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41.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YC (v-myelocytomatosis viral oncogene homologue) is a regulator gene that encodes for a nuclear phosphoprotein. Porcine MYC gene was mapped on chromosome SSC 4p13 and is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cell proliferation and cell growth. MYC expression is coupled to a multitude of physiological processes and is regulated by hormones, growth factors, cytokines, lymphokines, nutritional status,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MYC is also involved in myogenesis, muscle hyperplasia and adipogenes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NPs in MYC gene and their association with economic traits in Duroc, Landrace and Yorkshire populations. We detected a single point mutation in exon 3 of porcine MYC gene as a change of T to C at 906 base (amino acid position 302, nonsynomous mutation of alanine) in MYC-N domain. MYC mutation (T906C)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at 90 kg in these breeds, signifying that this mutation can serve as a selection marker for growth traits in pigs.
        4,200원
        4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2-fluoro-4-pyridinecarboxylic acid 및 6-fluoropyridine-3-carboxylic acid를 사용하여 친수성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질을 중합하고 제조된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들 물질들의 콘택트렌즈 재료로서의 활용도를 알아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카르복시산 및 불소로 치환한 피리딘을 2가지 이상 첨가제로 사용하여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기본적인 재질인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AA(acrylic acid), MMA(methylme-thacrylate),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 그리고 교차결합제인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사용하여 공중합하였다. 결과: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 1.4348-1.4300, 함수율 33.69~35.84%, 가시광선 투과율 89.6~90.8%, 인장강도 0.2292-0.3344kgf 그리고 접촉각의 경우 76.05°~50.95°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실험 결과 2-fluoro-4-pyridinecarboxylic acid 및 6- fluoropyridine-3-carboxylic acid를 5% 첨가했을 때 항균효과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실험 결과, 2-fluoro-4-pyridinecarboxylic acid 및 6-fluoropyridine-3-carboxylic acid를 첨가하여 제조된 친수성 콘택트렌즈는 기본적인 콘택트렌즈 물성을 만족하였으며 우수한 습윤성과 항균성 및 자외선 차단 콘택트렌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 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2-hydroxyethyl methacrylate, N-vinyl-2-pyrrolidone, methyl 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에 titanium isopropoxide와 tungsten(VI) oxide 나노입자를 첨가하여 안의료용 렌즈 재료를 중합하였다. 방법: 안의료용 콘택트렌즈의 첨가제로 Tungsten (VI) oxide 나노입자 사용의 활용도를 조사하기 위해 tungsten(VI) oxide 나노입자를 포함한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료의 광학적, 물리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생성된 고분자에 대한 자외선 영역의 투과율은 매우 낮게 측정되어 자외선 차단 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ungsten(VI) oxide 나노입자의 첨가는 함수율의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일정비율을 첨가한 조합에서는 소량의 함수율 변화가 나타났다. 함수율의 큰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산소침투율의 측정 값은 tungsten(VI) oxide 나노입자의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 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titanium isopropoxide 및 tungsten(VI) oxide 나노입자는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기본적인 물성을 만족시키면서 기능성 콘택트렌즈 재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4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trimethylsilyl methacrylate와 titanium silicon oxide 나노입자를 사용하여 친수성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질을 중합하고 제조된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들 물질들의 콘택트렌즈 재료로서의 활용도를 알아보았다. 방법: 고분자의 중합은 2-hydroxy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및 n-vinyl pyrrolidone과 가교제인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기본 조합으로 하였으며, 개시제로는 AIBN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렌즈의 물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trimethylsilyl methacrylate와 titanium silicon oxide를 첨가하여 중합하고 함수율, 굴절률, 산소투과도, 분광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제조된 친수성 콘택트렌즈는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기본물성을 만족하였으며, 첨가제인 trimethylsilyl methacrylate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산소투과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itanium silicon oxide 나노입자의 첨가는 친수성 렌즈 소재의 기본적인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trimethylsilyl methacrylate와 titanium silicon oxide는 콘택트렌즈의 기본적인 물성을 만족시키면서 고산소투과성 및 자외선 차단 콘택트렌즈 재료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5.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countries have implemented genetic evaluation for fertility traits in recent years. In particular, reproductive trait is a complex trait and need to require a system-level approach for identifying candidate genes related to the trait. To find the candidate gene associated with reproductive trait, we applied a weighted gene co-expression network ana-lysis from expression value of bovine genes. We identified three co-expressed modules associated with reproductive trait from bovine microarray data. Hub genes (ZP4, FHL2 and EGR4) were determined in each module; they were topologically center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 in the gene co-expression network. We were able to find the highly co-expressed gene pairs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Finally, the crucial functions of co-expressed modules were reported from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We suggest that the network-based approach in livestock may an important method for analyzing the complex effects of candidate genes associated with economic traits like repro-duction.
        4,000원
        4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고유 품종인 한우는 표현형 중 외모에 따라 일반적으로 한우라 불리는 황갈색 한우, 칡소, 흑우로 구분되어 있다. 한우 집단 중, 황갈색 한우만이 육질, 육량 형질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개량프로그램에 의해 개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황갈색 한우와 칡소의 50K 고밀도 칩을 활용하여 선발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세 가지 분석법(Rsb, iHS, FST)에 따라 인위적 선발에 의해 진화적으로 선택된 유전체영역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Rsb, iHS, FST 분석법에 따라 각각 41개, 23개, 50개의 후보유전체 영역이 칡소와 비교하였을 때 황갈색 한우에서 유의적으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후보 유전체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전자군을 대상으로 유전자 기능에 대한 주석 달기를 진행하였을 때, 근육 발달, 면역반응 등의 기능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전체 영역들이 진화적 관점에서 황갈색 한우의 적응과정에 있어서 육질 등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하였다고 사료된다
        4,000원
        4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본 연구는 기존 콘택트렌즈 홀더와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한 개선된 콘택트렌즈 전용홀더를 사용하여 다양한 디옵터와 함수율을 가진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고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측정 시간경과에 따른 굴절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방 법 : 실험에 사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함수율은 각각 38%, 43%, 58%의 렌즈를 사용하였으며, 굴절력에 따라 -3.000D, -7.000D, -10.000D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기존 콘택트렌즈 홀더와 개선된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하여 자동렌즈미터로 굴절력을 측정하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기존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한 경우 -3.000D는 -3.129D로 측정되었으며, -7.000D는 -7.036D, -10.000D는 -10.266D로 각각 측정되었다. 개선된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한 경우 -3.000D는 -3.007D로 측정되었으며, -7.000D는 -6.988D, -10.000D는 -9.944D로 각각 측정되었다. 모든 종류의 콘택트렌즈에서 개선된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한 방법이 기존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한 방법보다 더 정확한 측정값을 나타내었다. 결 론 :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굴절력 측정에 있어 개선된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한 방법이 기존 콘택트렌즈 홀더를 사용한 방법보다 더 정확한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콘택트렌즈의 굴절력과 함수율이 높을수록 전체적으로 낮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4,200원
        4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료에 iron (Ⅱ) phthalocyanine와 magnesium phthalocynin을 첨가하여 친수성 안의료용 콘택트렌즈를 중합한 후 물리적 및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첨가제를 HEMA, NVP, MMA와 함께 공중합하였으며, 교차결합제로 EGDMA를 사용하였다. 또한 개시제로 AIBN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렌즈의 물리적,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굴절률, 함수율, 분광투과율, 인장강도 및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된 고분자의 자외선 차단성과 친수성 착색 콘택트렌즈의 기능성 염료로서의 활용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은 1.4320∼1.4330, 함수율은 38.53∼39.34%, UV-B 투과율은 33.8∼65.5%, 접촉각은 53.89∼64.45° 그리고 인장강도는 0.2790∼0.3137 kgf의 범위로 각각 측정되었다. 측정결과 magnesium phthalocyanine와 iron (Ⅱ) phthalocyanine의 첨가가 자외선의 투과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eference와 비교하여 접촉각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Iron (Ⅱ) phthalocyanine와 magnesium phthalocyanine를 첨가한 고분자의 경우, 함수율과 굴절률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재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49.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돼지의 육질과 관련하여 지방침착의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방대사 또는 지방축적과 관련한 후보유전자 발굴 을 위해 등지방 조직 유래의 c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품종별 지방함량관련 조직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 였다. 그 결과 재래돼지의 등지방 조직에서 SCD (stearoyl-CoA desaturase)와 ELOVL6 (elongation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 6)가 높은 발현을 보였고, 간에서 FMO1 (hepatic flavin-containing mono oxygenase)이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요크셔는 간에서 FGG (fibrinogen gamma polypeptide)와 C3d (com- plement component c3d), 등지방에서 COL3A1 (type Ⅲ collagen alpha 1)이 높은 발현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Real-time PCR을 통해 microarray data의 validation과 품종간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하여, 위의 유전자들 중 지방함량에 따른 차등발현 유전자로 SCD, ELOVL6 그리고 FGG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유전자 SCD, ELOVL6, FGG는 지방대사에 관여하며 근내지방 함량에도 영향을 미쳐 향후 육질개선에 유용한 후보유전자로 서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300원
        50.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1,4-Butanediol 과 (±)-1,2,4-butanetriol 은 안구 내 사용되는 콘택트렌즈의 습윤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험은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에 1,4-butanediol과 (±)-1,2,4-butanetriol이 미치는 물리적 특성을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함수율과 접촉각을 측정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방 법 : 하이드로젤 렌즈의 주재료인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에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를 첨가한 조합을 기본 배합으로 하여 MMA(methyl methacrylate) 1%, AA(acrylic acid) 5%를 각각 배합하여 공중합한 조합으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기본조합 렌즈의 물성을 측정한 후 1,4-butanediol과 (±)-1,2,4-butanetriol을 1∼10% 첨가하여 공중합한 렌즈를 24시간 수화시킨 후 렌즈의 기본 물성을 측정하였다. 대표적으로 굴절률, 광투과율, 함수율, 접촉각, 인장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결 과 : HEMA, MMA, AA의 기본 조합에 1,4-butanediol과 (±)-1,2,4-butanetriol의 양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측정한 두 조합의 평균 함수율은 37.18~37.67%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굴절률은 1.4319~1.4328의 범위로 나타났다.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은 모든 조합에서 89.6% 이상의 투과율을 나타내었으나 자외선 차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첨가량에 따른 접촉각은 57.59°에서 38.28°로 감소하였으며, 인장강도는 0.2570 kgf에서 0.1677 kgf로 감소하였다. 결 론 : 친수성 물질인 1,4-butanediol과 (±)-1,2,4-butanetriol은 하이드로젤 렌즈의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을 충족시키면서도 우수한 습윤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1.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umber of abandoned dogs is increasing with the worsening of the economy and the rising of feed value. It was becoming a serious social problem because of the disease transmission and destruction of natural ecosystems by abandoned dogs been wild animal.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companion dogs necessary to secure its own genetic information and to establish the systematic tracking system. Using multiplex-PCR method with 27 microsatellite marker (MS marker) divided 3 set, various alleles occurring to 6 dog breed (Labrador Retriever, German Shepherd, English Springer Spaniel, Belgian Malinois, Jindo Dog, PoongSan Dog) make use of markers to determine allele frequency and heterozygosity. MS marker FH2834 and FH2790 have only two allele and most were found in 13 alleles at FH3381 and FH3399. Average heterozygosity of MS marker is 0.534 and especially, heterozygosity represented the highest value of 0.765 at FH3381. So, it was recognized appropriate allele frequency for individual identification and paternity diagnosis in companion dogs. Using multiplex-PCR method with MS marker, various alleles occurring to dog breed make use of markers to deter mine individual identification and paternity diagnosis, traits associated biomarkers and breed-specific marker for faster, more accurate and ways to reduce the analysis cost. Based on this result, a scientific basis was established to the existing pedigree data by applying genetics additionally. Animal registration system is expected to be conducted nationwide in future. The method expects to very useful this system.
        4,000원
        5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기존의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료와 공중합 하였으며,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고, 내구성이 높은 콘택트렌즈 고분자로서의 활용성을 알아보았다. 방법: 2-Fluorophenethyl isocyanate, 4-fluorophenethyl isocyanate, furfuryl isocyanate를 가교제인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사용하여 2-hydroxy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와 공중합 하였으며, 개시제로는 azobisiobutyonitrile를 사용하였다. 또한 제조된 렌즈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함수율, 굴절률, 접촉각, 분광투과율, 인장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생성된 고분자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13.29~31.34%, 굴절률 1.454~1.499, 가시광선 투과율 78.0~91.5%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의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굴절률 은 증가하였으며, 함수율은 감소하였다. Furfuryl isocyanate를 첨가한 공중합체의 경우, UV-B 3.0~84.0%, UV-A 13.0~68.0%의 투과율을 나타내어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내구성이 높은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5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UV absorbance of the produced polymer containing the benzophenone group with previous materials and measur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contact Jens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materia! is suitable for contact lens materials. Methods The crosslinking agent EGDMA and UV-absorbents (2-hydroxy-4-methoxy-benzophenone, 2.4-dihydroxy- benzophenone) were mixed with a certain amount of HEMA. NVP and other raw materials and the mixture were polymerized and measured for physical properties and UV-blocking performance. Results : In cases of contact lenses with added 2-hydroxy-4-methoxy-benzophenone and 2, 4-dihydroxy-benzophenone which showed transmittances of 0. 00~3. 50% and 0. 25~5. 75, respectively for UV-A and UV-B showing a UV-blocking effect. Also. in cases of contact lenses with added 4.4'-Difluorbenzophenone, 4-Fluorbenzophenone, the results showed transparaneies of 40.00~57.50%. 19.25~28.25% respectively for UV-A and UV-B showing that they have UV-blocking effects.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benzophenone group is suitable for use as a materia! to UV-blocking contact lenses.
        4,000원
        54.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Polyphosphazene을 고산소투과성 콘택트렌즈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vinyl기와 2-hydroxyethyl methacrylate로 치환된 poly(vinylphosphazene)을 합성하였다. 방법: HEMA와 Vinyl기로 치환된 polyphosphazene은 거대분자 치환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poly(dichlorophosphazene)를 고리 열림 고분자 중합법을 사용하여 합성한 후, Grignard 시약인 (CH2=CH-MgBr)을 가하여 vinyl기로 치환시켰으며, 합성한 폴리머를 다시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반응시켰다. 결과: 1H-NMR spectrum 분석결과 중합가능한 vinyl기와 2-hydroxyethyl methacry-late로 치환된 poly(vinylphosphazene)을 확인하였다. 결론: 합성된 물질은 고산소투과성 콘택트렌즈 재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n the intraocular pressureCIOP) and K-reading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 : This research was done on the cataract-operated 154 eyes, and measured both intraocular pressureOOP) and K -reading before and after surgery operation. Each of the patients was male 58(70eyes) and female73(84eye). Result : ln case of IOP in preoperative, the average value of IOP was 14.2171± 3.2264 mmHg. ln postoperative, the average value of IOP was 13.5855±3.0955 mmHg, which was lower than preoperative. And aJs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In case of K-reading in preoperative, the average vaJue of K-reading was 7.6422±0.2551 mm. In postoperative, the average value of IOP was 7.6567±0.2695 mm. It showed a little deerease and no statistical diffcrcncc was fotmd.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raocular pressure(IOP) decreased after cataract surgery(p < 0.05), but we judged that age and elisease like glaucoma of each subject can influence on increase and deerease of intraocular pressureOOP) by the error. ln addition, we judged the change of K-reading was caused by incision position of operatien and type of IOL etc.
        4,000원
        56.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xpression pattern of the specific factors associated with pregnancy and angiogenesis during early pregnancy in Hanwoo. Synchronized female Hanwoo (4~6 year‐old) were inseminated artificially. After 10 week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AI), the pregnancy was tested by rectal palpation method. Three pregnant and non‐pregnant Hanwoo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respectively. The plasma progesterone level was measured by ELISA.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ct the expression of pregnancy associated glycoprotein (PAG) or angiogenic factors (VEGF, B‐FGF, ANP‐1, and TIE‐2). The plasma P4 level was increase gradually in pregnant group and maintained high level. The concentration of PAG was significantly higher from 5th weeks in pregnant group compared to that of non‐pregnant group (p<0.05). The concentrations of the VEGF (p<0.05), B‐FGF (p<0.05), and ANP‐1 (p<0.05)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6th or 7th week after AI in pregnant group, respectively. And the intensity of TIE‐2, ANP‐1 receptor, was well matched with ANP‐1 (p<0.05). Taken together, it can be postulated that the blood vessels connected with fetus and dam were formed dramatically around 40 days after AI, because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angiogenic factor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this time in pregnant Hanwoo.
        4,000원
        57.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함수율은 친수성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가장 중요한 물리적 특성 중의 하나이다. 또한 함수율은 콘택트렌즈의 유연성과 내구성 그리고 산소투과성과 착용감 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다. 목적: 따라서 본 연구는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재질과 실리콘을 사용하여 중합한 후, 각각의 조합에 대한 함수율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두 가지의 다른 실리콘을 사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방법: 캐스트몰드 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렌즈를 제조하였으며, 각 sample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평균값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9.00%의 실리콘을 포함한 sample의 함수율은 각각 55.27%와 64.58%를 나타내었으며, 같은 조합에 1.00% 의 EGDMA를 첨가하였을 때 함수율은 감소하였다. 결론: 실리콘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함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000원
        58.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주된 재료인 HEMA(2-hydroxyethyl metacrylate)와 유연성을 갖게 하는 BMA(butyl methacrylate), 친수성의 acrylate를 포함한 silicone polyether acrylate등을 사용하여 콘택트렌즈 재료를 중합하였다. 사용된 각각의 단위체들을 다른 비율로 조합하여 열중합하였으며, 제조된 콘택트렌즈 sample은 하루 동안 수화시킨 후 팽윤율 (swelling ratio) 및 함수율(water content), 광투과율(optical transmittance) 과 인장강도(ultimate strength) 등의 평균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HEMA 중합의 경우 팽윤율과 함수율은 각각 20.09%와 29.99%로 나타났으며, 광투과율은 90.60%, 인장강도 0.145 kgf로 나타났다. HEMA/Silicone(0.2%~11.5%) 중합에서는 silicon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함수율과 팽윤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인장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BMA를 일정하게 첨가한 HEMA/Silicone(0.2%~11.5%)/ BMA 중합에서는 BMA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함수율과 팽윤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장강도 또한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5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4년 5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노안으로 누진다초점렌즈를 처방받은 172명(344)안을 대상으로 연령별 노안 가입도와 누진다초점렌즈 착용 경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양안기준으로 각 연령별 평균 근용 가입도는 40~45세군 +1.171D, 46~50세군 +1.697D, 51~55세 군 +2.096D, 56~60 세군 +2.750D, 61~65세군 +3.000D, 66~70세군 +3.083D로 나타났다. 또한 누진다초점렌즈의 조제가공에 대하여 용도별 경향을 조사한 결과, 40~45세군에서는 근근용 누진다초점렌즈가 40.00%, 46~50세 군에서는 원용 누진다초점렌즈와 근 근용 누진다초점렌즈가 36.36%, 51~55세 군에서는 원용 누진다초점렌즈가 45.45%, 56~60세 군에서는 원용 누진다초점렌즈가 61.54%, 61~65세군에서는 원용 누진다초점렌즈가 88.8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66~70세 군에서는 모두 원용 누진다초점렌즈만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0.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시 약시 등의 이상이 없고 안경착용의 경험이 없으며 나안시력의 불편을 호소하는 초등학생 144명 288안을 대상으로 조절마비 전과 후의 굴절이상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동굴절검사를 이용한 조절마비 전과 후의 구면 대응치는 각각 -1.40D±1.04와 -0.77D±1.32로 -0.63D(t=-13.49, p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