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필자는 이 연구에서 루더로 태어난 루터는 개명을 통하여 신학적으로 자기이해를 표현하였다고 주장한다. 루터의 자기이해에 있어 결정적인 순간은 1517년 10월 31일 마인츠의 대주교 알브레히트에게 보낸 편지와 관련된다. “거룩한 신학박사로 부름 받은 아우구스티누스회 마틴 루터”라는 서명에는 루터의 신학박사로서의 자유의식과 교직전권 및 그리스도로부터 특별하게 임무가 주어졌다는 자의식이 표현되어 있다. 또한 루터는 1517년 11월 11일 랑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eleutherius’라는 새로운 이름을 스스로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당시 스콜라 신학으로부터 자유케 되었음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더욱 중요한 것은 종교개혁적인 자유사상을 통해 다른 사람을 자유케 하거나 적어도 그들이 자유케 되는 것을 돕는 자라는 의미를 표현한 것이다. 루터의 이름이 표현하는 사실은, 랑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타나 있는 것처럼 루터 자신이 스콜라 신학의 굴레로부터 자유하게 되었다고 생각하고 하나님에 의해 선사된 자유에 대한 의식 안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 스콜라 신학과 면죄부 제도에 나타난 인간의 지혜에 대항하여 그리스도를 뒤따르는 가운데 자신의 임무를 행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루터의 개명은 신학적으로 철저히 의도된 것으로 자유한 자, 그리고 동시에 자유케 하는 자의 사명을 표현하는 자기이해인 것이다.
        2.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교개혁은 세계사적인 의미를 가진 사건이다. 루터의 종교개혁은 1517년 비텐베르크에서 95개 논제를 게시함으로 시작되었고, 2017년 비텐베르크에서 종교개혁 500주년이 세계 모든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축하될 것이다. 그렇다면 그것은 어떻게 축하되어야 하고,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이를 위한 좋은 토대가 되는 것이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 전망”인데, 이 논문에서 이것이 자세히 분석되며 이를 근거로 종교개혁의 역사적 의미와 16세기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영향력이 서술된다. 종교개혁은 여기서 네 가지 범주로 고찰된다. 먼저 세계사적인 사건으로, 그리고 종교적, 신학적 사건으로, 그리스도인의 성숙을 가져다주며 정치, 경제, 문화를 변혁시킨 사건으로 서술된다.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 전망”에는 교회, 사회, 정치, 교육 등에서 변화시키는 영향력이 잘 요약되어 23개 명제로 서술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은 특별히 기독교 교회 일치를 위한 기회이자 동시에 도전이다. 종교개혁은 근원적으로 교회의 분열을 의도한 것이 아니라 교회를 갱신하고자 한 것이었다는 것은 중요한 사실이다. 종교개혁에 대한 바른 숙고는 오히려 교회 일치를 강화시킨다. 종교개혁 500주년 기념대회는 루터교인들뿐만 아니라 모든 개신교인, 아니 모든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축하되어야 할 것이다.
        3.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원의 확신은 가톨릭 신학과 루터 신학을 분리시키는 중요한 차이점에 속하는 조항이다. 구원의 확신이라는 주제를 이해하기 위해, 그리고 교파 간 신학적인 논쟁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자하는 에큐메니칼 운동의 바른 방향 설정을 위해, 1518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이루어진 루터와 추기경 카예탄의 논쟁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아우크스부르크 심문에서 중요한 두 번째 토론 주제는 구원의 확신이었다. 여기서 루터가 주장한 견해에 따르면, 인간이 구원에 필수불가결한 조건은 인간 자신이 의롭게 된다는 확고한 확신을 갖고 믿으며 은혜를 받게 될 것을 전혀 의심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대해 카예탄은 그러한 신학은 새로운 교회를 세우는 것과 같다고 비판하였다. 루터에 따르면, 하나님의 뜻과 말씀(약속)에 대한 확고한 신뢰로서의 믿음은 개인적인 구원의 확신을 포함한다. 왜냐하면 하나님만이 구원의 근거이시기 때문이다. 가톨릭 신학에 따르면, 인간이 자신의 구원을 협력하여 이루고자 한다면, 개인적 구원의 확신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루터와 카예탄 사이의 구원확신에 관한 차이는 두 신학자의 구원개념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다. 또한 예큐메니칼 운동에서 중요한 것은 구원의 확신에 관한 논쟁에서 기본적인 오해들을 제거하는 것이며 새로운 토론을 위한 길을 모색하고 여는 일이다.
        4.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ie Leipziger Disputation von 1519 stellt einen Höhepunkt in der frühen Reformationsgeschichte dar. Die Bedeutung der Leipziger Disputation liegt in der heftigen Auseinandersetzung über der kirchlichen Autorität, vor allem den päpstlichen Primat. Diese Arbeit zielt darauf ab, die Leipziger Disputation aus Sicht der Autoritätenfrage zu verstehen und deren reformatorische Bedeutung herauszufinden In der frühen Phase der Reformation ging es um den Autoritätenkonflikt. Zwar begann Luthers Konflikt mit der römischen Kirche, wie 95 Thesen gegen den Ablass von 1517, mit der Ablasskritik, aber dabei ging es wesentlich um die Autoritätenfrage. Das Zentrum der causa Lutheri, die sowohl bei Prierias als auch vor Kardinal Cajetan behandelt worden war, lag in der gültigen Autoritätenfrage. Luther erregte Debatten mit J. Eck über die Autorität von Papst und Konzil und bestreitete diese. Hierbei behauptete Luther, dass der Papst bzw. der Konzil irren könne und kein göttliches Recht behalte. Für Luther ist etwas heilsnotwendiges für die Christen keine kirchliche Instanz wie Papst, sondern nur die Heilige Schrift. Luther hat mit der Autorität der kirchlichen Institutionen auch ihre Lehren und Satzungen sowie kirchliche Traditionen relativiert. In der Leipziger Disputation ging es Luther um die Unterscheidung zwischen Gotteswort und Menschenwort sowie zwischen göttlichem Recht und menschlichem Recht.
        5.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s ist bekannt, dass Augustin auf die reformatorische Theologie Luthers einen großen Einfluß ausgeübt hat. In dieser Arbeit geht es darum, festzustellen, an welchen Punkten und in welchem Ausmaß Augustins Theologie von Luther rezipiert worden ist. Dafür untersucht der Verfasser, wie Luther in seiner Vorlesung über Römerbrief Augustins Schrift De spiritu et littera zitiert und rezipiert hat. Luthers Vorlesung über Römerbrief steht Augustins Schrift De spiritu et littera zugleich näher und ferner. Auf der einen Seite hat Luther die zentralen Gedanken von De spiritu et littera aufgenommen. Auf der anderen Seite ist er die Themen wie die Rechtfertiung, die iustitia Dei usw. über Augustins Leitgedanken hinausgegangen. Zum Verhältnis von Luther und Augustin: Mit dem Kirchenvater war Luther vertraut. Augustin ist für Luther zeitlebens die oberste nichtbiblische Autorität geblieben. Aber gelegentlich war Luther ein gewisser Unterschied zwischen Paulus und Augustin bewußt und auch hat Luther vorsichtige Kritik an Augustin geübt. Schließlich hat Luther nicht der historische Augustin selbst, sondern der von Paulus akzeptierte bzw. reformatorisch reinterpretierte Augustin interessiert.
        6.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uther hat sich sein Leben lang mit dem Tod befasst. Denn der Tod war in Luthers Zeit allgegenwärtig und Luther selbst hat reiche Erfahrungen mit dem Tod gemacht. Es kann gesagt werden, dass Luthers Theologie des Todes der Ernstfall seiner ganzen Theologie ist. Luther hat aus Anlass der Bestattung des Kurfürsten Johann von Sachsen die Leichenpredigt am 18. 8. 1532 gehalten. Diese Predigt erschien mit der am 22. 8. gehaltenen Predigt im Druck. In diesem Aufsatz geht es darum, Luthers Todesgedanken in seiner Leichenpredigt zu untersuchen. Denn der Verfasser ist der Überzeugung, dass uns die Leichenpredigt Luthers Aspekte des Todes vermittelt. Für Luther ist der Tod der Schlaf. Der Christen Tod ist nicht ein Tod, sondern ein Schlaf. Und das (leibliche) Sterben ist leicht und äußerlich gegenüber dem geistlichen Sterben. Drittens, der Christen Tod ist Tod in Christus. Zusammenfassend gesagt hat Luther den Tod christianisiert. Für ihn ist das Sterben die Glaubenssache, d.h. die Christen sollen den Tod nicht nach den fünf Sinnen und der Vernunft sehen, sondern allein nach dem Wort Gottes und mit geistlichen Augen.
        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溪南 崔琡民(1837∼1905)의 삶과 학문경향에 대해 조명한 것이 다. 계남이 활동했던 19세기는 성리학적 통치이념과 가치관이 근원적으로 위협 받고 있었다. 이러한 내우외환의 시대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19세기 사상계는 영·호남 할 것 없이 ‘主理’의 학문체계를 통해 이 난국을 타개하고자 하였다. 孔 孟程朱로 내려오는 정통 성리학을 유일한 正學으로 보고 陽明學을 비롯한 西學 등 모든 다른 사상을 이단으로 규정하여 우리 고유의 미풍양속을 지키고 외세 의 침략에 대항하고자 하였다. 계남 최숙민은 선대로부터 내려오는 학문과 절조의 家學的 전통을 이어받아 한평생 학자적 삶을 추구하였다. 젊은 시절 형인 橘下 崔植民(1831~1891)의 보살핌에 의한 獨學, 그리고 중년에 蘆沙 奇正鎭(1798∼1879)의 학문적 기반 을 토대로 하여 만년에 華西學脈 학자들과의 교유를 통해 자신의 학문세계를 열어나갔다. 그것은 다름 아닌 19세기 시대현실에서 노사의 ‘주리’의 학문종지 를 터득하여 후학들에게 열어주는 것을 자신의 일대 사업으로 여겼던 것이다. 그런 가운데 계남은 아버지의 가르침에 힘입어 黨議에 사로잡힌 당시 사상계 에서 학문적 울타리를 트고, 오직 진리를 찾으려는 求道의 일념과 개방적 학문 자세를 견지하였다. 그래서 지역과 당색을 초월하여 많은 학자들과 학문적 담 론을 통해 이론성리학을 지양하고 心學을 위주로 하는 실천성리학을 추구하였 다. 이는 평소 그가 주장한 현실의 삶 속에서 人事인 下學의 실천을 중시하는 학문경향에 기인한 결과이다. 하학의 실천을 중시하는 학문경향은 스승인 노사 기정진의 영향에 힘입는 바 이지만, 아울러 이 지역의 학풍을 주도했던 南冥 曺植(1501∼1572)이 강조했 던 학문관점이기도 하였다. 남명의 학문정신이 19세기에 되살아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천을 중시하는 下學重視의 학문경향은 바로 계남 학문경향의 주요한 관점이었다.
        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diesem Aufsatz geht es um die Untersuchung der Gnadenlehre des Pelagius und des Augustinus anhand ihrer Briefe an Demetrias. Demetrias, eine Dame des römischen Hochadels, entschloß sich um 408, ein geistliches Leben zu führen und auf eine Heirat zu verzichten. Aus diesem Anlass schrieben ihr alle ber?hmten Theologen, darunter Pelagius und Augustinus, Briefe. In diesen Briefen lassen sich die theologischen Konzepte, insbesondere die Gnadenlehre und die Anthropologie des Augustinus und des Pelagius, treffend veranschaulichen. Pelagius, der als Asket und Mönch der mönchischen Tradition gemäß die menschliche Natur hochschätzte, behauptet in seinem Brief drei folgende Gedanken: der Mensch als Bild Gottes; Sünde als Nachahmung Adams; Gesetz als Gnade und Christi Gnade (Gnade als Lehre und Weisung, Beispiel, Botschaft der Hoffnung). Das Wesentliche der Gedanken des Pelagius besteht im Optimismus, dass der Mensch die sittlichen Fähigkeiten aufgrund der schon gegebenen Gnade behält und er zum Guten fähig ist. Indem er die Demetrias vom Können (Vermögen) des Menschen überzeugt, gibt er ethischmoralische Hinweise. Augustinus ist durch den Brief des Pelagius alarmiert, denn er sieht die Notwendigkeit und das Wirken der göttlichen Gnade durch dessen Brief gefährdet. Augustinus schreibt daher sofort der Demetrias, um sie vor der irrtümlichen Lehre des Pelagius zu schützen. Augustinische entscheidende Kritik an Pelagius fußt darauf, dass die Lehre des Pelagius Undankbarkeit gegenüber Gott impliziere, da nach Pelagius der Mensch die geistlichen Reichtümer, die er sich erworben hat, für sein eigenes Verdienst halten kann. Augustinus zufolge vermag der Mensch nicht allein aus sich selbst gerecht zu handeln, sondern er benötigt dazu die in sein Inneres eingreifende Gnadenhilfe Gottes (Augustinus faßt Gnade nur als Hilfe Gottes auf). Der entscheidende Unterschied ist, dass Augustinus und Pelagius unterschiedliche Wege der Rettung behaupten. Für Pelagius reicht das exemplum, das Gott selbst den Menschen vor Augen gehalten hat. Weil aber für Augustinus das exemplum als Weg der Erlösung allein nicht ausreicht, ergänzt er dazu die Hilfe Gottes (adiutorium): exemplum et sacramentum. Die einzig angemesse Haltung, mit welcher der Christ Gott begegnen soll, ist Dankbarkeit, denn alles Gute beruht auf Gott und seiner Hilfe.
        9.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ernard’s ‘Sermones super Cantica Canticorum’ is his masterpiece and the superlative achievement of his mystical theolog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Bernard’s sermons introductorily, i. e. their background, literary form, contents, to put them across in their entirety. The Canticle is interpreted allegorical as follows: christological (ecclesiastical), mystical, mariological.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Bernard interprets the bride as the soul thirsting for God. In addition, he links the traditional allegorical interpretation with the individual experience which the religious subject has. Although Bernard preached to his community, it seems, on the basis of evidence from the letters and the sermons, that Bernard’s 86 sermons on the Song of Songs are so much edited and altered, and they do not exhibit us the sermons as preached. So they are to regard as ‘more the product of the scriptorium rather than the pulpit’, more the literary work rather than the oral sermon. The mystical theology, which is contained in the sermons, is first the nuptial (bridal) mysticism. The bride is the individual soul loving God, and her ultimate aim is the mystical union with God (spiritual marriage). Bernard depicts this religious development with three kind of kisses. Second, his mystical theology is the Christ-mysticism. Bernard concentrates his meditative, contemplative attention on the suffered, crucified Christ. Therefore, his mysticism is to call as suffering-mysticism (cross-mysticism). The character of his mysticism is the emphasis on the experience. The spiritual experience is for Bernard the source of the religious, theological knowledge. The central experience is both self-knowledge and God-knowledge, and both are inevitable for our salvation. Finally, Bernard’s mysticism has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the mysticism, yet it also is to designate as the latin mysticism which is christ-centric and emphasizes the love and the experience. Bernard’s mystical sermons on the song of songs do not aim at knowing the divine mysteries but consummating spiritual union with God.
        10.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寒岡 鄭逑(1543~1620)의 학문경향과 정주학의 수용양상을 조명해 본 것이다. 한강은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기에 활동했던 영남사림의 대 표적 인물이다. 그는 타고난 자질과 家學으로 내려오는 학문적 전통을 계승한 바탕위에 당대의 큰 스승을 찾아뵙고 그들의 학문적 장처를 두루 섭렵하였다. 이를테면, 한훤당 김굉필의 正學과 남명 조식의 正論과 퇴계 이황의 진실한 도 [的旨]를 받아들여 이후 당대의 독특한 학문경향을 형성하였다. 그의 학문경향은 下學重視의 경향과 博學의 추구이다. 하학중시의 경향은 일 상생활의 기본예절을 실천하는 하학공부를 통해 天理인 上達로 나아가는 학문 차서를 강조하는 학문관점이고, 박학의 추구는 학문의 규모와 범위가 宏博하다 는 것인데, 그만큼 현실의 쓰임에 대비하는 실용적인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 다. 나아가 이 같은 학문경향은 당대의 학문풍조에 대한 경종과 반성적 의미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한강은 20세 전반에 자신의 학문의 방향성을 분명하게 제시하였다. 그 것은 과거의 길을 단념하고 求道의 자세로 정주가 남긴 성리학에 종사하는 것 이었다. 그가 남긴 정주학과 관련한 편찬저술의 특징을 살펴보면, 성리이론에 대한 내용은 거의 없고 심성함양이나 내면의 수양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다른 하나는 편찬저술이 자기 학설을 내세우는 저서의 형태라기보다는 경전 중 에 학문의 요점을 발췌, 요약하고 간간히 자신의 설을 붙이는 ‘編N’이나 ‘集N’ 의 저술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는 정자와 주자, 퇴계의 편찬저술 방식을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끝으로 한강의 수양론은 퇴계와 남명의 수양론의 장점을 취하여 ‘敬’과 ‘義’를 다 같이 중시하는 ‘敬義夾持’의 수양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가운데 정이천과 주자, 그리고 퇴계로 내려오는 수양론의 학문적 전통을 중요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 점이 한강 수양론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11.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后山許愈(1833-1904)의 文學思想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후산이 활 동한 19세기는 勢道政治에 따른 민란과 일본을 위시한 서구 열강들의 침략으로 성리학적 통치 이념과 가치관이 근원적으로 위협받고 있었다. 후산은 이러한 內憂外患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 한평생 벼슬하지 않고 초야에서 학문탐구와 인재양성에 전념하였다. 그가 행한 학문적 사업은 正學을 수호하고 異 端을 물리치는 것이었으며, 나아가 인조반정(1623) 이후, 침체된 경상우도의 학풍 을 진작시키는 일이었다. 그 결과 후산은 공자․주자․퇴계, 그리고 寒洲李震相 (1818-1886)으로 내려오는 主理的학문의 전통에서 스승인 한주가 내세운 ‘心卽 理’설을 자신의 학문의 귀결처로 삼아, 어려움에 처한 시대적 상황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南冥을 비롯하여 이 지역 출신 및 연고가 있는 스승 선배 학자들 의 문집간행과 현장에서의 강학을 통해 지역의 학풍을 진작시키는 일에 심력을 다 하였다. 한편 후산은 일찍부터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아 왔으며, 특히 맹자 이후, 쇠퇴해 진 유학을 일으키고 六朝시대의 쇠약해진 문풍을 일으킨 韓愈의 문장을 좋아하였 다. 그렇지만 후산은 문장가의 입장에서 문학을 바라보지 않고, 시종일관 학자적 관점에서 문학을 바라보았다. 그 결과 후산은 학문과 인격에 기반 한 건실한 내용 의 문장, 즉 ‘世敎’에 도움이 되는 문장을 추구하였으며, 그 문장은 바로 이치를 밝히는 ‘明理之文’이었다. ‘명리지문’의 구체적 내용은 主理的전통 속에서 正學 을 수호하고 時文인 科擧之文과 俗學인 異端之學을 물리치는 것이었으며, 문체 적 특징도 내용에 걸맞게 화려한 수사적 표현을 배제하고, 담박하고 자연스러운 문체를 선호하였다. 후산은 이처럼 정통 성리학자들이 추구한 문학사상의 기반위에 있으면서도, 나름 대로 19세기가 처한 시대현실을 반영하기도 하였다. 우선 후산은 문장에 대해 일 정한 효용적 가치를 인정하였으며, 나아가 도가 담고 있는 내용도 성리학적인 내 용뿐만 아니라 현실적․실용적인 내용을 다소 포함하고 있어, 문장의 내용상의 외 연을 넓히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또 한 가지 특기할 점은 도와 문의 상호관계에서 후산은 도가 들어갈 자리에 ‘理’를 배치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명리 지문’을 추구한 그의 문장학에서 오는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지만, 한평생 정통 理 學을 추구해 온 학문경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요컨대, 후산이 추구한 문학사상은 영남학풍의 학문적 전통을 수용하면서도, 자신이 처한 지역 적․역사적 입장에서 나름의 문학사상을 견지해 나갔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