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8

        181.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항도시이며, 우리나라의 해양수도 및 동북아 관문항을 지향하는 부산광역시와 인천 광역시의 해양환경 관리역량을 비교·분석하고 이의 제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 는 해양환경지표로서 수온(C), 염분(‰),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ℓ), 화학적 산소요구량(CDO: ㎎/ℓ), 용존무기질 소(DIN: ㎎/ℓ), 총질소(T-N: ㎎/ℓ), 용존무기인(DIP: ㎎/ℓ), 총인(T-P: ㎎p/mℓ), 규산규소(Sio2-Si), 부유물질(㎎/ℓ), 클로로 필(Chi-a: ㎍/ℓ) 등의 총 12개 지표들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경우 2000년도부터 2003년도까지 는 해양환경상태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광역시 및 인천광역시의 해양환경상태를 악화시키고 있는 해양환경지 표는 총질소, 용존무기인, 총인 등으로 나타났고, 이들 해양환경지표들은 해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183.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산 신항만 건설전․후 가덕도 주변해역의 수리환경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부산 신항과 낙동강 하구역을 포함하는 가덕도 주변 해역에 대한 2002년부터 2009년까지의 수질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신항 개발에 따른 수질환경의 경년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신항 건 설전․후에 대한 수심적분 해수유동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부산 신항만 건설(완공 전․후)로 인한 평균대조기 조건에서의 해수유동장을 재 현하고 가덕도 주변해역에 해당하는 부산 신항만과 낙동강 하구역의 두 해역간 유출입되는 단면 Net-flux의 수치실험을 통해 해수수송량을 해석하였다.
        4,000원
        185.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ecies of fish such as striped beakperch, bluefin searobin and konoshiro gizzard shad are commercially very important due to their high demand in the Korean market. When estimating acoustically the abundance of stocks for these species, it is of crucial importance to know the target strength (TS) to the length dependence. In relation to these needs, the T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ree different species in an acrylic salt water tank using two split-beam echo sounders of 70 and 120 kHz. The TS for these three species under the controlled condition was simultaneously measured with the swimming movement by a DVR system and analyzed as a function of fish length (L) and frequency (or wavelength λ). The equation of the form TS=a log (L)+b log (λ)+c was derived for their TS-length dependence. The best fit regression of TS on fork length for striped beakperch was estimated as TS=35.67 log (L, m) -15.67 log (λ, m) -46.69 (r2=0.78). Furthermore, the best fit regression of TS on fork length for konoshiro gizzard shad was shown to be TS=25.85 log (L, m) -5.85 log (λ, m) -32.22 (r2=0.51). The averaged TS for 12 bluefin searobins with a mean length of 24.36cm at 70 kHz was analyzed to be -41.55dB. In addition, the averaged tilt angle obtained simultaneously by a DVR system with TS measurements for 27 konoshiro gizzard shads swimming within an acrylic salt water tank was estimated at -2.7˚.
        4,000원
        186.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 봄철에 PM10과 PM2.5를 채취하여 질량농도와 금속원소의 화학적 특성, 기상인자와의 관계 분석, 황사 및 비황사시의 미세먼지 특성 그리고 이동경로에 따른 농도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기간동안의 PM10, PM2.5, PM10-2.5평균농도는 각각 126.2±89.8, 85.5±41.6, 40.7±54.9μg/m3이었으며 PM2.5/PM10 및 PM10-2.5/PM2.5 비는 각각 0.70, 0.48이었다. 우리나라의 북서쪽인 북경을 포함한 지역과 서쪽인 상해를 포함한 지역에서 공기덩어리가 이류 할 때 가장 높은 미세먼지농도를 나타내었다.
        4,300원
        18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그동안 관심이 적었던 항만으로부터의 탄소배출량이 상당량에 이르고 이의 억제를 위한 노력이 LA/LB(Los Angeles/Long Beach)항만을 중심으로 선진항만에서 전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Green Port 전략의 일환으로 부산항에서 저탄소 항만운영정책이 강화되고 있다. 저탄소 항만운영은 단기적으로 항만비용을 증가시켜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부산항의 경우 저탄소 항만운영으로 인한 비용을 항만이용자에게 부담시키지 않고 항만당국이 저탄소를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반면 LA/LB의 경우 저탄소 항만운영의 비용을 선주 및 화주 등 항만이용자에게 부담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과 LA/LB항의 저탄소 항만운영에 관한 비교분석을 통해 부산항의 지속가능한 항만운영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4,000원
        18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 하천 방류 특성을 해석함에 있어 보다 정도 높은 기상 자료를 선정할 목적으로 1996년부터 2008년까지(13년간) 얻어진 하구둑 실방류량의 특성을 분석하고 부산과 김해간의 기상자료(강우량 등)를 사용하여 그 차이를 계산하였다. Tank model을 사용하여 추산된 하천유량은 실제 하구둑 방류량과 비교하였고, 하구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인자와 방류량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총 13년동안의 낙동강 하구둑으로부터 총방류량은 272,653.3×106 m3/month으로 산출되었다. 방류량이 가장 많은 달은 7월이 73,212.9×106 m3/month(26.9%)으로 가장 많고 8월이 22.0%, 9월이 18.9%의 순이었다. 최종적으로 낙동강 하구역의 유입하천유량을 산정함에 있어 부산 기상자료를 사용할 경우 실제 김해지역의 결과보다 하천유출량이 과대평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89.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미음지구부지 문화재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조사구역 전체를 감싸는 형태의 체성부가 확인되었으며 조사구역 남-북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조사구역의 동쪽은 석축으로, 서쪽은 토축으로 체성을 축조한 형태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남쪽 토축구간 및 동쪽 석축구간에서 각 1개소씩 문지 2개소가 확인되었으며 인수구와 퇴수구가 갖추어진 배수시설이 북쪽 체성부 및 동쪽 체성부, 동문지에서 확인되었는데 체성부에서 확인된 수구는 정방형 및 장방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동쪽 체성 인수구의 좌우로 길이 약 28m, 폭 50㎝ 크기의 석열이 이어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 석열의 기능은 성내에 차서 흘러내리는 우수로부터 체성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구릉 정상부에서 확인된 체성부를 중심으로 조사대상지의 서쪽과 남쪽을 아우르는 형태로 외황으로 추정되는 완만한 ‘V'字형의 구상유구가 확인되었다. 구상유구의 전체 길이는 약 110m이고 폭은 약 3~5m, 잔존깊이는 약 1.2~2.0m 이다. 출토된 유물은 기와편 및 자기편으로 기와편이 다수를 차지한다. 출토기와의 문양은 어골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자기류는 청자편, 백자편 및 분청사기편이 확인된다. 구랑동 유적은 고려시대 州鎭城과 함께 군사적 주요 거점에 설치된 일종의 감시초소의 역할을 하였던 戍의 성격을 띠는 유적으로 판단된다. 고려는 건국초기부터 신영토의 개척과 방비를 위하여 주요지점에 주진성을 점진적으로 축성하였는데 주진성은 거주성으로 치소나 군창 등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보다 평면둘레가 작았던 수는 둘레 100~200m의 토성 또는 석성으로 축조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각각의 주진성의 관할 하에 있었다. 구랑동 유적은 해안지역의 요충지인 이곳에 전방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戍를 설치, 운영하였던 것으로 생각되며 고려전기에 동, 남해안을 약탈하여 막대한 피해를 주었던 동여진 해적에 대한 대비 목적과 더불어 점차 동여진의 침입이 줄어들고 일본과의 교섭이 진행되면서 점차 내왕이 잦아지자 이에 대한 경계의 목적도 있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6,900원
        190.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둑 방류 특성 분석시 정도 높은 기상 자료를 선정할 목적으로 부산과 김해간의 기상자료(강우량 등) 와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을 상관 비교하였다. Tank model을 통해 부산 및 김해의 강우량/증발량 자료를 바탕으로 하천유출량을 산출 하고 낙동강 하구둑의 실제 방류량 자료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부산의 강수량과 평균 운량이 김해 지역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마찮가 지로 부산의 강수량을 사용한 추정하천유출량이 김해의 강수량을 사용한 추정하천유출량보다 다소 컸다. 이상의 결과는 낙동강 유역의 하천유량을 산정함에 있어 기존 부산의 기상자료를 사용할 경우 산정되어진 하천유출량은 실제 김해지역의 결과보다 과대평가될 소지 가 있음을 의미한다.
        4,000원
        19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산의 지역해양산업의 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해양산업박람회의 개최 논리와 효과적인 실행 방안을 구상하고자 했다. 본 연구가 다루고자 하는 해양산업박람회는 기존의 모든 해양산업들을 포괄하는 종합전시회로서의 위상과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부산에서 진정으로 개최되어야 할 박람회는 해양산업박람회가 되어야 한다는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취지와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순차적으로 부산의 해양산업 환경과 비중을 검토하고, 기존 전시회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다음, 해양산업체에 대한 의견조사를 통해 해양산업박람회의 합리적인 개최논리와 방안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4,000원
        199.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먼지 농도와 황사발원지의 기후학적 요소를 주기분석 함으로써 부산지역의 먼지농도 주기에 영향을 주는 기후학적 조건, 특히 황사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부산지역에서 관측된 먼지 농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단일스펙트럼분석을 수행한 결과 배출량이나 강수 효과 등에 의해 나타난 일반적인 주기(1년, 7일) 이외에, 상대적으로 3-4년 주기가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먼지 농도와 부산지역의 기상자료 및 황사발원지에서의 풍속과의 교차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주기 분석을 수행해 본 결과, 3-4년 주기일 때 먼지농도와 풍속, 기압은 양의 상관관계, 기온, 상대습도와는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황사 발생 조건과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나, 3-4년의 먼지 농도 주기는 황사의 장거리 수송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황사 발생은 발원지의 지표 상태에 따라 발생빈도가 달라지므로, 여러 기후학적 요소들 중 황사발원지에서의 강수량과의 주기 분석을 수행해 본 결과, 발원지에서의 강수량 그 자체보다는 발원지에서의 가뭄지수(EDI)의 시계열이 우리나라 먼지 농도의 3-4년 주기와 더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기후학적으로 황사 발원지에서의 지표건조 특성의 변동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00.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재 통폐합 위기에 처한 부산항부두관리공사의 답당 업무인 국제여객터미널, 크루즈터미널, 연안여객터미널 등 항만시설 관리업무의 합리적 민간위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들 항만시설 관리의 위탁기간, 위탁의 당위성(장점), 위탁범위와 위탁비용 등을 탐색하였다. 연구의 결과, 부산항부두관리공사 자체를 주식회사 형태로 민간화하고, 항만시설 관리업무를 동 법인에 위탁시키는 방안이 최선의 대안으로 도출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