (Orthoptera: Gryllidae) in the Repulbic of Korea: L. campester, L. equester, and L. doenitzi. Although males of L. doenitzi are characterized by triangluar-shaped horns on the face, these three species are generally difficult to distinguish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Here, we compared males of L. doenitzi and L. campester collected from Mokpo and Jeju Island, using morphological, calling song, and DNA sequences data. In the tegminal characters that may be responsible for calling song production, harp and mirror area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L. doenitzi and L. campester,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files. In the calling song characters, pulse number per chirp and peak amplitud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L. doenitzi and L. campester, whereas pulse duration, pulse period, chirp period, and phrase period were not. The phylogenic tree analysis based on 16s ribosomal RNA gene sequence,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L. doenitzi and L. campester was very close (0.1-0.15), suggesting that these two species recently diverged from the common ancestor.
127.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egg hatching and larval development of Paranura rosea were experi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The development was studied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s, ranging from 15 to 30℃ (in 5℃ intervals), under a dark. As a result, the egg hatching time decreased from 21.67±1.99 to 6.57±1.96 days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from 15 to 30℃. The highest egg hatching rate was 49.27±20.69% at 25℃, where as the lowest rate was 27.97±23.06% at 15℃. The developmental rate increased gradually with temperatures from 15 to 30℃, and the developmental rate was highest at 30℃. The survival rate was highest at 15℃ (85.27 %) and lowest at 30℃ (57.53 %). This wide thermal adaptation in egg hatching and larval development of Paranura rosea is advantageous for various environmental sudies, such as toxicity tests.
128.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cherry tomato plant cultivar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er, cultivars ‘Koko’ and ‘Pepe’) were supplied with high (395 ppm), medium (266 ppm) and low (199 ppm) concentrations of nitrogen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development, cultivar preference and honeydew production by greenhouse whiteflies,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 (Hemiptera: Aleyrodidae). The nitrogen, protein, andchlorophyll content of tomato leaves were higher in the high nitrogen supplied plants than in the medium or low nitrogen supplied plants, but the sugar content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The developmental times of eggsand nymphs decreased as the nitrogen concentrations increased in both cultivars. The preference of T. vaporariorum was compa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eggs deposited on leaves in choice and non-choice tests. In the non-choice test, no significant nitrogen treatment effects were observedbut the upper plant stratum was preferred for egg laying. In the choice test,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cultivar and nitrogen concentration. T. vaporariorum laid eggs more on leaves of plants with higher nitrogen at the upper stratum. In both experiments, T, vaporariorum preferred the ‘Koko’ cultivar to the ‘Pepe’ cultivar. The honeydew production of T. vaporariorum nymphs increased with decreasing nitrogen treatment concentrations. The largest honeydew production was detected in the ‘Pepe’ cultivar grown at low nitrogen concentration. It is concluded that cultivar ‘Pepe’ had an advantage over ‘Koko’ in term of T. vaporariorum management program in tomato greenhouses.
129.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류 수체내 살선충제(아바멕틴 2.15% 유제)의 약제 잔류 및 지속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2월 하순경에 경남 진주시 금산면 월아시험림내 해 송을 대상으로 지상 50cm 높이에 천공(직경 6mm)을 한 후 흉고직경 cm당 1ml 을 주입한 후 나무주사 처리일로부터 15, 30, 60, 100, 180일이 경과한 후에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시료채취는 주간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3-4cm 두 께의 원판 disk를 채취하고 가지는 수관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주 가지에서 3~5년생 가지를 채취하였다. 아바멕틴은 약제 주입후 15일차에 가지에서 0.29-1.52mg/kg, 주간에는 0.65-2.26mg/kg 가 검출되었고, 30일차에 가지 0.22-2.03mg/kg, 주간 0.87-1.84mg/kg이 검출되었 지만 60일차에 가지 0-0.04mg/kg, 주간 0-0.06mg/kg으로 줄어들었다. 그리고 약 제 주입 후 100일이 경과한 후에는 가지 0-0.18mg/kg, 주간 0-0.11mg/kg 검출 되었고, 180일이 경과한 후에는 0.14-0.18mg/kg, 주간에서 0-0.05mg/kg이 검출 되어 약제 주입 후 30일 내외에 가장 높은 잔류량을 보이다 시간이 경과 할 수록 점차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소나무재선충은 약제에 대한 감수 성이 매우 높아 180일 후에도 약효지속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지속적인 경과 시기별 잔류량의 분석과 약효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메소밀의 경우 는 주입 후 15일차에 가지 0.15-3.88mg/kg, 주간 0.76-22.81mg/kg가 검출되었고, 30일차에 가지 1.17-4.17mg/kg, 주간 1.51-2.64mg/kg이 검출되었지만 60일차에 는 가지 0.13-2.00mg/kg, 주간 0-0.81mg/kg으로 줄어들었다. 그리고 약제 주입 후 100일이 경과한 후에는 가지에서 0-0.11mg/kg, 주간에서 0.05-0.15mg/kg 검 출되었고, 180일이 경과한 후에는 가지와 주간에서 0.10-2.71mg/kg와 0mg/kg이 검출되었다. 항생제계인 아바멕틴은 유기인계인 메소밀에 비해 수체내 상승속도는 느리 나 약효지속기간은 긴 경향치를 보였다
130.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금까지 총채벌레에 의한 감귤 과피에서의 전형적인 피해 증상은 개화기 에 가해되어 과경부 또는 과정부위의 동그란 회갈색 띠가 형성되는 증상이었 다. 하지만 2007년부터 서귀포시 남원읍 일부지역 노지재배 감귤에 햇빛에 검 붉게 그을린 듯한 증상(검은점무늬병 후기 증상 및 녹응애 피해 증상과 매우 유사)이 크게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그 피해 증상은 총채벌레 약충 에 의한 피해 증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황색평판 트랩에 포획된 총채벌레 성충의 밀도는 7월 상순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하순에 피크를 이루었으며 이시기에는 과피에서 가해중인 총채벌레 약충들을 관찰 할 수 있 었다. 밀도는 8월 들어서 급격히 감소하지만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경에 또 한번 증가하였으며 9월 하순까지 비교적 높은 밀도를 유지하였다. 과피에서의 증상은 심한 경우 과정부를 중심으로 과피의 일부분이 회갈색 딱지 모양으로 변하였으나 대부분의 피해 과실들은 7월 하순경에 과정부를 중심으로 약간 검붉은 색으로 변하고 착색기인 9월 중순경부터 심한 경우 과실 전체가 검붉 게 변하였다. 7월 이후에 포획된 총채벌레들은 대부분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들이었으며 볼록총채벌레는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서 큰 피해를 주 는 해충으로써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우리나라 감귤에 그 피해가 더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된다.
131.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여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성충의 유살수를 2-3일 간격으로 조사하 였으며, 시험장내의 기상자료와 Weibull 함수식을 이용하여 복숭아순나방 월 동유충의 우화시기모형을 구하였다. 우화시기 모형은 r2값이 0.93으로 구해진 수식이 적산온도와 누적우화율과의 관계를 잘 설명하였다. 또한, 누적 우화시 기 모형을 바탕으로 사과시험장 인근 의성지역의 1973부터 2008년까지의 기 상온도 변화에 따른 복숭아순나방 초발일과 50%우화일, 우화 완료일을 연도 별로 비교하였다. 복숭아순나방의 연도별 초발생일을 비교한 결과, 1970년, 1980년 1990년, 2000년대각 각각 4월11일, 4월 13일, 4월 13일, 4월 9일이였다. 2000년대가 80-90년대에 비하여 초발생일이 약 4일 정도 빨랐으며, 70년대에 비하여 2일정도 빨랐다. 복숭아순나방 50% 우화일은 연대별로 각각 4월 27일, 4월 28일, 4월 28일, 4월 26일로 2000년대가 80-90년대에 비하여 약 2일정도 빨랐으며, 복숭아순나방 100% 우화일은 각각 6월 1일, 6월 1일, 6월 1일, 5월 30일로 복숭아순나방 50%우화일과 같이 2000년대가 80-90년대에 비하여 약 2 일정도 빨라서, 대체로 2000년대가 1970-1990년대에 비하여 복숭아순나방 월 동성충의 발생시기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132.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의 온도의존적 발육율에 기초한 선형모델들을 작성하기 위하여 25℃에서 인공사육된 알과 갓부화 유충, 성충을 대상으로 하 여 10℃에서 34℃까지 3℃ 간격으로 하여 9개 온도에서 각각 부화, 우화 및 사망까지 사육하였다. 알과 유충, 번데기 및 성충 각각의 발육기간 평균값을 이용하여 발육 선형모델을 작성하고, 발육 최저온도(LDT)와 발육 완성을 위한 유효적산온도(DD)를 구하였다. 알은 10-25℃ 범위에서 y=0.0158x-0.1357 (r2=0.9730)의 선형식과 LDT와 DD가 각각 8.6℃와 63.0온일도였다. 유충은 적 용한 온도에 관계없이 5령까지만 관찰되었는데, 5령 기간이 가장 길었고 1령 기간이 다음으로 길었다. 13-28℃에서 유충기간에 대한 선형식과 LDT, DD는 각각 y=0.0038x-0.0343(r2=0.9891), 9.0℃와 263.7온일도로 구해졌고, 번데기 단 계에서는 y=0.0064x-0.0564(r2=0.9920), 8.9℃와 157.4온일도였다. 성충 암컷과 수컷 수명은 16~34℃에서 각각 y=0.0040x-0.0202(r2=0.8435), 5.0℃, 248.6온일도 와 y=0.0049x-0.0354(r2=0.8832), 7.3℃, 206.0온일도였다. 성충은 28℃ 이상에서 는 산란하지 않았는데, 13-22℃에서 산란전기간에 대한 선형식은 y=0.0321x-0.3916 (r2=0.9835), LDT와 DD는 각각 12.2℃, 31.1온일도였다
133.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and damage of stink bugs were monitored at South Korea from 2007 to 2008. A total of 11 stink bug species were observed in paddy field and occurrence periods of stink bugs were significantly differed by species. In occurrence period and damage of stink bug feeding in paddy field, Scotinophara lurida occurred from June, Cletus punctiger, Eysarcoris aeneus, Rhopalus maculatus, Riptortus clavatus, E. ventralis, Stenotus rubrovittatus occurred from August and Pachygrontha antennata, C. schmidti, Trigonotylus caelestialium, Paromius exiguus occurred from September. When we were classified into two region with mountain and plain area cultivated rice, generally C. puntiger population was higher in mountain area than plain area, and E. aeneus was higher in plain area than mountain area. Also, stink bug species were higher in environment condition formed with a paddy field and a waterway overgrown with weeds. Control threshold for E. aeneus in paddy field was 1-2 individuals/heading stage, and then rate of pecky rice made to 5.0% while milk stage, dough stage and yellow ripe stage made to less than 5.0%.
134.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Zeugodacus) scutellatus Hendel]는 개화 중인 호박 꽃을 뚫고 호박꽃 내부에 산란한다. 부화한 유충은 씨방과 배주를 가해하여 꽃을 낙화시켜 간접적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피해를 유발하는 호박꽃과 실파리에 대한 생태보고는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본 실험은 호박꽃과실파리 에 대한 전북 전주, 진안 두 피해지역을 조사하여 지역별 고도에 따른 발생정 도와 호박 암, 수꽃의 피해정도를 규명하였다. 진안지역에서 채집한 270개의 꽃 중 22.25%인 60개의 꽃에서 호박꽃과실파리에 관한 피해가 나타났고, 전주 지역은 채집한 161개 중 27.3%인 44개 꽃 피해를 보였다. 이와같이 전주, 진 안의 피해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비교적 전북지방 고위도지역인 진안 평균 기온이 저위도인 전주보다 낮기 때문이다. 총 431개의 호박꽃 개체 중 104개 꽃에서 피해가 확인되었고, 그 중 수꽃 91개체, 암꽃 13개체로 수꽃에만 가 해한다는 기존보고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낙화된 꽃에서 채집한 유충은 항 온실(24±2℃, RH 70%)에서 발육기간과 용 기간을 조사하였고, 난부터 유충까 지는 7.88±0.88이였고, 용 기간은 12.49±0.76이였다.
135.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북 완주군 용진면과 봉동면 인근 농가에서 마늘, 대파, 쪽파, 양파의 4가 지 작물에 피해를 주는 고자리파리 Delia antiqua (Meigen)와 씨고자리파리 Delia platura (Meigen)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고자리파리와 씨고자리파리의 채집은 월동용 상태로 채집하였고, 채집한 용 은 젖은 모래가 담긴 사육통에 넣어 항온실(24±2℃)에서 사육, 관찰하였다. 고 자리파리와 씨고자리의 구분은 용의 상태로 구분이 어려워 우화 후 성충으로 구분하였다. 고자리파리와 씨고자리파리 100마리당 우화 비율은 작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완주군 용진면 조사 지역 마늘의 경우 고자리파리가 75(±6.2)%, 양파 71(±3.6)%로 마늘과 양파에서 우점을 차지했으며, 씨고자리파리의 경우 대파와 쪽파에서 62(±2.0)%, 53(±5.5)%로 우점을 차지하였다. 봉동면의 고자리 파리 우화율도 마늘과 양파에서 66.7(±10.4)%, 79(±5.2)%로 우위를 차지하였고, 씨고자리의 경우 대파에서 55.7(±5.0)%로 우위를 차지하였다. 쪽파의 경우엔 고자리파리와 씨고자리파리가 48.7(±9.1)%로 비슷한 우점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 고자리파리가 선호하는 작물은 마늘과 양파였고, 씨고자리파리 가 선호 작물은 쪽파와 대파로 판단되었다.
136.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말라리아매개모기인 얼룩날개모기류에 대한 발생원을 파악하고자 김포시 전 지역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9월말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유문 등 조사를 통해 김포시 내 발생하는 모기 성충 밀도 및 종 현황을 조사하였 고, 유충 조사를 통해 발생원을 파악하였다. 모든 조사지점은 휴대용GPS를 이 용하여 지리좌표를 이용해 기록하였고, 그 결과를 ArcGIS(ver9.2)에 투영하여 발생밀도 분석, 기조사된 축사현황, 말라리아환자발생현황등과 비교․분석하 였다. 그 결과, 성충조사를 통해 6속 16종의 서식이 확인하였고, 조사된 모기 개체수 48,919개체 중 얼룩날개모기류는 17,907개체로 36.61%를 차지하였다. 유충 서식이 확인된 지점을 행정구역에 따라 분석하면 통진읍과 월곶면에서 유충의 수가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1지점당 평균개체수는 대곶면이 4.14개체 로 가장 많았다. 유충 발생원을 유형별로 나누어보면 조사된 논의 약 80%에 서 유충이 확인되었고, 수로는 약 55%에서 조사되었으며, 신도시개발지역 등 의 유수지, 묵논, 미나리꽝, 연꽃재배지 등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서식유형 별 1지점당 평균개체수는 수로가 4.5개체, 논이 1.8개체로 수로에서 많은 수가 조사되었다. 수로 유형에서는 수로폭 1-2m 규모의 콘크리트 수로에서 높은 밀 도를 나타내었고 논의 경우 축사인근의 논에서 일반 논보다 밀도가 높았다. 얼룩날개모기류의 주 흡혈원인 대동물 축사 위치와 말라리아환자발생지역에 대한 GIS 분석결과 유의적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137.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주요해충이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 3종의 국내 분포상황을 종특이적인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애모무늬잎말이나방(A. orana)은 중서부 지역(안성, 평택, 천안, 아산)에 국부적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차애모무늬잎 말이나방(A. honmai)의 경우에는 남부지역(완주, 울주, 진주, 나주)에 주로 발 생하고 있었다.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A. paraorana)은 남양주, 화천, 영월, 충주, 상주, 장수 등을 비롯한 중동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 서부지역에서는 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공존하고 있었으며, 남부지역에서는 차 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동시에 발생하고 있었다. 한편, 중부지역에서 애모무늬 잎말이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성충은 연 3회 발생하였으며, 각 세 대의 최성기는 5월 하순, 7월 중순 및 8월 하순이었다. 남부지역에 우점하는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경우에는 연 4회 발생하였는데, 5월 중순, 6월 하순, 8월 상순 및 9월 상순에 각각 성충 최성기를 나타내었다.
138.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economic threshold for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on Leaf Broccoli (leaf vegetable) in 2007.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density of diamondback moth larvae and broccoli leaf yield, experimental plots with five treatments (0, 0.5, 1.0, 2.0, 4.0 larvae per plant) as initial density were established. We inoculated larvae in chesses cloth covering to survey larvae density change. When grown to eat, leaves of broccoli were harvested by periods. 60-70% of larvae were removed whenever we picked the leaves. High levels of larvae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 reductions in leaf yield. There were 85%, 64%, 58%, and 56% yield reductions from the diamond back moth larvae density in 0, 0.5, 1,0, 1.5, 2.0 per plant, respectively 25days after larvae inoculation. The regression equation used to predict leaf yield based on the number of initial larvae density per a plant was y=1635-393x(R2=0.79***). The economic injury level of diamondback moth on leaf broccoli was 2-3 larvae per 10 plants for a damage level of 5%. The economic thresholds was 1-2 larvae per 10 plants. Thus, the diamond back moth management should be initiated 1-2 larvae occurrence per plant.
139.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ife cycle of the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BSF). The BSF wa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Korea. The insect was mainly found in the vicinity of and in cattle sheds, manure sheds, living waste dump grounds, and food waste dump ground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BSF are as follows: the egg was long oval shaped of 887㎛ in the major axis and 190㎛ in the minor axis; it weighed 24㎍. Female oviposited ca. 1,000 eggs on average; eggs hatched in 81 hours under laboratory condition (27℃, 60% R.H.). The duration of the larval stage was approximately 15-20 days. The size of the last instar larvae was 21mm. The cuticle of the pupae gradually acquired red-brown color and the size of them was 19 mm. The pupal stage was shorter for females (16 days) than males (15 days). Adults were sized about 13-20mm long and black-colored. The life span of adult insects was 5-8 days for the first generation (June-July), 7-10 days for the second generation (Aug.-Sept.), and 13-18 days for the third generation (Sept.-Oct.). Mating started on the next day of emergence and actively occurred at the third day after emergence. Mating mostly occurred between 10:00 and 16:00 during which light intensity is highest. Egg-laying started on the third day and was most frequent from the fourth to the sixth day after emergence. Similar to mating time, females oviposited mostly between 10:00 and 16:00.
140.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0 종의 무당벌레를 이용하였으며 각 종마다 15 마리를 이용하여 2차원 영상을 획득하였다. 5방향(상면, 하면, 정면, 후면, 배면)에서 획득한 2차원 영 상을 이용하여 무당벌레의 형태를 수리적으로 묘사하고 반구형태를 3차원으 로 구현하였다. 구현된 수리적 모델은 일치율(Coincidence rate)를 통해 검증을 하였다. 일치율은 열석점긴다리무당벌레(Hippodamia tredecimpunctata)를 제외 하고 평균 85%의 일치율을 보였다. 획득한 계수 값을 이용하여 PCA(Principle Component Analysis)와 SOM(Self-Organizing Map)을 통해 각 종을 구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