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5

        181.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한(東漢) 비각에는 적지 않은 『시경(詩經)』의 내용이 인용되어 있으나, 직금 전해지는『시경(詩經)』과는 다른 이문(異文)을 형성하고 있다. 이문의 유형은 통 자가, 고금자, 이체자, 동의환용(同義換用), 탈문(脫文) 등이다. 동한 시기의 비문 은 주로 “삼가시(三家詩)”를 인용하고 있는 것이다.
        4,900원
        182.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의 중문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 는데 있어, 읽기를 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도 현저한 효과가 드러나는 방법 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독해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한자 능력을 발전시키고 공고하게 하는 것이 우선적인 임무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Dr. David Rose가 제안했던 Reading to Learn 학습이 론에서 출발하여 그림책 교육의 과정에 결합시켜 어떻게 하면 비화교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이 효과가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토해 그들의 한자 습득과 읽기, 쓰기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가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액션 러닝 기법을 이용하였는데, 이들의 행동을 연구하는 기간 동안에 연구원과 유관 중학교의 부교장은 비화교 학생들의 한자 사용 능력이 향상되 어, 읽고 쓰는 능력에 이르는 것 외에도 위에서 제기하였던 방법을 실제 어떻게 운영하여 얼마나 비화교 학생들의 그림책 읽기의 흥미와 효과를 높일 수 있는지 를 알고 싶어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Reading to Learn 학습법이 그림책을 결합한 교육인 「文類教學法」을 운용할 때 비화교 학생들의 한자 습득과 읽기 능력이 증가함과 더 나아가 읽기에 대한 흥미를 진작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6,900원
        183.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습자가 특정 언어를 이해하는 과정은 언어 교육 연구의 핵심 과제였다. 언어 학자들은 크게 세 가지 모형을 개발했다. 학습자는 작은 언어 단위로부터 시작해 서 보다 큰 언어 단위로 확대하면서 의미를 파악한다고 보았다. 綴字, 音節, 單語, 句, 文段, 그리고 글 전체로 의미를 수용한다고 하였다. 글에 초점을 둔 모형이었 다. 이에 대해, 다른 의견이 제시되었다. 의미의 출처는 독자에게 있으며 독자의 선행 지식이나 경험에 의해 글의 의미가 구성, 예측, 결정된다고 보는 관점이 바로 그것이다. 이후, 통합적 관점이 제기 되었는데, 학습자가 한 편의 글을 읽는 데에 는 문자 해독과 독자의 사전 지식이나 경험이 계속적으로 상호 작용하면서 글의 의미를 파악, 구성, 수용한다는 것이다. 한문 학습자는 ‘어떻게’ 한문을 이해하고 의미를 파악하는가, 라는 질문을 해 보 자. 전통적으로 우리는 한문 문장을 제시하고, 문장에 사용된 한자의 음과 뜻을 가르쳤다. 개별 한자의 대표적인 음과 뜻을 먼저 가르치고, 문맥에 적합한 뜻을 더하여 지도했다. 한자의 뜻을 고려하고, 문장의 구조나 형식을 참고하여, 문장을 풀이했다. 그리고 문장의 중심 내용, 화자의 의도, 글의 주제 등을 확인하고 강조했 다. 곧, 개별 한자에서, 한자 어휘로, 어구로, 그리고 문장 전체로 의미를 파악했다. 근래의 언어 교육 연구자들은 언어 학습의 주체로서의 ‘학습자’에 주목했다. 학 습자에 주목할 때, 우리는 글에 사용된 철자, 어휘, 구절의 의미나 구조의 파악에 유의하는 한편, 글의 주제나 소재, 글의 특성, 핵심 단어나 어휘에 대한 독자의 사 전 지식이나 배경 지식의 활성화에 주목하게 된다. 한문 학습자의 경우, 일차적으로 글에 사용된 개별 한자의 해독을 통해 글의 풀 이를 시도한다. 이와 함께 글의 구조, 허사의 쓰임, 문장의 형식 등 한문 지식을 활용하여 2차 풀이를 수행한다. 한자의 해독, 글의 구조와 형식, 허사의 쓰임 등은 글 요인이다. 문장의 독해에 글 요인은 중요 배경 요인이다. 그러나 한문 학습의 주체는 글도 아니고, 한문 교수자도 아니다. 바로 한문 학습자이다. 한문 학습자의 글에 대한 배경 지식의 정도와 배경 지식의 활성화 정도가 글의 독해에 많은 영향 을 끼친다. 글의 독해 과정은 글에 대한 독자의 의미 구성 과정인데, 그 과정은 글 요인과 독자 요인이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면서 진행된다. 이 점에 주목할 때, 한문 독해 교육에서 한자 해독, 한문 지식과 함께 독자의 배경 지식의 활성화 전 략을 기획할 수 있다. 이 주제와 연관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生成할 수 있다. 첫째, 텍스트의 분량 과 문종을 다양하게 도입하여 논의를 전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학습 방안 의 효과는 질적 연구로 입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다 정치한 질적 연구 설계를 요한다. 셋째, 교수․학습 방안 및 수업 지도안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자료를 수집 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한문 독해의 경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한자 교육 혹은 識字 교육의 접근 경로로 이른바 ‘集中 識字’와 ‘分散 識字’ 방법이 학 계에 보고된 바, 식자 교육과 연계된 한문 독해 교육 연구가 요청된다.
        5,400원
        184.
        201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s frequencies and changes in usage for grammatical forms in four different reading levels of children’s storybooks. In particular, it is explored whether differing patterns exist in the appearance of grammatical forms from lower to higher reading levels. The data consists of 56 storybooks divided into four reading levels. The texts of each storybook were segmented by sentence and analyzed according to which grammatical forms appear in the texts. The findings reveal that modals, negatives,coordinate clauses, and adverb clauses are the basic grammatical forms to know because readers would encounter these frequently across all storybook reading levels. At higher levels, the grammatical forms showing a notably greater frequency were participles, adjective clauses, infinitives, and interrogatives. Interestingly, a cumulative frequency pattern for grammatical forms was found from easier to more difficult levels. The modals, and subsequently, negatives, adverb clauses, coordinate clauses, and participles become frequently occurring grammatical forms. The paper ends by drawing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6,000원
        185.
        201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reading is part and parcel for the development of L2 literacy skills, such as in reading and writing, the skill has been practiced more often for grammar instruction and literal translation in EFL contexts. While realizing there is les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L2 skills through extensive reading (ER) in EFL university contexts,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outcome of an in-class ER approach in English university classrooms. With 249 students, the study reports on the implementation of a university level ER class and the outcome for L2 development via the measures of L2 reading speed, L2 speed reading comprehension, and L2 lexical writing ability. Results indicated positive outcomes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L2reading ability, productive retrieval of academic words and lexical variety. The outcome of the ER program validates the effort and time expended on such programs when graded readers are utilized at matching student Lexile levels.
        6,600원
        18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근시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해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는 어린이의 독서시 하방편위량이 근시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근시성 어린이 80명(8~12세, 구면굴절이상도 -0.50D~-5.00D)을 대상으로 누진가입도렌즈(42명)와 단초점렌즈(38명)를 무작위로 착용시켰다. 안경착용 1주 후, 2주 후 및 4주 후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작업시 하방편위량을 측정하였다. 6개월 후 굴절이상도와 안축장의 변화와 독서시 하방편위량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누진가입도렌즈 착용군의 근거리작업 시 하방편위량은 평균 7.14±1.19 mm였으며, 하방편위량이 클수록 6개월 동안 굴절이상도의 변화량이 적고(r=0.52, p=0.00), 안축장의 변화량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r=-0.47, p=0.00). 6개월 간 근시진행도는 누진가입도렌즈 착용군에서 -0.25±0.22D, 단초점렌즈 착용군에서-0.37±0.23D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2), 안축장의 변화는 누진가입도렌즈 착용군에서 0.13±0.10 mm, 단초점렌즈 착용군에서 0.19±0.14 m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 결론: 어린이에게 6개월 동안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시켰을 때 단초점렌즈와 비교하여 근시진행이 지연 되었고, 독서시 하방편위량이 클수록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누진가입도렌즈의 착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독서시 충분한 하방주시가 이루어지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4,200원
        187.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article, we have examined the studies on the reading competence in the context of French as a foreign language. The goal of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observation that the pedagogy in Korea focuses on the linguistic and socio-cultural competences of learners. However, this teaching method would not adequately enable learners to read efficiently, nor to become autonomous readers in French.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reading competence, we have proposed to consider the text in which reading activities take place as a semiotic and linguistic object and as a discourse. We have adopted the "l'ordre du scriptural" and the "l'aire scripturale" according to the theory of J. Peytard. From this perspective, we have examined a text used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part of DELF, level B1. Our study indicates that reading activity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and requires the reading competence, which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which all components also involved. Thus, we have proposed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reading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the text which concerns the "l'ordre du scriptural" according to M. Dabène.
        5,100원
        18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earch is a correlational study to look for causes and factors relating to the design of written documents (professional reading materials) and identify those relationships that are useful for communication designers. The research specifically targe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 and reader’s past experiences and appearance of the written documents. A preliminary survey, such as interviews, discussions, questionnaires and brainstorming sessions are conducted to establish the observable attributes related to perception which are reader’s interests,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written documents complexity. Finally, the research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analyze strong and weak correlations between these attributes. In genera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attribute appearances of a written documents with excellent visualizations for information display shows a strong correlation with interests while the attributes importance is weakly correlated with the complexity of the documents.
        4,300원
        19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 M. 싱의 시학 읽어내기: 「아란 섬」과 「바다를 타는 사람들」에 나타난 자연과 시 우리말 요약: J. M. 싱은 아마 지금까지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가장 위대한 극작가들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그는 자주 많은 이들에 의해 폄하(조이스 포함하여)되고 있지 만 예이츠는 당대에 모든 극작가들 중 최고로 여기는 것 같다. 본 논문은 싱이 아란 을 방문하기 전에 이미 잘 준비된 위대한 극을 쓸 수 있었다고 주장하며, 「아란 섬」을 증거로 제시하는데, 그가 나중에 희곡을 쓸 때 사용하는 관찰, 느낌, 생각으로 가 득 찬 아주 시적인 위대한 저술임을 증명한다
        5,100원
        191.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要有效提高非華語中學生的中文能力,閱讀是其中一個重要而效果卓著的方法;而要達到有效閱讀之目的,發展並鞏固學生的識字能力,更是首要之務。本研究之主要目標乃探討由 Dr David Rose 提出的「從閱讀中學習」(Reading to Learn) 的學習理論,在結合圖畫書教學的過程中,如何能有效促進非華語中學生學習漢語,從而提升其中文能力。與此同時,研究員及有關中學的副校長,也希望在提高非華語中學生的識字能力,以至閱讀能力之餘,更能進一步檢視上述方法,能否同時提高非華語中學生閱讀圖畫書之興趣與效能。
        192.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長期以來,香港很多非華語中學生在學習中文寫作時都面對著字詞不足、文章結構散亂、文類特徵含糊等困難,因此必須給予他們足夠的寫作教學支援。「以讀促學」教學法(Reading to learn methodology)是目前廣泛應用在澳洲土著學生的英語第二語言閲讀和寫作教學法,其成效備受肯定。故本論文嘗試應用「以讀促學」教學法在非華語中學生的中文論説文寫作教學上,採用前實驗設計的單組前後測的研究方法,選取一位中文老師和十五位非華語中學生作爲研究對象,進行爲期五個星期的教學試驗研究,配以觀課、訪談及比較學生在教學之前和之後所寫的論説文,來探究「以讀促學」教學法在非華語中學生論説文課堂教學的實施成效。研究結果發現,師生一致認爲「以讀促學」教學法能夠有效提高學生上課的投入程度,師生課堂互動較多;並能提高學生學習中文寫作的信心,增加其課堂參與度。而學生在接受教學之後所寫的論説文,在字詞運用、文章結構鋪排及文類特色呈現三方面均比接受教學之前所寫的論説文為佳。
        193.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現在,韓國國家制定的‘常用漢字’或是‘敎育用漢字’只有‘中學校漢文敎育用基礎漢字900字’和‘高等學校漢文敎育用基礎漢字900字’。韓國的一些機關和團體根據各自的基准和原則研發了一些適用於初等學校的基礎漢字,這些‘初等學校用漢字’(普通600字左右)大多是從‘中學校漢文敎育用基礎漢字900字’ 中挑選出的。 初等學生主要閱讀的兒童讀物中使用的‘漢字和漢字語’中,韓國機關團體研發的‘初等學校水準基礎漢字’(暫以‘高麗大學校漢字漢文硏究所選定初級用漢字’ 600字爲基准,以下‘初等學校用基礎漢字’也以此爲基准)中的漢字和漢字語占多數。但‘中學校漢文敎育用基礎漢字’中‘初等學校用600字’除外的‘中學校用’300字和‘高等學校漢文敎育用基礎漢字’包含的漢字和漢字語也占不少的比例,同時還有一些不屬於以上兩者範圍外的漢字與漢字語也不可忽視。我們有必要用與‘中ㆍ高等學校漢文敎育用基礎漢字1,800字’不同的視角來看待利用兒童读物進行的‘漢字和漢字語敎育’。筆者認爲有必要將‘國語敎育用基礎漢字’的選定與‘漢文敎育用基礎漢字’的選定分開考慮。‘國語敎育用基礎漢字’的選定與‘漢文敎育用基礎漢字’的選定也應該先分開考慮,後統合考慮。同時,我們從兒童读物中使用的漢字和漢字語的調査, 可以看出大體上級數越低,‘級數別漢字’和‘ 級數別漢字語’的差距就越大。級數越低,‘級數別漢字語數’比‘級數別漢字’数量就越少。 ‘級數別漢字’的‘生産力’低下。 這雖然是‘上位級數漢字語(級數高的漢字語)’包含‘下位級數漢字(級數低的漢字語)的緣故, 但我們通過‘級數別漢字語’可以看到再調整‘級數別漢字’是十分必要的。 筆者認爲韓國的兒童漢字敎育首先應該從兒童讀物的普及之處尋找突破,本論文即旨在構想其相應的漢字教育實踐方案。爲此筆者謹分析格林童話集中的「狼和七只小山羊」中出現的‘漢字語狀況’爲例。
        194.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漢字是漢字文化圈中中日韓越四國語文的表述文字,歐西語文則主要由拉丁字母組合而成。 由於種種原因,過往以拉丁字母表述漢字的情況並非罕見。然而在東西文化交流與全球一體化的過程中,亦曾出現過一些以漢字或漢字元素表述西方語文的理論和著作。本文選取了其中部分著作,按其內容分成「語音譯寫」與「同源再生」兩個類別, 並藉此分別探討其在語言文化及教育學術上的功能,特別是漢字化西方語文在漢字研究、漢字教育及提升語文互懂性方面所帶來的啟示。 本文寫作過程中,筆者有幸訪問了「漢字化德文」(2013) 作者, 德國漢字工作者——藍霄漢(Sky Darmos) 先生,謹此致謝。
        195.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香港與中國大陸和台灣不同,小一學童不是採用漢語拼音或國語注音來學習閱讀。我們的經驗是幼兒自3歲開始,透過運用全語言方法編寫的圖畫故事來學習閱讀,5歲時已可認識800多個生字和多種句式,能閱讀淺顯的插圖故事書。此外,中國和台灣教育局均禁止學前兒童寫字,但香港小一開學第三個星期就有中文默書。幼稚園畢業時,學生要識寫250多個字,包括筆劃複雜的「醫」字,才能順利上小學,學習的方法是透過抄寫。過早抄寫造成幼童小肌肉的勞損,過程亦痛苦。我們的經驗是結合視覺、「中文字母口訣」和書空的多維感覺並用方法,不須抄寫,5歲幼童就能有效、有趣地提高寫字的能力。會上,將透過課堂錄像展示母語是華語或非華語的3至6歲幼童學習中文的讀、寫經驗。
        196.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東漢碑刻引用了不少《詩經》成句,與今本《詩經》形成異文。異文類型有通假字、古今字、異體字、同義換用、脫文等。本文擬對這些異文進行較為全面的整理研究,研究目的主要有兩個:第一,漢碑作為實物文字資料,保留了當時的用字情況,對於這些用字方面的差異進行研究,可以從一個角度揭示當時社會的具體用字情況。第二,通過與已有其他《詩經》版本的比較,可以從一個方面瞭解當時社會使用《詩經》版本的情況。 示例:《校官碑》:“布政優優。” 《詩經·商頌·長髮》:“敷政優優。” 按:《韓詩外傳》引《詩》同今本《詩經》。《春秋左傳·成公二年》、《春秋左傳·昭公二十年》、《春秋繁露·偱天之道》、大徐本《說文解字》“憂”下、《孔子家語·正論解》等引《詩》均作“布政優優”,與東漢碑刻相同。《史記》引《尚書》“敷”字多作“布”。“布”與“敷”通。《山海經·海內經》:“禹、鯀是始布土定九州。”郭注:“布猶敷也。《書》曰堯敷土,定高山大川。”
        197.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上博七‧君人者何必安哉》甲、乙本簡5曰:“君王龍其祭而不為其樂”。其中“龍”字,學界至今有讀作“隆”、“淡”、“襲”及“供”等說。本文指出簡文中“龍其祭”與“為其樂”並舉,二者應有一定關係,“龍”與“為”可能是同義詞。揆諸音義,“龍”可讀為“用”。“用”、“為”並有“行”義,古籍中不乏對舉和連用之例。準此,簡文應讀為“君王用其祭而不為其樂”,意謂君王雖行社祀,但卻不舉行與祭祀相關的樂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