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치초망어업에서는 반사갓에 AC 100V, 1kW 백열등 1개를 끼워서 집어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집어등은 저층에 있는 어군을 표층까지 부상시키고, 또한 표층에 유집된 어군을 자루그물로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멸치군을 유효하게 집어, 유도할 수 있는 집어 등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현재 초망어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반사갓의 방사효율과 1kW 백열등의 파장별 방사특성을 계측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반사갓은 백열등의 방사효율을 1.8배 정도 증가시켰으며, 전구를 중심으로 원형에 가깝게 빛을 수중으로 방사시켰고, 이는 수중광도계로 측정한 방사조도와도 잘 일치하였다. 2. 공기중에서 백열등의 방사조도는 994nm의 파장에서 최대치를 보인 반면 심도 0.5m, 1.0m 층에서 최대치를 보인 반면 심도 0.5m, 1.0m층에서는 모두 690nm의 파장에서 최대치를 보였다. 3. 집어등의 연직 하방에 있어서 심도(x)과 수중조도(y)와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y=146.03e 상(-0.37x) 4. 1kW 백열등의 빛은 정횡방향보다 연직방향쪽으로 많이 투과되었으며, 집어등 직하에서의 빛은 심도 20m이심에는 도달하지 않는다고 추정된다.
멸치초망용 챗대의 유압 권양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모형 챗대와 그물을 실물의 1/5크기로 제작하여 챗대를 권양할 때의 장력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권양기 3종을 설계 제작하여 그 성능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챗대를 건양하는데 가장 큰 장력이 작용할 때는 챗대 끝이 수면 하 4m에 있을 때이었고, 이 때 챗대줄에 작용하는 장력은 187.5kgf이었다. 2. 멸치초망 어업에 적합한 권양기의 조건은 어탐중 챗대가 움직이지 않아야 하며, 그 방법으로 감속기나 전자브레이크를 장치하는 것보다 시간 경과에 따른 누수량이 적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3. 시험에 사용된 권양기 중 최적의 권양기에 있어서 압력차 δP를 130kgf/ cm2으로 고정하였을 때, 권양기에 감겨지는 챗대줄의 권양속도는 2m/sec로서 재래식 방법보다 0.48m/sec 빠르게 나타났으며, 양망당 약 1.6톤의 멸치를 어획할 수 있다. 4. 권양기 2대를 설치함으로써 조업인원 2명을 절감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연안 해역의 패류 양식장과 마을어장에 서식하는 불가사리를 효율적으로 구제하기위하여 자루걸레형과 썰매형 구제 기구를 설계, 제작하여 1995년 4월부터 5월까지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유로리 연안에서 민간 형망어선 (복성호, 4.95톤)을 사용하여 구제 기구별 포획 성능과 예인 거리에 따른 포획 효율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루걸레형과 썰매형 구제 기구는 해저의 암초에 걸리지 않고 계속 예인하면서 불가사리를 구제할 수 있었고, 적정 예인 거리는 300~500m였다. 썰매형에 의한 불가사리류의 포획비율은 57%로 자루걸레형의 43%보다 다소 우수 하였으나 어패류의 흔획 포획비율은 자루걸레형보다 21배 정도 높았다. 썰매형은 자갈인 암초가 산재된 마을어장에 적합한 밤년, 자루걸레형은 어패류의 흔획과 유용 패류에 상처를 입힐 수 있는 면적이 작아 패류 양삭장에 효과적이었다.
옥돔의 조획 기구를 알아내고, 낚시를 개량하기 위해서 수조 중에서 옥돔의 연승어구에 대해 반응 행동을 비디오 카메라로 관찰 조사하였다. 옥돔은 물살을 거슬르면서 해저 위를 천천히 유영하며 미끼에 접근하였고, 미끼를 물때에는 불완전하게 무는 경우가 많았으며, 미끼를 문 후에는 천천히 뒤로 유영하면서 아릿줄이 당겨지면 미끼를 내뱉는 등의 완만하고 주의 깊은 행동을 보였다. 대부분의 조획은 미끼를 깊이 삼킨 후에 옥돔이 Rush 또는 Jerk 행동을 할 때 되었고, 조획과 관계 깊은 행동연쇄는 Chewing→Jerk 또는 Chewing→Rush였다. 현장시험에서 채가 긴 낚시가 조획성능이 매우 낮았고, 채가 짧은 낚시에는 조획성능도 양호하고 조획된 부위가 깊었던 것을 고려하면 옥돔은 낚시를 깊이 삼켜야만 조획이 가능하므로 조획성능만을 생각하면 낚시의 형상은 낚시 채가 짧으며 끝이 안으로 굽어 있는 형상이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낚시 형은 조획성능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면서도 기계화 조업도 가능한 절충형의 구조이다.
Catching performance of a mechanized pollock longline system compared with traditional one were examined in order to evaluate the practicality during two cruises in the Sokcho area. Mechanized longline system consists of random baiter, bait cutting machine, storage rails, and line hauler. Baiting efficiency of random baiter was 90-95% with 4-5kt shooting speed. Catching performance of the first experiment, salted sand lance only used as a bai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chanized operation with use fresh sand lance as a bait caught significantly more pollock than traditional one with use salted sand lance (P<0.016). Improved catch rates were about 2 times. As soak time goes on, relative catching efficiency shows a steady increase up to 6~7 hours and thereafter gradually decrease.
Drought is one of the natural disasters that slowly begin to accumulate over a long period. Although there are many kinds of drought indices, one single universally accepted definition does not currently exis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valuate drought severity comprehensively and objectively. This paper describes the comparisons of satellite-based drought indices such as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NDDI (Normalized Difference Drought Index), NMDI (Normalized Multi-band Drought Index), VHI (Vegetation Health Index) and SDCI (Scaled Drought Condition Index) to analyze agricultural drought in Korea. Through an experiment using the five drought indices, we found that VHI and the SPI2 calculated from 2-month accumulated precipitation were highly correlated and appropriate to express agricultural drought in South and North Korea. Also, the SPI2 and VHI showed close relationships with hydro-meteorological factors and vegetation production variables. For future work,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prehensive drought index which can cover various aspects of drought including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soil moisture, and vegetation state.
Not long ago, most escavation methods for tunnel or underground structure are selected by NATM method. But these days such as Shield TBM or Semi-shield TBM are applicated for structure length and ground condition. On the other hand almost TBM technology is depend on foreign country, so this technology is much a work in process. In this study, information factors during TBM tunnel construction was suggested by analysis in-situ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