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심포지엄 및 추계학술발표회 (2010년 10월) 172

101.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청계천은 지난 2005년 10월 복개하천에서 자연형하천으로 복원되어 전 세계적 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으며, 도심 속의 생태하천으로 보전 및 관리가 필요한 지역 이다. 조사구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 청계광장(위도 37o 34' 8‘’ , 경도 126o 58' 41‘’)부터 성동구 용답동 중량천 합류부(위도 37o 33' 11‘’ , 경도 127o 3' 3‘’)까 지 8.12Km에 달하는 청계천의 좌우측 곤충서식지이다. 총 4개 구간으로 나누어 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연 4회씩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2007년 11목 67과 174종, 2008년 10목 70과 192종, 2009년 11목 72과 206종이 발견되어 서 복원 후 종다양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목별 종구성을 살펴보면 복원후 2 년째인 2007년에는 교란에 강한 파리목이 28.16%의 종수를 차지하였으나 2009 년에는 17.96%로 감소하였고, 그 외 목들도 다양성이 늘어나며 점차 군집이 안정 되어가는 경향을 나타냈다. 조사구간별로는 도심지로서 인간의 이용 등 교란요인 이 많으며, 하폭이 좁고 곤충서식지 폭도 좁은 1, 2번 조사구역에 비해 곤충서식지 가 넓고 인간의 교란이 적은 3, 4번 지역이 높은 종다양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2009년 최초로 시행된 야간채집에서는 주간채집 때 나타난 종다양성에 비해 상대 적으로 낮은 종다양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다양한 조명이 주광성을 지닌 야행성 곤충에게 심각한 교란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10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cotis selenaria, a major geometridae moth in citrus trees, annually damages the citrus leaves and fruits. The surface of young citrus fruit were usually fed by 1st larva of A. selenaria after landing or stepping onto the citrus fruits. To protect the larval damages of citrus fruits needs to predict the accurate occurrence time of the 1st larva for spraying. Because larval occurrences is dependent on the oviposition of adult female and the eggs were not found in/on citrus trees, oviposition model of A. selenaria linked with the egg development model will be helpful of protecting larval damages on citrus fruits. Adult longevity, survival and fecundity of A.selenaria was investigated at 13, 16, 20, 24, 28, 30, 32, and 35℃. The longevity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the female development rates (1/median longevity) were well described by a modified sigmoid model, which was used to calculate the adult physiological age. Description of the total fecundity was used by a non-linear model: The maximum fecundity of A. selenaria was estimated as 2490 eggs and peaked temperature was 19.7℃ according to the fecundity model. The cumulative age-specific oviposition rate and the age-specific survival rate was well described by 2 parameters Weibull function and a reverse logistic curve respectively. Total fecundity model, age-sepecific oviposition model, and age-specific survival model were incorporated into the oviposition model.
10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0년에 사과주산지인 경북 군위, 상주, 의성, 청송, 칠곡, 경남 거창, 전북 장 수, 무주, 전남 장성 등 9개 지역 24개 일반사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유 무와 발생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발생예찰용 복숭아순나방붙이 성페로몬 트랩과 복숭아순나방 트랩을 설치하고 4~9월까지 트랩에 유살되는 유살수를 조사하였 다. 또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 교미교란제로 사용되는 Confuser-R에 대하여 복숭아순나방붙이도 교미교란 효고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복숭아순나방 붙이는 9개지역 24개 사과원 모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숭아순나 방붙이의 연간발생량은 사과원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연간발생량은 15~514 마리로, 복숭아순나방의 연간 발생량 140~592마리에 비하여 적었다. 복숭아순나 붙이의 연간 평균발생량은 198마리로 복숭아순나방 379마리에 비하여 약 0.5배 정도 적었다. 복숭아순나방붙이의 연간 발생량은 상주 > 칠곡 > 청송 > 군위 > 의 성 > 장수 > 거창 > 무주 > 장성 순으로 나타나서, 경북지역 사과원이 복숭아순나 방붙이 발생량이 많았으며, 전라도 지역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향이었다. 경북 군 위의 사과시험장에서 심식나방류 교미교란제인 Confuser-R를 처리한 구와 처리 하지 않은 구에서 복숭아순나붙이의 연간 유살량을 조사한 결과, 교미교란제 처리 구에서는 발생예찰용 성페로몬트랩에 전혀 유살되지 않았으며, 교미교란제 미처 리구에서는 연간 245마리가 유살되었다. 따라서, 교미교란제인 Confuser-R이 복 숭아순나방붙이에도 교미교란 효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04.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과원 나무좀은 나무내부에 갱도를 만들며, 갱도 내에는 나무좀과 공생하는 암브 로시아균(Ceratocystis sp.)이 번식하게 된다. 나무좀 성충이 산란하면 부화한 유충이 암브로시아균을 먹게되며, 일반적으로 암브로시아균의 독소가 나무를 급격하게 약화 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사과원에 사용되는 살균제가 나무좀과 공생하는 암브로시아균 에 대해서 약효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과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트리아졸계의 테부코나졸 수화제와 구아니딘계의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액상수화제, 스트로빌루린계인 트리플록시트로빈 액상수 화제를 선정하여, PDA 배지상에서 0.5ml 씩 약제를 분주하고 조직배양 한 암브로시 아균 균사를 5mm씩 지름을 잘라서 접종한 후에 균사 생장속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 과, 트리아졸계의 테부코나졸 수화제를 처리한 구에서 암브로시아균의 균사 생장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실험으로 트리아졸계의 테부코나졸 수화제, 비테타놀수화제, 헥사코나졸 수화제에 대하여 약효를 검토한 결과, 처리구 모두 약효 가 인정되었으나, 테부코나졸 수화제 처리구에서 암브로시아균의 생장억제 효과가 가 장 우수하였다. 암브로시아균을 몸에 보유하고 있는 오리나무좀을 테부코나졸 수화 제에 침지하여 건조시킨 후에 PDA배지에 오리나무좀을 접종한 후, 암브로시아균의 생장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구와 동일하게 암브로시아균이 생장하였다. 이는 암브로시아균낭이 오리나무좀 가슴의 등판 내부에 존재하여 약제가 제대로 침투 하지 못한 때문으로 추정된다.
105.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ield survey were conducted in to evaluate the insect damage to growing Lemonbalm(Melissa officinalis). Lemaonbalm, belonging to the Lamiaceae family, is a smelling perennial shurb which is possible to grow in Korea. To date, there has been minimal research regarding plant culture, pest insect occurrence and management research about herbal plants in Korea. Meanwhile, it grows for processed food and cosmetics in Jellabukdo, and necessity to pest management is on the rise. Chrysolina exanthematica(Coleoptera: Chrysomelidae) was realized not pest but general insect in Korea. But, in this survey, it is found to pest about lemonbalm. Damage period was concentrated in April. Rest period was decreased in density. At size of Chrysolina exanthematica, larva is 7.0*3.6mm, pupa is 8.3*5.3mm, and adult is 9.7*6.7mm. In farm surveying about Chrysolina exanthematica host preference of 5 species herb plants, Lemonbalm has great preference but, Oregano has no preference. Surveying leaf damage about 6 species in Lamiaceae family in lab., Lemonbalm belonging to Melissa genus has great damage, Some species in Mentha genus have little damage. And, Oregano in Origanum genus no damage. In Growth characteristics of healthy and damage plant, plant length on damage plant is decreased 41.3%, number of tiller is decreased 67%. Fresh and dry plant weight of damaged plant is decreased 66.7%, 64.2% compared with healthy plant. Because damage of insect can influence on plant main contitutents, we analysed the constitutent parts of extracts from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ystem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106.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icanula sp.으로 추정되는 날개매미충 일종이 2010년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일대와 예산군 덕산면 일대에 대발생하여 농작물에 피해를 주었다. 성충의 몸체 색과 형태를 보아 먹날개매미충(Pochazia albomaculata (Uhler))로 오인될 수 있 으나 약충의 형태와 성충의 날개에 존재하는 점무늬 모양 등의 특징으로 보다 먹 날개매미충은 아니었으며 Ricanula sp.에 속하는 종으로 추정된다. 충청남도내 발 생지역은 공주, 청양, 예산, 홍성 이었으며 선호하는 기주는 두릅, 옷나무, 대추나 무, 사과나무, 밤나무, 감나무 등 대부분의 작물을 선호하였다.
10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는 대표적인 환경정화곤충으로, 우리나라 에는 1990년에 최초로 발견되어 보고(Kim, 1997)되어 외래종으로 취급되고 있는 종이다. 본 연구는 2010년 5월부터 9월 까지 시행되어 총 16개소에서 약 300개체 를 채집하였다.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해발 850m 까지 분포하는 것 으로 확인 되었다. 추계에 농가에서 발생하는 생활 쓰레기의 양적 증가에 따른 개 체수 증가를 보였다. 인가 및 음식점 근처 텃밭이 있는 유기성 폐기물이 야적된 지 역을 중심으로 주로 서식하며, 산란장소로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자연 상 태에서 동애등에(Ptecticus tenebrifer)와 서식지 및 Niche가 중첩되어 서로 극심한 경쟁관계에 있으며, 서식지 경쟁, 비행능력, 서식 밀도, 지역적 분포 면에서 동애등 에(Ptecticus tenebrifer)가 우월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사람 몸에 붙는 경우는 없었 으며, 음식냄새를 맡고 음식점 안으로 날아 들어오는 경우가 있었다. 규칙적으로 방제를 시행하는 축사, 퇴비 생산 공장, 대규모 농경지 및 주변 지역에는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애벌레 및 번데기는 야생조류가 섭취하지 않으며, 성충 은 거미류에 포식당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108.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Diptera: Stratiomyidae) is an invasive species that is thought to be endemic in Korea. The insect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thanks to its ability to decompose organic wastes. We collected the insect nation-wide in 2006 and 2010 to investigate its genetic structure based o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1 (mt CO1) haplotype. The results show that during the time period the insect seems to lose some rare haplotypes. We conclude that the insect may have experienced genetic bottleneck while its settlement in Korea. In our presentation, we show its updated haplotype network and genetic differentiation and propose potential explanations.
109.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중금속이 오염된 토양에 토마토를 심고, 뿌리 혹선충의 알을 접종한 후 토마토의 생육상과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조사하였다. 실 험에 사용된 토양은 Cd은 3.0~10.6(mg/kg), Pb은 128.6~339.0(mg/kg), Zn은 123.7~262.19(mg/kg)이 농축되어 있으며, 농경지의 중금속 기준 농축량 높았다. 중금속이 오염된 토마토 지상부의 평균 높이와 무게는 각각 19.5cm와 3.6g 이었으 며, 중금속이 오염되지 않은 토양에서 자란 토마토의 평균 키와 무게는 51.9cm와 12.5g이었다. 토마토의 키는 신뢰한계 9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으나, 무게는 편차가 커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중금속이 오염된 토양에서 자란 토 마토 뿌리의 평균 길이와 무게는 각각 5.9cm와 4.3g이었으며, 오염되지 않은 토양 에서 자란 토마토 뿌리의 평균 길이와 무게는 각각 15.0cm와 8.1g이었다. 뿌리의 길이는 99%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으나, 무게는 유의성이 없었 다. 뿌리혹선충에 의한 토마토 뿌리의 gall index는 오염토양이 1.3이었으며, 오염 되지 않은 토양의 gall index는 4.3으로 오염되지 않은 토양에서 자란 토마토가 뿌 리혹선충의 혹이 더욱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선충의 밀도는 유의 성이 없었다. 중금속이 토양내에서 농도가 높을 수록 토마토의 생육과는 음의 상 관관계를 보이며, 특히 Pb은 상관계수가 -0.62로 높았다. 또한 식물기생선충인 뿌 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에 의한 혹형성과 토양내 중금속의 농도에 대한 상관계수도 -0.62로 높았다. 중금속이 토양내 고농도로 축적되어 있으면, 토마토 의 생육에 영향을 주고, 생육중 시들음 증상이 증가하며, 식물기생선충인 뿌리혹 선충의 활동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10.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ine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is known to be a major pathogen of the pine wilt disease (PWD). However molecular pathology of B. xylophilus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the pathogenecity of PWD is related to cell wall-degrading enzymes such as endoglucanases, expansins and pectate lyases (PELs). Recently, we developed stage-specific expressed tag library of B. xylophilus and identified a novel PEL, Bx-PEL3. We cloned Bx-PEL3 gene with RT-PCR, which showed high similarity to previously reported Bx-PELs.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PEL3 was much closer to PELs of B. xylophilus than any other PELs. PEL3 has a conserved intron site as found in Bx-PEL2 in the genomic DNA analysis.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revealed that Bx-PEL1 and Bx-PEL2 were more predominantly expressed than the Bx-PEL3 in B. xylophilus. The difference of expression level among Bx-PELs according to growth condition suggests that each Bx-PEL plays different biochemical role in the pathogenesis of the PWD.
111.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충남 논산시, 부여군 시설딸기재배지에서 2010년 4∼5월에 40개의 포장의 토양 을 채집하여 식물기생선충을 조사한 결과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이 우점선충 이었으며 각각 32.5%, 52.5%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평균 밀도는 토양 100g당 뿌 리혹선충은 49마리(J2), 뿌리썩이선충은 328마리였다. 이중 뿌리혹선충과 뿌리썩 이선충이 동시에 감염된 포장은 11개포장으로 27.5%를 보였다. 뿌리혹선충과 뿌 리썩이선충이 동시에 감염된 유기농 딸기 포장의 선충 밀도는 정식시(2009. 9. 7.)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은 각각 24, 23마리/토양100g에서 5개월후에는 25.8 배(629마리) 24.3배(559마리) 증가하여 피해를 주었다. 두 선충이 감염된 포장의 딸기는 태양열 토양 소독으로 선충을 방제한 포장의 딸기에 비해 지상부 생육과 뿌리의 발달이 저조하였다.
11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yrifluquinazon, as a quinazinalone chemical group, based on a new mode of biological activity. It is reported that mode of action is modifies insect behavior, rapidly stopping feeding such that insects starve to death. Time-release feature and mortality effect on M. persicae using different pyrifluquinazon nano type and non-nano type were compared. Pyrifluquinazon nano type was formulated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 and density of used chitosan (CS 30000 0.1% and CS 3000 0.3%). In the CS 30,000 0.1%, the mortality was weakly occurred at early time, but steadily increased after 4days. Finally, we confirmed more than 70% mortality as a peak at 16days. In CS 3000 0.3%, the mortality showed about 70% until 18days as a effective controlled release. Also, We examine time-release feature and mortality effect on M. persicae according to the different pyrifluquinazon nano type(CS 30000 0.1% and CS 3000 0.3%) of concentrations. The CS 30000 0.1% bioassay results of different concentration were showed that the highest concentration(100ppm) was measured better mortality than other concentration at 0 day, but cannot confirm different effect about dissimilar concentration. However, increasing rates of M. persicae were low as treatment concentrate was high. In CS 3000 0.3% 100ppm concentration bioassay result, aphid mortality reached peak at 24 days and increasing rate also low. Additionally, for the comparing of bioassay and feeding behavior of M. persicae against pyrifluquinazon nano types and non-nano type, EPG technique was carried out. In case of non nano type, feeding inhibition efficacy was showed during 4 days after treatment, but appeared similar level with control after 10days. In CS 3000 0.3% 50ppm, residual efficacy was specially showed until 28days after treatment whereas treatments with CS 30000 0.1% were similar to the control after 22days. These result show that the change of feedinng behavior and motrality of M. persicae is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nano type or non nano type of pyrifluquinazon.
11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랭지 배추밭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을 생물 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방안은 천적 대량방사와 천적 유인식물의 도입이다. 이를 위해 2009년 4종(레드클로버, 감국, 배초향, 메밀), 2010년 3종(부처꽃, 부추, 메 밀) 식물의 천적 유인효과를 검토하였다. 배추묘 정식(15×8m/구) 한달 후(7/28) 배 추좀나방 성충 200마리를 접종하였다. 산란과 부화를 거쳐 충분한 밀도의 배추좀 나방 유충이 보이기 시작한 시기(8/9)에 배추나비고치벌(Cotesia glomerata L.) 성 충을 구당 60마리씩 방사하였다. 천적방사 후 일주일 간격으로 유인작물 시험구별 배추 10주의 잎에 붙은 고치의 수를 4주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천적방사 1주와 2 주차에 가장 많은 고치를 보인 곳은 부처꽃(Lythrum anceps (Koehne) Makino) 도 입 배추밭이었으며, 부추>메밀>무방사구 순이었다. 그러나 3주차에 접어들면 모 든 시험구에서 별 차이가 없었다. 2009년의 경우, 감국(Chtysanthemum indicum L.)이 심겨진 배추밭에서 고치가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모든 유인식물간 유의성은 없었다. 2010년 야외 고치발생 밀도는 2009년에 비해 낮았는데, 이는 2009년 8월 하순 이후부터 강수량이 극히 적어서 낮은 상대습도와 긴 일조시간 때문에 배추좀 나방 발생량을 증가시켰고 이는 천적기생률 및 고치개체수의 증가를 가져왔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배추좀나방의 기생천적인 배추나비고치벌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부처꽃을 배추밭에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경제적 효과를 산정하기 위한 부처꽃 재식밀도에 대한 시험이 요구된다.
114.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ine wilt disease (PWD) represents a major threat to forest ecosystems worldwide. Although PWD is now better understood, effective control measures for this disease have still not been devised. Here, we report several years of field studies on preventative silvicultural control of PWD. Silvicultural control through preventative clear-cutting and the manual removal of logs was implemented between 2005 and 2009 in 16 Korean districts that had newly PWD-infected stands. Preventative clear-cutting of neighbouring asymptomatic pine trees (within a 10 to 50-m radius ofwilt trees) and the removal of felled logs or branches suppressed spread of PWD. Occurrences of PWD wilt pines in districts (city or county) subjected to this silvicultural control method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ose in districts using conventional controls (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wilt pine trees). Through silvicultural control, PWD was successfully suppressed in 11 of 16 districts investigated. In contrast, successful control was achieved in only 1 among 18 districts subjected to conventional control. Our results will be of considerable interest to those engaged in the very difficult battle against the global spread of PWD.
115.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arge amounts of genetically modified (GM) grains, including maize, cotton and soybean, have been imported to Korea for food, feed and processing (FFP). To evaluatethe environmental impacts, particularly on non-target insects, of FFP GM grains of unknown source, it is a prerequisite to identify Cry protein types in the test GM grains and to establish proper risk assessment protocols. Imported GM maize grains were randomly obtained and their Cry toxins were analyzed by ELISA using Cry1A, Cry1F, and Cry3A antibodies. Since all tested GM maize grains contained Cry1A, Tenebrio molitor, a non-lepidopteran species, was selected as a non-target insect species. A domestic maize strain was used as a non-GM control, which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in major nutritional composition from the GM maize grain. Slightly increased survival rate and head capsule width of T. molitor larvae were observed when reared on GM maize powder, demonstrating no sub-chronic adverse effects of GM maize on T. molitor larvae. Head capsule width of T. molitor neonate increased steadily from hatch to 70-day-old, regardless of being fed Bt or non-Bt maize. ELISA test using Cry1A-antibody revealed that concentration of Cry1A protein slowly increased in the whole body of T. molitor from 0 to 50 post-feeding days when the insects were fed GM maize but rapidly decreased within 5 days when Bt maize-fed larvae were transferred to non-Bt maize, showing that the Cry toxin is not accumulated inside the body of T. molitor once the exposure source is removed. In addition, no Cry protein was detected in the hemolymph of the larvae reared on Bt maize, suggesting little possibility of Cry toxin exposure to higher tropic level. Taken together, the imported GM-maize grains is not likely to cause any side impacts on non-target insect T. molitor.
116.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quantitative sequencing (QS) protocol was established for predicting the frequencies of the A298S and G324A mutations in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type-1 acetylcholinesterase locus, putatively involved with organophosphate and carbamate insecticideresistance. The nucleotide signal ratio at each mutation site was generated from sequencing chromatograms and plotted against the corresponding resistance allele frequency. Frequency prediction equations were generatedfrom the plots by linear regression, and the signal ratios were shown to highly correlated with resistance allele frequencies (r2>0.987). QS analysis of 15 representative regional field populations of DBM in Korea revealed that the allele frequencies of both A298S and G324A were over 70% in most field populations. As judged by inhibition assay, all populations showed resistance to paraoxon, DDVP, carbaryl, and carbofuran. In addition, different DBM strains exhibited differential sensitivities to both OPs and CB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inhibitor, implying that the resistance of DBM against OPs and CBs is saturated and widespread in Korea.
117.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ematicidal activities of 102 Korean domestic plant extracts which have not been tested before against B. xylophilus. Nematicid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were varied according to plant species and extraction part. Among 102 plant extracts, 42 plant extracts in 22 families showed >50%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pine wood nematode at 10 mg/mL concentration. Among 31 wood extracts, very strong nematicidal activity (100%) was produced from extract of Neolitsea aciculate, Prunus sargentii and Rhus chinensis at 10 mg/mL concentration. Extracts from Camellia japonica, Carpinus cordata, Daphniphyllum macropodum, Eucommia ulmoides, Ilex cornuta, Myrica rubra, Vaccinium bracteatum, and Zelkova serrata showed strong nematicidal activities (80-99%). The other samples exhibited activities <80%. In a test with leaf extracts, strong neamticidal activity was observed in extract of Machius japonica (100%) followed by Picea koraiensis (99.4%), Meliosma oldhamii (82.7%), and Zelkova serrata (81%). The other 37 plant species revealed <80% mortality. Strong nematicidal activity (>80%) was observed from bark extract of Carpinus cordata, Comus kousa, Cryptomeria japonica, Machius japonica, Quercus glauca and Zelkova serrata. Nematicidal activity of other 19 bark extracts was less than 80%. Twig extract of Smilax china and fruit extract of Forsythia koreana showed 86.6 and 81.4% nematicidal activity at 10 m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118.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irst commercial bioinsecticide in Korea was registered in 2003 to control diamond back moth and beet armyworm in Chinese cabbage using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Currently, fourteen microbial pesticides have registered in Korean market. The Korean government is aiming for 40% reduction (from the 2004 value) in the use of chemical pesticides by 2013. To increase the use of microbial pesticides as an alternative of chemicals, we conducted in vitro bioassay with Bt products. Bt products were treated alone and in combination against larvae of beet armyworm, diamond back moth and tobacco cutworm. Five Bt products shown high mortality against diamond back moth in recommended concentration, but had low control effects against beet armyworm and tobacco cutworm. Mixed Bt products had no synergic effects against the tested three moths. When Bt products were sprayed with higher concentration than recommended dose, those mortality was similar with lower concentration.
119.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9년 5월에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수경재배 비닐하우스에 가지를 정식하고 담 배가루이를 접종하였다. 난황유 200배액, 님제 500배액, 은행과육 발효액 10배, 돈 분침출액 50배액, 제충국제 100배액, 은행잎추출액 200배액, 고추씨기름 200배 액, 고삼추출액 10배액 그리고 대비구로 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1000배액과 증류 수를 7일 간격으로 분무처리 하면서 담배가루이의 발생, 가지 생육과 수량을 조사 하였다. 초기 생육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정식 73일후 생육은 초장, 엽장, 절수 등에 서 디노테퓨란, 님제, 돈분침출액, 난황유, 은행과육 순으로 양호하였고, 고삼추출 액과 증류수 처리가 저조하였다. 성충발생은 디노테퓨란이 3.5마리/4cm2로 가장 적었고, 님제 4.4, 난황유 6.2, 은행잎추출액 7.9마리/4cm2 순 이었으며, 고삼추출 물과 증류수가 각각 10.6, 11.9마리/4cm2로 많았다. 약충발생에 있어서도 디노테 퓨란 0.2, 님제 1.0, 고추씨유 5.0, 난황유 6.0마리/4cm2순으로 적었고, 고삼추출물 과 은행과육이 11.5마리/4cm2, 증류수처리가 12.1/4cm2로 많은 발생을 보였다. 수량은 디노테퓨란이 597.9g/주로 가장 많았고, 님제 308.2g/주, 고추씨유 240.7g/주, 난황유 224.8g/주 순이었으며, 증류수 182.3g/주, 은행과육 161.7g/주, 고삼추출물 130.0g/주로 적었다. 담배가루이 약충의 경우, 증류수 대비 화학농약인 디노테퓨란은 98%의 방제효 율을 나타내었고, 천연물질로는 님제 92%, 고추씨유 59%, 난황유 50%의 방제효 율을 나타내었다.
120.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otton aphid, Aphis gossypii (Glover), is one of the most serious pest in seed potato and various vegetable cultivation. The imidacloprid resistant strain (IR) was over 200 fold more resistant to imidacloprid compared to the susceptible strain (S) as judged by the LC50 values and IR showed cross resistant to acetamiprid, thiamethoxam, thiacloprid, clothianidin. By using the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method, a imidacloprid resistant associated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in adult cotton aphid. In total 115 differentially expressed cDNA clones were obtained. Any point mutation detected in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alpha 1~5 and beta 1 subunits in the IR. Based on IEF, the IR general esterase isozyme banding patterns were identical with that of S.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