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

        44.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고둥학생의 신체활동 참여 유형별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피험자는 학교의 운동써클에 가입하여 구기종목에 참여하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각 50명, 도장에 다니며 투기종목에 참여하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각 50명, 그리고 운동에 참가하지 않는 중학생 43명과 고등학생 40명 등 총 283명이었다. 검사도구는 김병준(2001)의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고등학교와 신체활동 참여 유형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구기종목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스포츠 유능감, 외모 요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 요인은 비참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투기종목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다. 건강 요인은 투기종목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비참가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투기종목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 요인은 비참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구기종목 집단과 차이가 없었다. 셋째 운동에 참가하지 않은 학생들은 건강요인이 투기종목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구기종목 집단과의 차이가 없었다. 넷째 중·고등학생별로 모든 요인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신체활동 요인의 상호작용효과 검증결과 투기종목 집단에서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체지방/날씬함 요인과 자기존중감 요인은 중·고등학생간과 신체활동 참여 유형별 모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9.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PD 분석을 통한 marker선별과 건조약재의 비교, 그리고 내부형태 특징을 통해 당귀3종(種)을 구별할 수 있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0개의 primer중 5개의 primer에서 당귀류 3품종을 모두 구별할 수 있는 특이적인 band가 나타났다. 2. 유연관계 분석에서 중국당귀와 일당귀가 참당귀보다 더 근연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3. 신선한 잎과 건조된 약재에서 RAPD 재현성이 확인되어 RAPD 분석법을 통해 당귀감별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뿌리 내부구조에서 중국당귀는 정상적인 2기사부와 2기목부에 덧붙여 일부 이상비대생장을 보였고, 일당귀나 참당귀의 도관절에 비하여 더 넓고 짧아 계통학적으로 훨씬 더 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5. 일당귀는 현저하게 두꺼운 코르크층이 발달한 반면 참당귀의 코르크층 아래에 5~7층의 후각세포층이 환상으로 발달하여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
        52.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of the coastal waters of Inchon were investigated 4 times from May, 1995 to January, 1996. The characteristic of the study was shallow muddy bottom environment with high SS concentration. The water qualities were belong to the category of I-grade in DO, Ⅱ to Ⅲ grade in COD and Ⅲ-grade in inorganic nutrients such as T-N and T-P. Total 136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observed in this study and species richness was on the decreas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mean of phytoplankton species diversities was 1.93, decreased in recent years and the value in autumn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other seasons.
        55.
        199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시각 피드백이 조준 운동의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각 피드백 처리시간을 과대 평가할 가능성이 있는 요인들을 통제한 상황에서 시각 피드백과 시각 피드백 관련 변인들을 체계적으로 다양하게 통제하여 유사한 네 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1은 다양한 속도로 수행되는 운동하에서 시각 피드백을 다양한 시점에서 철회하여 시각 피드백이 동작실행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시각 피드백 처리시간을 알아 보려는 의도로 수행하였다. 이와 동시에 시각정보가 일정시간(최소한 250㎳)동안 감각기억(sensory memeoy)의 형태로 표상화되어 기억됨으로써 감각기억에 기초를 둔 동작 제어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함이었다. 실험은 3×5의 2요인 피험자내 설계를 이용하여 시각 피드백과 동작시간 요인을 통제한 가운데 단일 표적조준과제를 이용하여수행하였다. 실험2는 빠른 속도(160㎳)로 수행되는 운동하에서 시각의 철회를, 동작개시를 시점으로 다양하게 지연시켜 시각조건과 비교함으로서 동작 수행 중 시각정보가 어떠한 시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은 단일요인 피험자내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조건은 시각 피드백을 통제하는 다섯 가지 조건으로 구성하였다. 실험3은 예비신호와 동시에 철회하였던 시각 피드백을 반응신호, 동작개시와 동시에 그리고 동작개시 60㎳후에 부여하여 시각이 조준 동작을 사전에 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 상황에서 동작실행의 정확성을 관찰함으로써 시각 피드백이 동작실행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단일 요인 피험자내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조건은 시각 피드백을 통제하는 네 가지 조건으로 구성하였다. 실험4는 동작거리와 동작시간 그리고 시각 피드백을 통제하는 가운데 동작실행의 정확성을 관찰하여 시각 피드백이 조준운동의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2×2×3의 3요인 피험자내 설계가 이용하여 동작거리와 동작시간 그리고 시각 피드백이 통제되는 가운데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일차적으로 반응시간과 동작시간에 의하여 자료로서의 채택 여부를 검토한 뒤에 동작실행의 정확성(동작오차)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시각 피드백은 200㎳ 이내에 빠른 시간에 처리될 수 있다. 둘째, 거리오차의 경우 시각 피드백은 동작의 후기 단계에서 중요하며, 방향오차의 경우에는 시각 피드백이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하다. 셋째, 시각조건과 비시각조건 간에서 동작오차의 차이는 150-300㎳의 동작시간에서는 일정하였으나 450㎳의 동작시간에서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동작거리가 길수록 강하게 나타났다.
        56.
        199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ccessful performance in sports depdepends on the ability of how quickly one reacts to the signal or environmental stimuli. From the viewpoint, reaction time(RT) and movement time(MT)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not only in applied study emphasizing performance, but experimental settings. Though there has been several instruments in measuring RT, most of them are not generally utilized due to the high expenses as digital timer and the limitation in collecting data. Furthermore, there has been questions about the accuracy in measurement, because many researchers measured RT and MT without testing the accuracy of a program. The Multi-Purpose Reaction Timer was developed to measure RT and MT and to handled the collected data efficiently in various experimental situations by using the computer above the level of 16 bit AT. The Multi-Purpose Reaction Timer is expect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and to facilitate the experimental control by comparing the measured time with digital timer.
        57.
        199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a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between the successful and unsuccessful female table tennis players. The subjects were 24 female table tennis players 12 successful players and 12 unsuccessful players. Personality traits, anxiety level, concentration and attention style were selected as the psychological factors. 16PF, SCAT, Grid, and TAIS were used to test the selected psychological factors. T-test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the follwings. 1. The successful players had higher degree of tendency in the reserved, the consciencious, the guilt proneness, and the leadership dimensions in personality. The unsuccessful players had higher degree of tendency in the outgoing, the expendient, and the untroubled dimensions. 2. The successful players showed higher level of competitive anxiety and concentration than the unsuccessful players. 3. The successful players showed the tendency of keeping more effective attention style than the unsuccessful players.
        58.
        199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stimulus interval and accuracy demands of primary task on the psychological refractory period. Subjects consisted of six male right-handed voulunteers with a mean age of 25 years graduate students who performed on a double stimulation task . A 3×2(inter-stimulus interval×target size) within subjects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As predicted, as the ISI was increased RT₂ progressively shortened, and the delay in RT₂increased as the target size reduced. The noted decrease in magnitude of RT₂ delay as ISI(inter-stimulus interval) increased would be consistent with prediction of single channel theory. Further, the finding that RT for the small target movement was larger than that for the large target movement suggest that the small target required increased attention, perhaps because of the additional planning and control necessary to hit it. Thus a slower RT₂ indicated increased capacity being devouted to the primary task.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responses decreased as the time between stimuli decrea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gs are discussed in terms of single channel hypothesis.
        59.
        199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st movements executed in sport performance and everyday life are aimed at visual objects and are controlled visually. The role of visual feedback in control of movements has been a central issue in the study of motor behavior since Woodworth`s research in 1899. The time required to identify, decide, and initiate within-movement corrections based upon visual feedback has been called visual feedback processing time. The estimated visual processing time in most early experiments is about 250-300msec. However, there have been several evidences suggesting that visual feedback could be processed and used in lesser time. The evidences for faster visual processing time comes from the selective exclusion of visual feedback, the control of saccadic eye movement, and the analysis of movement trajectory. These experiments estimated that the visual processing time is about 120msec or les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