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발표대회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7 (사)인간식물환경학회· 농촌진흥청 공동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2017년 6월) 87

21.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해양투기의 기준이 엄격해지고 있는 현재의 실정에 맞추어 양식장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자원의 선순환의 개념으로 이를 토마토 재배에 적용하여 도시농업용 비료로서의 이용가치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용 작물로는 완숙형 토마토‘슈퍼 선로드’를 사용하였으며, BFT 배출수는 내수면양식연구센터 틸라피아를 양식하고 있는 양식조의 물을 채취하여 무처리, 상업용 하이포넥스500배 희 석액, 배출수 원액을 매일 관주, 배출수 원액을 1주에 1회 관주, 완효성 고체비료 시비 등 5처리로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배출 수원액을 매일 처리하는 구가 T/R율과 엽록소함량이 제일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과실의 당도도 제일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토마토의 기 능성 물질은 리코펜함량의 결과에서도 하이포넥스와 관행의 재배방법보다 3배가 많은 함량의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토마토 체내의 무기성 분의 함량결과 질소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제일 많은 결과를 보여 비료사용으로서의 보완점을 연구해야하는 문제점도 보였다. 하지만 생육 과 기능성 물질의 함량결과등을 고려하여 본다면 BFT 양식 배출수의 비료효과에 대한 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2.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LOB(floral object)이란 다양한 재료, 화훼 표현기법과 작가의 예술의식이 조합되어 새로운 조형성과 예술성을 추구하며, 식물이 가진 본 래의 형태를 해체하여 전혀 다른 오브제적인 특성을 보여주는 현대 화훼조형의 장르이다. FLOB 작품은 1980년대 이후 국내 화훼조형작품 에서 두드러지게 보여지나 이에 대한 선행연구가 적고 FLOB 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화훼작가들의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의 FLOB에 대한 인식 및 표현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 남녀 플로리스트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 분석을 하였으며, 2007-2015년 까지 발표된 화훼조형작품집과 매거진에서 해체적 특성이 명확히 나타난 FLOB 작품 230점을 표집, 분석하여 사용된 소재, 형태, 표현기법 에 따라 분류된 FLOB 디자인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다양한 화훼조형의 표현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된 표집작품의 조형형태는 ‘기하형태(54.7%)’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소재유형은 ‘절엽’(31.0%), 소재해체방법은 ‘분해’(50.4%), 표현기법은 ‘gluing’(46.8%), 작 품 활용도에서는 ‘공간장식'(50.5%)이 가장 많은 비율을 보였다. FLOB 디자인의 인지도 분석 결과 ‘매우 잘 알고 있다’와 ‘알고 있다’의 비 율이 전체 응답자의 60.5%를 차지하였으며, 40대 이상, 10년 이상 화훼장식 경력의 플로리스트들에게서 인지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FLOB 디자인을 아는 그룹과 모르는 그룹 간 해체적 특성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한 결과 ‘표현기법’에 대한 인식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해체적 특성에 적합한 소재의 이해도를 분석한 결과 절화소재는 두 그룹 모두 Gomphrena globosa의 적합성이 가장 높으며 Helianthus annuus는 그룹 간 큰 인식 차이를 보였다. 절엽소재는 FLOB 디자인의 인지유무에 상관없이 Magnolia grandiflora > Aspidistra elatior > Galax urceolata 순으로 FLOB 디자인에 알맞은 소재로 인식되었으며, 절지소재는 인지유무에 따라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열매소재 의 경우 Smilax china가 가장 높은 적합성을 보였다. FLOB 디자인의 해체적 특성을 플로리스트들이 본인의 화훼 작품에 사용하고 있는 비 율은 전체 응답자의 76.2%이며 그 중 자신의 화훼작품에서 FLOB 디자인의 해체적 특성이 실제로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고 작품을 완성한 비율은 60.7%로 나타났다. 화훼작품 제작 시 FLOB 디자인의 해체적 특성 사용여부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3%가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사용 의향이 있는 플로리스트들은 대부분 재료의 물성, 다양함 표현(55.7%)과 시각적 조형효과 극대화(40.2%)를 위해 장식용 디자인작품(43.4%)이나 예술 표현의 전시조형작품(40.2%)에 해체적 특성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FLOB 디 자인을 제작함에 있어서, 디자인 목적에 맞는 적절한 소재의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소재가 지닌 형태적 특성과 물성, 시간에 따른 변이성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3.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대규모 국책사업의 축소와 소규모 공사 및 정원의 수요 증가로 녹지조성용 조경수와 기능성 조경수, 정원수 등으로 용도 및 수종별 맞 춤형 조경수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정원수로서 꽃과 수형이 아름다운 규격화된 조경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노지재배에 비하여 컨테이너 재배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산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정원용으로 활용되는 목본식 물인 소나무(Pinus densiflora), 단풍나무(Acer palmatum), 무궁화(Hibiscus syriacus), 서양수수꽃다리(Syringa vulgaris),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피라칸다(Pyracantha angustifolia) 3년생을 용적 40L의 흑색 플라스틱 용기에 원예용상토(펄라이트 40%+피트모 스 60%)와 황토를 1:1로 혼합하여 정식하였다. 정식 후 뿌리 활착을 위하여 1개월 간 정상관수로 관리한 후 관수개시점 토양수분을 1, 5, 10, 15, 20%로 조절하여 2년간 생육변화를 조사하였다. 소나무의 생육은 수고와 지하부 생체중 15%, 수관폭과 지상부 생체중 10%에서 높 았으며 무궁화는 수고와 지상부생체중 15%, 수관폭 20%에서 높았다. 이팝나무는 수고 15%, 수관폭 20%, 지상부 생체중 5%, 지하부 생체 중 10%에서 높았다. 단풍나무와 피라칸다는 수고, 수관폭, 지상부 생체중 모두 20%에서 높았으며 서양수수꽃다리는 모두 15%에서 높았 다. 최종 생체중을 기준으로 최적 관수개시점을 설정하면 소나무 16.2%, 무궁화 16.9%, 서양수수꽃다리 21.6%, 이팝나무 15.9%가 적정하 였으며, 단풍나무, 피라칸다는 20%이상으로 수종별로 다르게 나타나 용기재배시에 수종별로 적정 관수개시점을 달리하여 재배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24.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터넷의 등장과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으로 인하여 SNS 사용 인구가 증가하며 SNS를 통한 마케팅의 중요성이 점점 확대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SNS 마케팅 활용성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플라워샵의 SNS 마케팅 특성이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SNS 특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화훼디자인 상품의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 구에서는 SNS 특성을 사용자의 관점으로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접근편의성, 신뢰성 4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고, SNS 특성이 화훼디 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정한 9개의 가설을 토대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SNS의 이용실태에서는 SNS 의 사용여부를 묻는 질문에 91.2%의 응답자가 사용한다고 하였으며, 42.3%의 응답자가 1시간 미만의 SNS 사용시간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으로는 정보지식 습득 및 공유(36.1%)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범주(정보제공성, 상호 작용성, 접근편의성, 신뢰성) 모두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 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 중 정보신뢰성과 접근편의성에 의하여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 되었을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화훼장식품의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플라워샵의 SNS에 서 게시하는 게시물의 정보에 대한 신뢰성과 원하는 이미지와 정보를 보기 좋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요인들이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화훼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신뢰 성(β=.354)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접근편의성(β=.319) 또한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디자인 상품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의 하위요인에도 신뢰성이(β=.456)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플라워샵의 SNS 활용특성이 화훼 디자인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신뢰성과 접근편의성 요인을 강화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5.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내수면양식장의 BFT 양식 배출수의 도시농업용 활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본 연구진에 의해 진행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도시농 업용으로 한정된 연구에서 비료가 다량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는 과수에의 활용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어 누구나 가정에서도 재배가 가능한 블루베리에서 BFT 배출수의 효과를 구명하여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BFT 배출수는 내수면양식연구센터 틸라피아를 양식 하고 있는 양식조의 물을 채취하여 무처리, 농장 관행법, 배출수 원액, 배출수 1/2희석액, 배출수 1/4 희석액 시비 등 5처리로 실험하여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블루베리의 총생산량과 과립당 무게는 처리간 유의성이 없어 배출수가 기존의 비료를 대체하여도 블루베리 열매 의 생육에 영향을 주지 않아 비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과실내 무기성분의 변화에서는 나트륨과 철의 함량이 높게 나와 이를 줄일 수 있는 배출수 비료화의 또 다른 연구 점을 보여주고 있다. 블루베리의 고유 기능성 물질인 안토시아닌의 함량 결과에 서는 처리에 따른 일관성을 보이고 있지 않아 기능성물질의 변화에도 배출수의 처리가 나쁜 영향을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어 블루베리의 재배에 있어서도 배출수의 비료활용도는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비료로서의 사용가능성을 더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정제된 배출수의 사용과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배출수의 가공적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라북도 정읍에 거주하는 60대 이상의 여성 199명을 대상으로 2017년 2월초부터 3월말까지 분대로 불리는 식물에 대해 인지 정도와 정명 및 이명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예비 조사에서 얻어진 결과를 참조해 관련 사진을 준비하여 응답자들에게 보여 주면서 연령대, 지역별에 따 른 지역명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분대로 불리는 식물은 수리취와 절굿대였는데 정명에 대해 알고 있는 응답자는 수리취의 경우 1명뿐이 었으며, 절굿대에 대해서는 없었다. 응답자들이 수리취에 대해 알고 있는 이름은 분대(107명), 모름(12명), 함박분대(6명), 넓적분대(2명), 수리취(1명) 순이었다. 절굿대에 대해 알고 있는 이름은 가새분대(90명), 모름(25명), 가시분대(15명), 쐐기분대(1명) 순이었다. 응답자들 이 수리취에 대해 알고 있는 이름은 1종류의 경우 98명(82.3%), 0종류는 12명(10.0%), 2종류는 9명(7.6%)이었다. 절굿대에 대해 알고 있는 이름은 1종류의 경우 84명(70.6%), 0종류는 25명(21.0%). 2종류는 9명(7.6%), 1종류는 1명(8.4%)이었다. 연령대별로는 수리취의 경우 존 재 자체를 모른다는 응답은 모두 70대 이하에서 나타났는데, 특히 60대가 8명으로 66.7%를 차지했다. 절굿대에 대해서도 존재를 모른다는 응답은 60대가 18명으로 72.0%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정읍에서 60대 이상 여성들은 수리취와 절굿대에 대해 주로 분대로 부르면서 접두어를 사용해 구별하고 있었다. 또 수리취와 절굿대를 이용한 떡문화 쇠퇴와 함께 이들 식물에 대해 존재를 모르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따라서 정명에 대한 인식 확산과 이들 식물의 용도 확대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활용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27.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금강수계 수변생태벨트 복원지를 대상으로 입지현황을 파악하고, 생태현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입지유형별 생태적 특성을 파악 하고, 자연성과 종다양성 비교분석을 통해 조성 및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금강수계 매수 토지 중에서 수변생태벨트 조 성이 완료된 6개소를 선정하였다. 입지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주변 토지이용현황(대상지의 반경 30m 범위지역)의 토지피복면적에 있어 산 림과 경작지, 시가화 지역 비율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대상지별 입지유형을 산림형, 경작지형, 시가화형으로 구분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으로 대상지의 일반적 개황과 입지유형별 자연생태 현황 조사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대상지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 하여 식물생태와 동물생태로 구분하여 계절별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물생태에서는 식물상을 토대로 대상지별 자생종수, 변종/품종, 총 분류군, 귀화종수와 도시화지수를 조사·분석하였으며 대상지의 현존식생 현황을 파악하였다. 동물생태에서는 야생조류, 양서파충류, 포유류, 나비류, 잠자리류의 현황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에 의거하여 종수/개체수 및 종다양도를 분석하였다. 분류된 입지유형에 따 라 자연성과 종다양성 항목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자연성에서는 전체 대상지의 자생종 비율이 77.5%∼92.4%였으며, 귀화율은 7.6%∼22.5%, 도시화지수는 3.4%∼10%를 나타내었다. 산림형에서 시가화형으로 갈수록 귀화식물 출현이 증가하여 귀화율과 도시화지 수가 점차 높은 비율을 보였다. 종다양성으로 종수는 33종∼61종이 출현하였으며 개체수는 190개체∼313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종다양도 는 0.5940∼1.1423로 나타났다. 입지유형별 생태적 조성 관리방향으로 산림형은 목표종 서식을 위한 중점 보전관리형으로 제안하였다. 본 대상지는 산림 내부의 조성숲 (바이오순환림 조성지)과 묵논형 습지로 구분되었다. 2개 대상지 모두 산림 내부에 위치하여 있고, 조성숲은 다양한 야생조류 서식지로서, 독수리 등의 멸종위기종 서식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보전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산림 내부의 개간형 묵논 습지는 지표 곤충류(나비류, 잠 자리류)의 서식지로서 최적화할 수 있는 지역이었다. 그 가운데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종인 꼬마잠자리가 서식하고 있어 목표종 중 심의 보전형 집중관리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대상지내 개방수면과 낮은 수심 유지, 생태적 천이진행에 따른 수생식물 유지관리가 요구되 었다. 경작지형은 주변에 경작이 진행되고 있는 묵논형 습지로서 지표 곤충류(나비류, 잠자리류)를 중심으로 한 생물종다양성이 풍부한 서 식환경을 제공하고 있어 개방 수면과 다양한 수심, 수생식물 관리 등의 양호한 서식 환경의 유지가 필요하였다. 특히, 대상지 주변에 경작이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습윤, 건조가 반복되는 환경 속에서 생태적 천이진행이 매우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시가화형은 도 시화지역내에 위치하며 인간의 이용강도가 높았던 훼손된 지역이었으므로 현재, 경관수 중심으로 복원되어 경관성 향상과 생태교육, 홍보 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상지였다. 그러나 도시화지수 및 귀화율이 높았기 때문에 생태계 교란 야생식물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였다. 향후, 입지유형별 관리 방향성 설정에 따른 세부 관리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며, 생태환경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진단과 예측을 통한 체계적 인 모니터링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8.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rban green spaces can mitigate negative impact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by creating cooling buffer zones. These cooling areas improve micro-climatic conditions and human health. Green space is important to reducing urban air temperature maxima and variation. Thus, there is an expectation that small green spaces (SGs) provide high cooling effects and thus make air temperatures drop. Meanwhile, such an effect in urban areas has been under-explored and needs more detailed spatial and temporal data.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measurement method to detect temperature of various SGs with TVC and find the effect of TVC on accuracy of measured air temperature data in comparison with other non ventilation devices. We updated the cad file of the study site through comparing it with Google Map and conducting field surveys on the site. Transect survey was required to build a measurement route. We toured the study site by walk repeatedly to get the optimistic route which would have enough data points. One of considered routes which were inside of the forest and could make us get significantly influencing data was not founded for no trails so excluded in our study. After the field survey, we observed the study routes through a digital camcorder (Gopro) and recorded them on the cad file of the site because these data points should include air temperature and time data in their attribute table. As for transect survey, a researcher walked through the defined routes and collected air temperature data with two TVCs every second and two Testo loggers covered by aluminum foil every minute at the height of 1.5m from the ground. Statio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two TVCs in every second data collection and two Testo loggers covered by aluminum foil in every minute data collection on the resting area at the entrance of the site. One of TVCs and one of Testo loggers were set at the height of 0.5m while the others of TVCs and Testo loggers were at the height of 1.5m. On the stationary point, other microclimate variables such as wind velocity, wind direction and solar irradiance were also measured and recorded every minute. We repeated the measurement for one day or two days a month (November, 2016 ~ May, 2017) and four times a day. The measuring days were selected when they were clean and calm. As a result, air temperature from TVCs was entirely lower than that from Testo loggers on the stationary survey. This trend was shown during the day rather than after sunset. The difference of air temperature from between TVCs and Testo loggers ranged from 2 ℃ after sunset to 5 ℃ at 16h. At the height of 0.5m, a Testo logger's data showed much higher than a TVC's data. These results show that Testo loggers tend to be easily influenced by the change of solar radiation. Moreover, there was the ventilation effect at the stationary. So no ventilation could be the main reason why Testo loggers' data were high. However, TVCs' lower temperature explains how effectively these devices block the solar radiation and ventilate air inside the cylinder.
29.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search to reduce urban temperatures and mitigate the Urban Heat Island (UHI) effect has focused primarily on the role of large urban green spaces as cool islands (Oke, 2004;Park et al., 2017). However, the role of small green spaces (SGs) such as street trees and pocket parks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mitigating effect of SGs on micro-UHI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air temperatures of SGs and non-green spaces (NGs), that include building-shaded spaces (BS) and non-shaded, impervious, paved spaces (PS) completely exposed to sunlight. Six urban blocks were the study site and in a highly developed area, Jongnogu and Junggu, Seoul, 37°34′N 126°58′E, South Korea and also located in the same micro-climatic zone. They had SGs which were vegetation patches presented as distinct areas of tree cover. And they were mapped through aerial images analysis and field surve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cross six urban blocks in a highly developed area in Seoul, South Korea during daytime in summer. Two researchers at each block simultaneously recorded air temperatures at 1.5 m above the ground level using mobile loggers at one-minute intervals for an hour. Measure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and 1,296 temperature readings were collected in total and made 174 mean temperature data. ArcGIS was used to perform solar radiation analysis to highlight SGs, BSs, and PSs on a thermal map. The highest air temperatures and the lowest air temperatures of each block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ANOVA and Kruskal-Wallis H test utilizing SPSS statistics were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air temperatures between SGs (TSG), PSs (TPS), and BSs (TBS). As a result, ΔTPS-B (the thermal effect of PSs on a block‘s air temperature) ranged from –1.38 ℃ to 2.28 ℃ with fifty-six points, ΔTBS-B (the thermal effect of BSs on a block’s air temperature) ranged from –2.38 ℃ to 2.38 ℃ with fifty-eight points and ΔTSG-B (the thermal effect of SGs on a block’s air temperature) ranged from –1.98 ℃ to 1.62 ℃ with sixty points. 68% (N = 41) of SGs were a negative number of ΔTSG-B while 50% of BSs shows a negative number. The result means that SGs contribute to reducing microscopic UHI than BSs which have much more shade area than SGs have. The results showed that SGs contributed to significantly reducing TBi up to 2.9 ℃ while BS reduced TBi up to 2.7 ℃. The highest TBi was on a PS. The air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SGs and NGs over all the blocks ranged from 0.9 ℃ to 2.9 ℃. The air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PS and SG was significant and ranged from 0.2 ℃ to 2.0 ℃, while the difference between BS and SG was significant and ranged from 0.1 ℃ to 1.2 ℃.
30.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spite the expectation that small green spaces provide high cooling effects, making air temperatures drop such effect in urban areas has been less explored in comparison to larger parks and urban forests. These knowledge gap has required advanced techniques to record spatial and temporal data and analysis small green spaces cooling effects. A temperature-sensing unit with ventilated double cylinder shelter (TVC) meets the needs and is known as an advanced device to record temperature data more accurately using a T-type thermocouple with a ventilator. This device also can be useful to develop guidance to describe thermal environment with a finer scale and an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for identifying air temperature data with spatial analysis using TVC. However, how we would conduct transect survey with this device and make a thermal map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s not well know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usage of TVCs in collecting air temperature data and was to produce a thermal map of the study site and analyze temperature mitigation effect of each green space. The processes to create a thermal map required complicating, endeavoring and time-consuming works as well as skills to use computer programs for space drawing and spatial analysis. The overview of all the processed to get a thermal map should be helpful for researchers and students. Collected air temperature data and recorded time of them were downloaded, converted to Excel file (XLS) and ready to be analyzed through ArcGIS 9. In the mean time, recorded transect routes were drawn on the site map as polylines and made into spatial points through AutoCAD 2007. The routes consisted of five routes classified into the lawn, the rain garden, the residence, the prairie, and the forest. Separately, each route was drawn because it should reflect its spatial and temporal specification as for when the measurement was conducted. The spatial points of each route created by AutoCAD were converted to shape files (*.shp) and added fields of air temperature and time data in their attribute tables through ArcGIS. This work was done in each measurement hour and day. To create a thermal map, were shape files of each measurement time and the boundary of the site required. IDW (Inverse Distance Weighted) in ArcGIS was analyzed for each measurement hour (10h, 13h, 16h and 19h (20h)). In each analysis, the spatial points of measured air temperature were calculated to get an isotherm distribution for the measurement hour which we call a thermal map. The thermal maps show the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at 10h, 13h, 16h, and 20h. They also can show how land covers have an impact on the change of air temperature on their point and the surrounding areas. The air temperature of the prairie raises up in the morning (21℃) and continues to be cool during the day and after sunset. Meanwhile, the lawn starts at lower air temperature and goes to hotter. The residence is kept lower in its air temperature by big trees. The rain garden and the forest seem to have more time to discuss on why they are not sure their cooling effects.
31.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화활동에 따른 인간의 생리 및 감성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대 피험자 남녀 총 31명을 대상으로 뇌파, 심박변동성, SD(semantic differential)법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각각 10분씩 유리용기(지름 30cm)에 분화식물을 장식하는 작업, IT활동(문서 작성)하는 작업을 실시 하고 사전/후 측정하였다. IT활동(문서 작성)을 대조구로 하여 분화장식활동을 비교한 결과, IT활동보다 식물활동을 하였을 때 상대적 느 린 알파파(RSA)가 대부분의 측정지점에서 높게 나타났고, 알파/빠른 베타(RAHB)가 시각기능을 담당하는 두정엽(P3, P4)에서 높게 나타 나 스트레스나 긴장감을 거의 동반하지 않은 안정, 이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화장식활동을 한 후보다 IT활동(문서작성)을 한 후 시각기능을 담당하는 상대적 빠른 알파파(RFA)가 좌반구 두정엽 (P3)에서 높게 나타나 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IT활 동(문서작성)보다 분화장식 활동을 했을 때 뇌활성도(SEF 90)가 좌반구 측두엽(T3), 우반구 후두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 나 스트레스를 동반한 상태에서 고도의 집중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분화장식활동과 IT활동을 한 후 심박수의 차이는 거의 나 타나지 않았으나 IT활동보다 분화장식 활동에서 자율신경계활동 중 부교감신경계활성의 지표인 HF(high frequency)성분이 더 높게, 교감 신경계활성 지표인 LF(low frequency)성분은 IT활동보다 분화장식활동을 한 후에서 더 낮게 나타나 IT활동보다 분화장식활동이 안정감 을 갖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뇌파분석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분화장식활동과 IT활동에 따른 피험자 선호도는 분화장식활동 (4.00/5), IT활동(2.58/5)로 분화장식활동이 IT활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SD 감성어휘조사에서 IT활동했을 때 보다 분화장식 활동을 했을 때 쾌적감, 자연감, 진정감이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분화장식활동이 IT활동보다 생리·심리적으로 안 정, 이완, 그리고 적절한 각성 상태에서 내적, 외적 주의집중력 향상 효과를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을 활용한 분화장식활 동은 스트레스가 있는 대상자들에게 적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뇌활성도(SEF 90)이 IT활동보다 높게 나온 결과는 추 후 지속적 연구를 통해 긴장의 종류를 밝혀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32.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험설계사는 직무 특성상 고객과의 대면을 통해 업무를 수행하며, 고객의 불평행동이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고(Lovelock, 2000. Harris, 2003), 감정노동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객으로부터 발생되는 스트레스가 사회적으로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일탈적 고객행 동(Mills and Bonoma, 1979)으로부터 야기될 때는 개인의 직무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거대한 직종으로 자리매김한 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에 초점을 두고 절화장식이 정신건강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 년 5월 16일~19일까지 경남 진주시 A 보험사 회의실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12명을 대상으로 단일처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는 정신건강,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꽃장식을 하기 전에 비해 장식 이 후 주 의회복이 유의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p<.000), 이는 자연환경을 접할 때 주의회복이 더 잘 될 수 있다고 밝히 여러 선행 연구 들과 유사한 결과였다(Lee, 2011). 이러한 Lee and Hyun(2003,2004)에 따르면 주의회복의 증가는 스트레스 완화 및 정서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고, 또한 휴식 및 재충전의 기능에 밀접하게 연관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처리기간이 짧아 유의적인 효과 를 보지 못하였지만, 좀 더 장기간의 처리가 이루어진다면 사무공간 내 꽃장식은 추후 보험설계사의 직무스트레스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된다.
33.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식공간 내 식물활용이 마케팅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으며 설문지를 활용해 식공간 이용자의 특성을 분석 하였다. 성별에 따른 그룹에서 독립표본 t검정을, 연령과 소득에 따른 그룹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행하였고 식물 관심도와 식물장식 선 호도에 대해 성별, 연령, 소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보다 식물 관심도가 높았고 50대 이상의 사람들이 식물 관심도가 높았다. 소득에 따라서는 그룹 내에서 월수입이 가장 높은 400만원 이상의 사람들이 식물 관심도가 높았다. 식물소재는 남 성은 잎 위주의, 여성은 꽃 위주의 소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30대-50대 이상의 그룹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잎 위주의 소재를, 낮을 수록 꽃 위주의 소재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생화와 조화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생화를 선호하는 비율(73.6%)이 가장 높았고 연 령이 높을수록 그 경향이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생화를 선호하는 이유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인 것은 ‘생명을 느낄 수 있다’ 였으며 ‘자연의 향을 맡을 수 있다’에 대한 남녀의 응답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생화를 선호하지 않는 이유에서 가장 높은 평균 점 수가 나타난 것은 ‘쉽게 시든다’였으며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비용이 많이 들 것 같다’에 대한 소득별 그룹의 응답이었다. 생 화에 대한 사람들의 긍정적인 반응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은 차별화된 마케팅을 목적으로 할 때 공간장식의 요소로써 매력적인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34.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녹화 및 정원에 이용되는 조경수목의 효율적인 재배 및 규격묘 생산을 위해서는 토양, 양분, 관수체계 등 각 수목에 적합한 재배 시스템 이 요구된다. 본 시험에서는 시비 처리 4수준(Con., 0.5, 1.0, 2.0g/L)에 따른 낙상홍의 수고 및 근원경 생장량, 묘목의 건전도(H/D율), 엽록 소 함량(SPAD Value) 등 생장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최소 시비량 대비 최대 생장 효과를 나타낸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적정 시비량을 구 명하고자 했다. 낙상홍의 수고 생장량은 시비 처리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5), 대조구를 제외한 0.5, 1.0, 2.0g/L 시험구 모두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근원경 생장량은 시비 처리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p>0.05), 0.5g/L와 2.0g/L 처리구가 무처리구 에 비해 3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묘목의 건전도를 판단할 수 있는 H/D율은 처리 수준 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p>0.05), 0.5g/L 처리구의 H/D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높은 H/D율은 바람, 가뭄, 서리 등 노출에 의한 묘목의 손상이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어 (Roller, 1977), H/D율이 낮은 0.5g/L처리구가 상대적으로 건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SPAD 값은 초기, 중기, 후기 각 기간 마다 측정되었으 며, 각 기간의 SPAD 값 모두 시비 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시비수준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본 시험 시비 처리구의 SPAD 측정값과 Kang (2003), Kang et al. (2010) 등 이 조사한 SPAD 측정값을 비교하여 살펴보았을 때 무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시비 처리구의 SPAD 값이 높은 범주 안에 있다고 사료된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낙상홍의 컨테이너 재배 시, 최소 시비량 대비 최대 생장 효과를 나타낸 처리구는 0.5g/L이며, 이는 환경과 경제 성을 고려하였을 때 적정한 시비량인 것으로 판단된다.
35.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대학생 및 청년의 게임 및 인터넷 과몰입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면서 청소년 뿐만 아니라 대학생 또는 성인들 또한 많은 문 제가 되고 있다. 그중 비교적 스스로 시간을 분배하고 혼자만의 시간이 많은 대학생 또는 20대 초중반의 성인들을 대상자로 정하여 게임 및 인터넷 과몰입에 대한 문제를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개선점과 선호도 및 기대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게임 및 인터넷 과몰입 대상 자 선별은 1곳의 pc방 사용시간이 100시간 이상인 대상자로 한국정보화진흥원(스마트 쉼센터)에서 배포한 인터넷중독진단(성인대상) 척 도를 사용하여 15문항 기준 43점 이상으로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에 해당하는 대학생 또는 청년들 총 남녀 14명을 선별 후 실험군 7명, 대조 군 7명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총 주 1회씩 13회기 약 3 개월 정도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행 후 사전 과 사후에 동일 한 총 6개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대조군은 1회기가 시작될 때 6개 측정도구를 실시하였고 3개월 후 13회기 진행할 때 동일한 측정도구 를 통해 실시하였다. 위와 같이 프로그램을 진행한 실험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의 차이를 관찰 했으며 그 결과 3개월 후 게임 및 인터넷 과 몰입의 정도가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실험군이 그렇지 않은 대조군의 비하여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 라 대학생 및 청년의 게임 및 인터넷 과몰입 대상자가 원예치료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얻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명확 하고 객관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대상자를 선별하기에 부족함이 있었으며 조금 더 객관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대상자를 선별할 수 있는 방법 을 통해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청소년 범죄는 숫자적으로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범죄의 강도는 더 강해지고 범죄내용 또한 심각해지고 있으며 재발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사회적으로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소년 범죄 청소년들은 심리적 혼란의 시기인 청소년기를 겪으며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다양한 정서 및 행동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원예치료프로그램이 남자 소년원 생들의 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전라북도 전주에 소재한 남자소년원생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 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구성하여 수행하였다. 두 그룹의 스트레스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 사후 모세혈관을 통한 심박변 이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군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12회기 실시하고 회기 중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직후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집단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 스트레스 지수를 공변량으로 처리하였을 때 집단 간 사후 스트레스 지수 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회기별 스트레스 지수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지수는 1차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소년원생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외부환경에 적 응하는 힘을 향상시켜주고 분노, 근심, 공포상태의 심리적 양상들을 완화 시켜주는데 기여했음을 나타내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기관에 수용되어있는 문제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다양하고 전문화된 인성교육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보다 더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 되 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37.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치유농업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치유농업서비스 프로그램에 사용할 수 있는 아동 용 느낌말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6년 4월 27일에서 5월 10일까지 서울, 전주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조시를 실시하고, 조사에 정확하게 답한 39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조사내용은 한국비폭력대화센터에서 제시하고 있는 느낌말 목록(162개,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71개, 욕 구가 충족되지 않았을 때 92개)으로 제시하고, 정확히 알겠다. 보통정도다. 정확히 모르겠다의 3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의 목록 중 초등학생 80%이상이 알겠다고 답한 느낌말은 고마운, 즐거운, 행복한, 사랑하는, 감사한, 기쁜, 반가운, 신나는, 감동받은, 편안한, 재미있는, 따뜻한, 뿌듯한, 평화로운, 든든한, 여유로운, 용기나는, 가벼운, 당당한, 자신감 있는, 만족스 런, 차분한, 힘이 솟는, 진정되는, 활기찬, 안심이 되는 , 흥분된, 두근거리는, 긴장이 풀리는, 상쾌한, 포근한, 흥미로운, 기운이 나는, 살아있 는, 느긋한, 감격스런, 개운한, 짜릿한, 잠잠해진, 고요한, 흐뭇한, 평온한, 통쾌한, 들뜬으로 44개 느낌말로 나타났으며, 20%의 학생만이 알 고 있는 느낌말은 원기가 왕성한, 누그러지는으로 조사되었다.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을 때의 목록 중 초등학생 100-80%가 정확히 알겠다고 답한 느낌말은 무서운, 걱정되는, 화나는, 힘든, 심심한, 슬픈, 놀란, 부끄러운, 짜증나는, 외로운, 겁나는, 답답한, 억울한, 두려운, 안타까운, 떨리는, 실망스러운, 지루한, 그리운, 서운한, 귀찮은, 불편한, 속상한, 긴장한, 우울한, 괴로운, 피곤한, 불안한, 지겨운, 민망한, 지친, 쑥쓰러운, 섭섭한, 열받는, 어색한, 질린, 신경쓰이는, 서러운, 오싹 한, 분한, 약오르는, 조마조마한, 멍한, 좌절한, 초조한, 절망스러운, 혼란스러운, 찜찜한, 허전한, 따분한, 섬뜩한으로 51개의 느낌말로 조사 되었다. 암담한, 곤혹스러운, 겸연쩍은은 20%미만의 학생들만 알고 있다고 답하였다.
38.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은 인간에게 본능적으로 친숙하며, 긴장상태에서 안정과 회복을 주고 적극적 사고와 흥미 및 관심을 증대시킨다. 식물과 원예활동을 이용한 원예치료는 언어적 지지에만 의존하지 않고 치료사와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동료와 협조적이며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활동이 가능 하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자는 집단의 한 구성원으로 자신의 존재를 깨닫게 괴고, 원예활동을 통한 타인과의 관계형성이 가능 하며, 원예치료적 자극은 긍정적인 심리적 반응을 야기하고, 이는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이어져 정서적 경험의 질을 증가 시킨다. 지적 장애 인을 대상으로 하는원예치료 활동은 일방적 지시가 아닌, 치료사, 내담자, 타인의 3박자가 상호작용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송환 작용을 강 화하여 사회가 수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행동을 인지시켜 지적장애인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교육하며 치료한다. 이에 원예치료로 텃밭 활동을 하면서 성인 지적장애 여성들의 심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6 년8월부터 2016년11월까지 서울시 노원구 D복지관에서 성인 지적장애 여성10명을 대상으로 주1회 옥상 텃밭 상자에서 원예활동을 실시 하였고 주1회 텃밭활동과 관련된 평가표를 진행 작성 하고 변화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심리행동영역은 실시 전 2.01±0.25에서 실시 후 2.72±0.43으로 향상되었고, 사회기술영역은 실시 전 2.50±0.47에서 실시 후 2.80±0.65로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치료사의 말에 집중하고 식물을 심고 스스로 물을 주며 다른 대상자와 반응하고 심리적인 안정으로 표정의 변화가 생기는 등의 긍정정인 결과가 확인 된 것이다. 또한 작물을 수확하여 먹는 즐거움을 느끼며 작은 삽을 이용 모종 심기, 물주기 등의 활동으로 대근육과 소근육 운 동을 하므로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양득의 효과가 나타났다. 지적 장애인의 재활의 목표는 좀 더 나은 사회인으로서의 자립이라 할 수 있다. 텃밭활동은 식물의 모습을 익히고 자기 조절력이 향상되며 작물수확 후 요리활동으로 일상생활훈련에도 도움을 줄 수 있었다. 앞으로 더 다양하고 많은 텃밭활동을 통해 자신감 배양, 사회성 증진, 일상생활기술을 향상시켜 좀 더 나은 사회인의 자립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많은 보급이 필요함을 제안 하는 바이다.
39.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5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65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3.2%를 차지하며 전체 노인 인구 중 독거 노인수가 2020년에 343만 명으로 늘 어날 전망이다(통계청, 2015). 독거노인은 일반 노인에 비해 친인척 등으로 부터의 도움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일상생활 수행에서도 도 움을 제공받기에 취약하여 우울감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Smith et al., 200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물을 매개로 한 다양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독거노인들의 우울증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D광역시 자원봉사센터에서 독거노 인 15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12일부터 11월 17일까지 월 2회씩 총 16회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은 2급 복 지원예사 2명((사)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과 3명의 실습생이 보조를 하였다. 독거노인들의 근심, 침울감, 무력감, 무가치감을 나타내는 기 분장애인 노인 우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Sheikh와 Yesavage(1986)가 개발한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를 우리나라에 맞게 수정한 한국형 단 축 노인 우울척도지(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이용하여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에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독거노인 의 우울감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우울감은 15.40±5.64점에서 17.73±3.5점으로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P=0.019). 프로그램 선호도는 꽃장식, 공예활동, 식물심기 순으로 선호하였다. 원예활동 시행 중 관찰된 변화는 처음에 무관심한 반응을 보이던 대상자가 시간 이 지남에 따라 표정이 밝아지며 말수가 늘었고 실습기간 동안 결석도 없이 적극적인 참여와 태도를 보여 주었다. 위 결과를 종합해보면 원 예활동 프로그램이 독거노인들의 우울감 감소에 매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40.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교부적응아동이란 아동이 학교사회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행동들로 지적 ․ 감각적 ․ 건강요인은 정상인데도 학습이 부진하고 자신감이 부족하여 아동에게 주어지는 학급활동에 적절히 참여하지 못하거나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 자아개념으로 불안, 열등감, 소외감, 위축, 공격성 등을 보이는 상태이다(정선영, 1998). 문지연(2005)은 아동기의 낮은 자아존중감은 또래 관계의 형성을 어렵게 하여 사회에 부적응을 불러올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우울감을 더 많이 느끼고 반사회적인 행동도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유년기에 원 예를 경험한 사람이 성인이 되어서 사회생활에 협동심이 강하고 지도자적인 역량이 우수하며 근면성실하다(윤순구, 2001)는 연구가 규명 되어 아동의 원예활동은 조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효율적이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에 적응하기 어려워하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원예활동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우울감을 감소시키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D광역시 소재 N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4,5학년의 학교부적응아동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19일부터 11월 28일까지 주 1회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 으며 자아존중감, 우울감 척도지를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에 자가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을 검 정한 결과 대조군은 평균 43.1±4.9점이었고 실험군은 41.1±6.0점으로 두 집단은 동질 하였다(p=0.314). 원예활동 실시 전 자아존중감의 점 수가 41.1±6.0점에서 실시 후 47.8±5.9점으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반면(p=0.005)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71). 우울감은 원예치료 실시 전 50.2±6.2점에서 실시 후 45.1±6.3점으로 감소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낸 반면 (p=0.005) 대 조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11). 원예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김태근 (2016)의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학교부적응 아동들에게 장기적으로 실시한다면 학 교 부적응 아동들이 건강한 신체와 마음을 가진 하나의 완전한 인격체로 성장하는데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