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리더선수의 행동을 탐색하여 선수 리더십의 구성요인을 결정하고, 리더선수의 역할과 영향력 그 리고 행동에 따른 팀의 기여도와 선수들의 선호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 11개 종목의 대학교 운동선수 1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개방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리더선수 행동 탐색에 따른 선수 리더십의 구성요인을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결정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활용하여 리더선 수의 역할, 영향력, 팀의 기여도와 선수들의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결과: 훈련과 시합상황에서 리더선수의 주요 긍정⋅부정 행동은 파이팅을 외치며 격려하는 행동과 팀원에게 화를 내는 행동이며, 일상생활에선 생활규칙을 엄 수하는 행동과 생활규칙 준수를 강압적으로 지시하는 행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 리더십의 구성요인은 솔선수 범, 격려와 분위기 형성, 지도와 조언 제공, 단합과 의사소통, 부정적 영향력의 5요인으로 결정하였다. 셋째, 선수 들이 인식하고 선호하는 리더선수는 주장으로 나타났으며, 리더선수의 영향력에 대해 10개 팀은 긍정적으로, 나 머지 2개 팀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장 높은 팀의 기여도와 선수들의 선호도는 훈련상황에서 팀원의 부 족한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해주는 행동, 시합상황에서 박수를 치거나 엄지를 치켜세우는 행동으로 나타났으 며, 일상생활에선 팀원을 나서서 도와주는 행동과 생활규칙을 엄수하는 행동이 가장 높은 팀의 기여도와 선수들 의 선호도를 보였다. 결론: 선수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선수의 상황별 주요 행동과 선수 리더십의 구성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리더선수의 역할과 영향력 그리고 행동에 따른 팀의 기여도와 선수들의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2.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이전 시합에 정상적으로 참여했을 때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장 기간 시합에 참여하지 못했을 때 학생선수와 실업선수의 선수 정체성 변화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 상은 코로나19 확산 전 대부분의 대회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여자탁구선수 65명과 실업탁구선수 35명 이었다. 설문지를 활용하여 선수 정체성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test. 반복측 정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코로나 19로 인한 장기간 시합 미참가는 학생 탁구선수 와 실업 탁구선수의 선수 정체성을 감소시켰는데, 학생선수에 비해 실업선수의 선수 정체성이 더 현저하게 위축 되었다. 또한, 경기력 수준(상비군 경험 유무)에 따라 학생선수와 실업선수의 선수 정체성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 났다. 선수 정체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정서의 경우 상비군 경험이 있는 학생선수들이 상비군 경험이 없는 선 수들에 비해 더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장기간 시합 미참가는 학생과 실업 여자 탁구선수의 선수 정체성이 위축되는데 학생보다 실업 선수가 더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선수 정체성의 침체를 막기 위해서는 무관중 경 기 등으로라도 시합 참가 기회가 꾸준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3.
        202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환경과 문화에서 차이가 있는 외국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개발된 선수정체성 측정도구 (AIMS)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내 실정에 적합한 선수정체성 구성개념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심층면담을 주된 자료수집방법으로 연구참가자가 선수생활을 하면서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구술 또는 기술에 의해 선수정체성을 탐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과정 중 주제 범주의 생성과 의미화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계속 정독하며 각 선수들간의 공통적인 대답들 의 연관성을 찾아 주제별로 구분하여 범주를 생성한 뒤 공통요소들에 대하여 항목별로 의미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쳤다. 결과: 국내 엘리트 운동선수의 선수정체성은 기존의 선수정체성 측정도구(AIMS)의 3요인(사회적 정체성, 배타성, 부정적 정서성)외에 국내 선수만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7요인(신체적 유능감, 정신력, 자부심, 사회적 정체성, 부정적 정서, 미흡감, 격리감)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론: 외국 선수를 대상으로 개발된 선수정체성 측정도구 (AIMS)의 제한적인 하위구성개념 3요인 이외에 한국 스포츠 환경의 특성이 반영된 국내 선수만의 복합적이면서 보다 포괄적인 선수정체성개념이 발견되었다.
        4.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 스포츠심리학의 초기 성장기에 시대를 앞서 스포츠심리학의 현장적용에 선구적 역할을 한 신동성 박사의 연구활동과 현장지원 노력을 재조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생애사 연구 관점에서 면접과 문서분석을 활용하였고, 연구참여자의 구술 증언 형식의 생애사 면접과 연구관련 문서 및 언론 보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동료 점검, 연구참여자 점검, 삼각검증을 진행하였다. 결과: 신동성 박사의 연구활동과 현장지원 노력을 탐색한 결과 1980년대 체육과학 진흥 역할, 스포츠심리학 현장적용의 선구적 역할, 한국의 스포츠심리학 성장에 공헌한 역할 등 세 가지 범주로 도출되었다. 1980년대 체육과학 진흥 역할에 는 스포츠과학연구소 시절 체육부 창설과 서울올림픽 꿈나무발굴사업인 신인발굴사업, 육군사관학교와 청와대 경호실의 체력시험 기준을 설정하는데 기여하였다. 스포츠심리학 현장적용의 선구자 역할에는 심리검사를 적용한 심리상담을 도입하고, 골프협회를 대상으로 최초의 심리교육을 도입하였으며 축구에 인지전략 개념을 도입하는 공헌을 하였다. 한국의 스포츠심리학 성장에 공헌한 역할에는 한국의 콜먼 그리피스, 응용스포츠심리학의 대부로 불릴 만큼 초기 성장기의 주요공헌자였다. 현장적용 목적의 국제 교류 활동과 현장적용을 위한 제도 마련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내며 스포츠심리학을 현장에 활성화시켰다. 또한 스포츠심리학을 대입한 언론 토론에서 대중적 해설을 시작한 최초의 학자이며, 학회의 성장에도 기여하였다. 결론: 한국의 응용스포츠심리학 발전 초창기 신동성 박사가 취한 선구자적 접근법과 공헌을 기억하는 것은 학문의 전통을 계승하고 미래에 도전하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5.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weight training on physical self-concept among middle aged women by using a mixed research methods including a single case study design and qualitative study. Methods: A total of 8 middle-aged women from new members of the K fitness center in Incheon participated in the 17 weeks study. The study was structured 2 weeks baseline session, 12 weeks of weight training with observed changes through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 Kim, 2001) and 3 weeks withdrawal session. Results: 12 weeks weight training intervention significantly improved 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among the participants. Weight training was effective not only in strength and flexibility, but also in sports confidence, physical activity, and endurance.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analyzing perceptual changes of the process of physical self-concept change after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of the weight training. Conclusion: Weight training effectively improved middle-aged women’s physical self-concept including perceptions of health and body, sport confidence, physical fitness and general physical status.
        6.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aekwondo coaching language training on coaches’ self-efficacy of language use, coaching confidence, and perceived coaching behavior. Methods: A total of 72 taekwondo instructors in Korea participated in a single day coaching language training session designed to enhance their proper coaching language use. The 10-hour training program covered positive coaching language that recommended for the coaches to used in 11 taekwondo coaching situations. The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coaching behavior literature and other motivation theories such as goal orientation perspective. They answered to the questions on self-efficacy of coaching language use, coaching confidence, and perceived coaching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session. Open-ended questions on their perceptions of the training were also administered. Results: Paired t-tests and effect sizes revealed that the training session had relatively high effect on enhancing instructors’ self-efficacy of language use (effect size 0.49 - 1.02). The training resulted in greater coaching confidence (0.69 - 0.82). In addition, they felt that they would able to show more positive coaching behaviors such as encouragement and instruction.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single day language use training program had positive impacts on instructors proper use of coaching language and corrective behaviors.
        7.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7-day exercise deprivation on physical self-concept of habitual exercisers. Methods: Seven habitual exercisers who regularly exercised 6 to 7 days per week and 7 non-habitual exercisers completed a) Stage of Change Scale for Exercise, b) DSM-V Questionnaire, c) Korean Exercise Addiction Scale, and d) Korean version of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articipants refrained from their regular physical activity for the next 7 days. The Korean version of the PSDQ were completed at the same time of each deprivation da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last day.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habitual exercis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measures of physical self-concept compared to non-habitual participants. For habitual exercisers, perceptions of sports confidence, body fat, physical activity, flexibility,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nd physical self-worth decreased sharply and steadily as exercise deprivation continued. The results from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habitual exercisers had negative reactions to the exercise deprivation and mentioned considerable displeasures about their decreased physical self-concept. Conclusion: The pattern of physical self-concept disturbance followed by unpleasant feelings with exercise deprivation might contribute to understanding why and how individuals became dependent on exercise.
        8.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new golf performance profiling technique. The technique was designed to assess both ideal need states required for successful performance in competition and present performance states of an athlete. Methods: Two groups of golfers responded to the golf performance profile comprised of important elements of golf skills, physical fitness and psychological skills. An additional group of golfers participated in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ST) sessions. Scores on need state, current stat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ST sessions. The number of weeks until the golfers who attained their optimal zone on their performance elements actually showed their personal best performance was monitored. Results: The results from test and retest (1 week and 4 week distance) showed temporal stability across different performance elements. Golfers who participated in PST demonstrated improved scores on the majority of the elements, which could be an evidence of validity. Those reached optimal zones in the performance profile achieved their personal best performance within an average of 17 weeks. This golf performance profiling technique would be a useful tool for motivating athletes’ preparation toward competition and predicting their successful performance.
        9.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formation process by depth approaches to mental toughness of elite Ssirum players. For this purpose, we used grounded theory approach that was widely use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e selected elite Ssirum players as participants who had champion title by association of professionals that was composed of Ssirum experts and sports psychologists. To gather material for formation process of mental toughness, we used in-depth interview,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leaders interview, and by triangulation, confirmation of participants and consultation of experts, we had enough validity. All of data were analyzed for interactions of cause and effect, context relationship, mediation qualification and interactive strategy. Results: The process mental toughness of elite Ssirum players was divided into 4 stages : creating champion goals by positive expectation, social support by parents and leaders, constant effort with positive feedback by leaders, development of personal mental toughness by individual experience. Conclusion: These results might provide information to develop new related theories by revealing the formation factors of mental toughness, which might improve the Ssirum leaders and young players' performance.
        10.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tress and anger in A/B personality type individuals in relations to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Methods: A total of 276 undergraduate students responded to the FTA (Framinham A Type Behavior) tool and the Stress Response indicator (SRI),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Using physical activity stages of change questions, physical activity level was categorized. In order to find the varying levels of anger and stress across different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two-way ANOVAs were performed. Results: Personality type A individuals were found to have higher stress levels than personality type B individuals. Physical activity group showed lower levels of stress regardless of personality type. In addition, physical activity group had lower levels of anger across both type A and B personality types. A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on somatization. While personality type B individuals showed similar responses on somatization and trait anger across physical activity and non-physical activity groups, non-physical activity individuals with type A with had much higher somatization and trait anxiety compared to physical activity counterparts. Conclusion: Individuals with personality type A could reduce their stress and anger by exercising, resulting in lower risk for coronary artery disease.
        11.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수 바둑선수의 심리적 강점에 대한 과정을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 방법 중 Strauss와 Corbin(1990)의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둑 경기력과 밀접하게 관련된 심리적 강점은 의지력, 집중력, 자신감, 평정심의 4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강점 중 의지력은 프로 입단 준비과정과 끈기와 인내심 훈련을 통해 길러졌고, 집중력은 공부과정과 다양한 대국경험을 통해 형성되었다. 자신감은 성공 경험이나 준비 상태를 유지하려는 노력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시합전 관리와 시합 상황을 조절하는 노력을 통해 평정심이 만들어진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심리적 강점은 평소에 바둑 중심의 삶, 효율적인 생활을 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시합 전에는 방해요인을 차단하고 적절한 심리 상태를 만들고, 시합 중에는 감정을 조절하고 현재의 최선을 찾도록 도움을 주며, 시합 후에는 상황 분석이나 건설적인 대처를 하도록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근거이론에 따른 심리적 강점의 개념 모형을 살펴보면, 우수 바둑선수의 심리적 강점은 목표설정이라는 인과적 조건, 고유특성과 동기의 형성이라는 맥락적 조건을 갖는다. 사회적 지지라는 중재적 조건의 영향으로 강화된 심리적 강점은 자기관리와도 상호작용하게 되며, 시합 수행의 자동화, 생활 기술로의 일반화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