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경수목 유지 및 관리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고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조경공사 표준시방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각 조사 대상지의『전체공정표』와 『조경식재 공사 하자현황 및 처리방안』보고서를 분석한 내용과 비교하였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를 참고하였다. 첫 번째 문제는 수목 식재 적기를 고려하지 않는 시공일정으로 인한 부적기 식재이다. 두 번째는 배수 와 관수의 불량이다. 생육상태가 좋지 않은 수목에 적절하고 충분한 관수는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시공 이전 배수로 관리나 시공 이후 관수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세 번째 는 경제적, 시간적 문제로 발생하는 수목 식재의 변경과 재이식이다. 네 번째는 공사현장의 구조적 문 제로 발생하는 불충분한 식재기반 조성이다. 현장에서 수목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하자율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정부지침은 식재 수목에 관한 상세한 내용들을 담고 있으나 조경 시공사가 겪는 실질적인 어려움은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식재의 반입 기준이나 자재관리, 식재시기, 토양관 리 등의 지침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경시공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며, 시공기간을 충분히 제공받아 야 한다. 본 연구는 공사현장 및 공사과정의 현실적 이해를 더 높이고 정부의 지침과 현실적인 문제 사이의 간극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추후 정부 지침의 보완하여 조경 현장여건을 적극적으로 반영하 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4,500원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도시 상황에서 공동주택단지의 옥외공간은 시민들이 가장 일상적으로 접하는 외부환경 이자 풍경이라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이렇게 계획된 옥외공간은 최초 조성된 시대의 가치 뿐만 아니라 이후 지속해서 사회문화적 요구를 반영하며 변화한다. 본 연구는 한국 최초의 대 규모 고층 아파트단지로 알려진 여의도 시범아파트 외부공간의 생성과 변화에 담긴 다양한 역 사적·사회적 담론을 살펴보고 조경의 역할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조성 초기 이상 적인 공간을 재현하려는 계획적 의도부터 이어지는 각종 사회적 담론의 수용과 그 안에서 전개 되는 공간적 실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당시 계획과 설계에 관한 문헌과 신문자 료 등을 고찰하였고, 도면과 항공사진, 현장 방문과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아파트단지 외부공 간의 물리적 변화와 이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외부공간 구성의 이론적 배경과 기법으로서 모더니즘적 ‘이상도시’를 꿈꾼 당시 주거계획의 보편적인 개념인 서구의 근 린주구 이론을 바탕으로 보행자 위주의 슈퍼블록이 전체 공간의 구조적 틀임을 확인하였다. 둘 째, 초기 계획안에서 양적인 녹지공간의 이미지를 구현하려는 의도는 뚜렷하였으나, 실제 공동 체 생활공간으로서 녹지와 공공 오픈스페이스 조성에 대한 구체성과 전문성은 드러나지 않았 다. 셋째, 각종 제한사항에도 불구하고 양적으로 갖춰진 녹지 및 공공공간은 시대 상황과 요구 에 맞춰 변화함으로써 동시대 주거단지 내 옥외공간 이용의 양상이 어떻게 전개되어왔는지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전문 업역으로서 조경이 시작할 무렵 조성된 주거단지 옥외공간 의 초기의 모습에서부터 지금까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근현대 주거단지의 조 경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확인하는 데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4,200원
        3.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저우시에 최근 조성된 상성유적공원, 상성공원, 인민공원, 자형산공원 등 4개 유적지 공원을 대상으로 6개의 경관요소 즉, 전통수종, 역사적 폐허 및 유적, 전통건축, 조형물, 도로포장 및 소재, 수경요소 등의 측면에서 지역문화경관의 적용 및 문제점을 분석 평가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전통건축과 역사적 폐허 및 유적의 관리 측면에서 문제점이 드러났다. 상성 유적공원, 상성공원, 자형산공원에 조성된 전통건축은 모두 송나라 이후의 건축양식을 따르고 있어 상나라시대의 건축적 특징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인민광장의 경우 유적은 반개방적인 방법으로 보존 전시하고 있으나 부실한 관리로 인해 유적의 인위적인 훼손이 심각하고 특히 유적지의 고목들이 벽체를 크게 훼손하고 있다. 조형물 측면에서는 인민광장의 경우 상나라시대와 관련된 조형물이 없으며 도로포장 측면에서는 상성유적공원과 상성공원의 일부에만 문화적 토템이 적용되었을 뿐 공원 도로포장의 대부분이 현대식 포장으로 인해 지역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전통 수종 측면에서는 상성유적공원과 인민광장의 경우 대부분 전통수종을 식재했으나 상성공원 및 자형산공원의 경우 외래수종이 많아 지역 고유의 자연경관 을 연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면밀한 역사적 고증을 바탕으로 지역문화경관의 구성요소 및 설계원칙을 고려하여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수경요소는 자형산공원에만 적용 되었으나 지역특성을 상징하는 황하강을 모티브로 한 은유적 설계의 적용이 부족하다. 지역의 역사문화에 대한 은유적 표현 방법과 의미 해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 만큼 향후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4,500원
        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mulative effects are defined as the joint and aggregated effects of many factors and processes. Their consideration in landscape and environmental assessments are integral at both the project and strategic level, and they can help to bridge the different spatial and temporal scales. The primary challenge of conducting cumulative effect assessments (CEAs) is th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mplicated nature of cumulative effects. We used three criteria for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barriers to addressing cumulative effects that are critical for improving knowledge system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salience, credibility, and legitimacy, and analyzed three cases through a variety of studies and resources: the Middle Humber in the U.K., the Transboundary Crown of the Continent in the U.S. and Canada, and the Great Sandhills in Canada, to understand how CEAs have been applied and obstructed in terms of the three criteria. In addition, a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s and practitioners were performed to illuminate the critical barriers based on the criteria for addressing CEA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Based on the lessons, we suggest several key strategies such as securing a cooperative consulting process, and active and transparent partnerships; using a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as a framework; understanding and incorporating stakeholder knowledge; using advanced computer modeling and simulation techniques including effective visualization tools; and preparing a simple model design and understandable scientific information.
        4,300원
        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an urban spa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spatial planners and designers, who are charged with revealing and strengthening the space’s sense of place. However, in many cases, an urban space is regarded merely as a physical form, lacking an interpretation of various semantics, such as its history, political economy, social culture, and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n urban space evolves, and thus, how the social images of urban spaces can be recognized with Lefebvre’s theory. Therefore, we examine an urban district to reveal the interaction between societies and spaces through images reflected in news media and public articles, and eventually define the identity of the space. This study takes Yeonnam-dong district as its case, and carefully examines the social relations affecting spatial practices in the area by means of Lefebvre’s spatial triad: representation of space, representational space, and spatial practice. Using historical observation as a research method, we conducted a case review of Yeonnam-dong over 40 years (from 1975 to 2016).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have been complicated power dynamics and struggles to form the current image of Yeonnam-dong, which is still an ongoing process; this exemplifies Lefebvre's notion of the social construction of spaces. The results provide meaningful lessons for planners and designers that they should play important roles as coordinators in radical spatial changes. One of the major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hat it does not fully examine the detailed roles of each social entity in the landscape changes, which should be investigated in further studies.
        4,000원
        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s a research-based urban design project that explores how a landscape approach could contribute to regenerating a decrepit residential district. The focus is on a post-war housing area in Rotterdam, the Netherlands, called Groot-IJsselmonde. This site is a typical example of a post-war district in the Netherlands, with a layout clearly defined by plenty of green; good infrastructure; and a clear division among living, working, and recreation spaces. This research defines how this restructuring effort has been applied to the post-war neighborhoods in this district and what landscape architecture can contribute to this community’s sustainability.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how the design of open spaces can improve community sustainability, this research ponders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ing post-war neighborhoods in the present day? What are the strategies for restructuring these neighborhoods? And what is the new role of landscapes in contemporary cities, especially in post-war neighborhoods? Also, as it is understood that a spatial program is the engine of a project and that urban agriculture has potential as a restructuring tool, in this study “productive landscapes” are employed as a major concept in the design and operationalized in a physical setting. In the end, this research proposes adding a productive function to any unused green areas and meaningless landscapes to help enhance both the economic and social elements of the community. As it is situated in a similar social context to this Dutch case (such as having entered a post-industrial society and regarding apartments as the major housing system),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and practical lessons for current urban regeneration in Korea.
        4,200원
        7.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project was to present a landscape design proposal for the rooftop terrace of the College of Art and Design building in Kyunghee University. The design is based on the contemporary concept of “coworking” in order to encourage multidisciplinary development of projects among students of different fields within the college. This design suggested an inclusive programming strategy for an inspiring outdoor environment.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a landscape project relies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from different specialties, this design attempted to improve the link described above and to stimulate, through the designed setting, a living environment. The main concept was inspir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on honeybees (Apis mellifera), which represent social insects, and their relation with flowers. The honeycomb- shaped (hexagonal) modular unit enables various forms of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among the students, which provides a sense of place and an aesthetic value to the site as a whole. In addition, the site is composed of three floor levels, which are meant for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ensity of activity. The first level is divided into two areas, one meant for low intensity activity (secret garden) and the second one meant for medium intensity activity (a space for meeting and conversation). The second level is designated for more diverse activities, and therefore, the intensity of activity would be higher. The third level was planned as a planting experiment zone with a medium level of activity. Considering the intention of the place to improve the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of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physical interaction with nature, this design proposal is expected to inspire other professionals who deal with similar contexts, such as, and in particular, a college environment with diverse disciplines or any type of rooftop garden in an urban context.
        4,300원
        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업화 시대 이후 공간설계에 있어서 생태적 접근은 지속적으로 주목 받아왔다. 옥외환경디자인의 영역, 특히 조경설 계에 있어서 생태적 설계는 크게 두 가지의 흐름으로 나뉜다고 볼 수 있다. 첫째는 기술적인 측면의 생태설계로서 설계 행위를 통하여 환경의 생태적 건강성을 향상시키는데 집중하는 것을 강조하는 분야이며 둘째는 생태적인 공간을 사회문 화적으로 이해하고 어떻게 대중에게 그 공간의 생태적 가치를 설계라는 매개를 통해 전달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분야이 다. 본 연구에서는 후자의 관점에서 조경설계가 공간의 어떤 주제를 어떠한 방법으로 다룰 때 생태적 의미가 더 효과적 으로 전달될 것인가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따라서 생태적 조경설계의 여섯 가지 대상을 요약 및 분석하고 그에 따른 설계언어 여섯 가지를 제안하여 논증하였다. 설계주제로는 생태적 기능, 경관의 일시성, 역사성, 시각적 흥미, 안전성, 접근성을 요약하였고 설계언어는 구체적으로 설명, 상징, 대비, 틀, 다양화, 그리고 거리두기를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의미는 산재되어 있는 설계언어를 종합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어떻게 생태설계에 응용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제안하고 각 설계언어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4,200원
        9.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람들의 간섭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도시 경관의 지속가능성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애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도시경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 곳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그 경관의 어떠한 특질에 호의적인가와 그 특질들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근래들어 급증하고 있는 이전 산업화 부지를 공원화한 오픈스페이스들은 전통적인 미학적 기준으로 판단하기에는 많이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렇게 새로 등장하고 있는 도시경관에서 심미성과 자연성이라는 대표적인 두 가지 경관의 미학적 특질 간의 상관관계를 탐구하고, 이 두 가지 특질이 경관의 지속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사람들이 이러한 경관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하기 위해서 서울의 선유도공원과 하늘공원이 선정되었으며, 200명의 사람들에게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 등이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심미성과 자연성 사이에는 일관적인 강한 양적선형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적합성과 중요성 사이에는 강한 양적선형관계가 보였다. 셋째, 응답자는 전체 경관의 중요성을 결정함에 있어서 자연성보다 심미성에 더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로 추론될 수 있는 사실은 경관, 특히 생태적인 경관을 설계함에 있어서 생태적 기능뿐만이 아니라 그 경관의 외형적인 매력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한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