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비평가들은『배우 여왕』이 예이츠의『환상록』의 내용을 알레고리로 극화시킨 희곡으로 무대 상연의 가치가 없다고 평가했다. 이 글은 그러한 비평가들의 해석에 반박하여『배우 여왕』은『환상록』을 몰라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예이츠가 의도한대로 소극으로서 독자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는 희곡이라는 주장을 하기 위해 비평가들의 해석을 검토한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working memory capacity to second language reading comprehens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in comparison with L1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L2 vocabulary knowledge, and L2 grammatical knowledge. Further, it attempts to examine whether the role played by working memory span differs depending on the proficiency levels of L2 learner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78 L2 learners of English who were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groups―a low-proficiency and a high-proficiency group—according to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s. The results of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working memory capacity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L2 reading comprehension of advanced users of English above and beyond other variables; working memory capacity alone explained around 37.9% of the variance in L2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for the low-proficiency group, vocabulary knowledge explained a larger variance in L2 reading comprehension. The findings from the study suggest that as L2 learners become more competent users of English, working memory span emerges as a more direct predictor of L2 reading comprehension.
When one is reading or writing, various forms of bottom-up knowledge—e.g., grammar, vocabulary, orthography, and the mechanics of written language—interact with the top-down processes at the level of discourse. One of the reasons English language learners encounter a lot of difficulty when they are engaged in academic reading and writing is that they have been taught grammar only at the sentence level and not at the discourse level. In order to illustrate how discourse-based grammar instruction can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academic reading and writing, this paper discusses various ways in which the following four topics can be dealt with at the discourse level: cohesion, the tense and aspect system, comma usage, and existential there. Obviously, discourse-based grammar instruction should be integrated with the teaching of the other top-down and bottom-up skills necessary for academic reading and writing. EFL teachers, however, need to know more about discourse grammar to effectively make their learners aware of it and to offer them learning activities that will contribute to better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ten production.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test-items using the same text and test-takers' text familiarity on the scores of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 total of 312 third-grad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ook three different English tests, adapting types of test-items from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Each test included items using the same texts, presented in exam preparation books published by EBS in Korea, but different question types. To estimate levels of their topic familiarity, two surveys were carried out. Repeated measures ANOVAs reveal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among the items using the same text with different types of test-item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topic familiarity. The results indicate a greater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test-items than topic familiarity on the scores of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using the same text. Based on th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English teachers in Korea need to manage their reading classes by using various types of questions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to prepare their students for the CSA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eading fluency of elemena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50 six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wo schools of Gyeonggi province and their reading fluency was evaluated. Assessment of reading fluency was administered as follows: students were asked to read orally a reading text for one minute, which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and the teacher checked their read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ssessment criteria developed by Zutell and Rasinski (1991). Reading fluency dealt with four subcategories: decoding accuracy, reading rate per a minute (WCPM),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Mean score at each subcategory and its aspect were analyzed, expression element were compared between the lower and higher group, and finally co-relation between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most students gained higher score in decoding accuracy or reading rate, their expression was lower. Among four sub-categories of expression, i.e. expression and volume, phrasing, smoothness, and reading rate, score of expression and volume was the lowest. Most students read text with little expression or enthusiasm in their voice. On the basis of the result, some ideas for teaching fluency were suggested.
동한(東漢) 비각에는 적지 않은 『시경(詩經)』의 내용이 인용되어 있으나, 직금 전해지는『시경(詩經)』과는 다른 이문(異文)을 형성하고 있다. 이문의 유형은 통 자가, 고금자, 이체자, 동의환용(同義換用), 탈문(脫文) 등이다. 동한 시기의 비문 은 주로 “삼가시(三家詩)”를 인용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의 중문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 는데 있어, 읽기를 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도 현저한 효과가 드러나는 방법 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독해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한자 능력을 발전시키고 공고하게 하는 것이 우선적인 임무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Dr. David Rose가 제안했던 Reading to Learn 학습이 론에서 출발하여 그림책 교육의 과정에 결합시켜 어떻게 하면 비화교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이 효과가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토해 그들의 한자 습득과 읽기, 쓰기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가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액션 러닝 기법을 이용하였는데, 이들의 행동을 연구하는 기간 동안에 연구원과 유관 중학교의 부교장은 비화교 학생들의 한자 사용 능력이 향상되 어, 읽고 쓰는 능력에 이르는 것 외에도 위에서 제기하였던 방법을 실제 어떻게 운영하여 얼마나 비화교 학생들의 그림책 읽기의 흥미와 효과를 높일 수 있는지 를 알고 싶어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Reading to Learn 학습법이 그림책을 결합한 교육인 「文類教學法」을 운용할 때 비화교 학생들의 한자 습득과 읽기 능력이 증가함과 더 나아가 읽기에 대한 흥미를 진작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습자가 특정 언어를 이해하는 과정은 언어 교육 연구의 핵심 과제였다. 언어 학자들은 크게 세 가지 모형을 개발했다. 학습자는 작은 언어 단위로부터 시작해 서 보다 큰 언어 단위로 확대하면서 의미를 파악한다고 보았다. 綴字, 音節, 單語, 句, 文段, 그리고 글 전체로 의미를 수용한다고 하였다. 글에 초점을 둔 모형이었 다. 이에 대해, 다른 의견이 제시되었다. 의미의 출처는 독자에게 있으며 독자의 선행 지식이나 경험에 의해 글의 의미가 구성, 예측, 결정된다고 보는 관점이 바로 그것이다. 이후, 통합적 관점이 제기 되었는데, 학습자가 한 편의 글을 읽는 데에 는 문자 해독과 독자의 사전 지식이나 경험이 계속적으로 상호 작용하면서 글의 의미를 파악, 구성, 수용한다는 것이다. 한문 학습자는 ‘어떻게’ 한문을 이해하고 의미를 파악하는가, 라는 질문을 해 보 자. 전통적으로 우리는 한문 문장을 제시하고, 문장에 사용된 한자의 음과 뜻을 가르쳤다. 개별 한자의 대표적인 음과 뜻을 먼저 가르치고, 문맥에 적합한 뜻을 더하여 지도했다. 한자의 뜻을 고려하고, 문장의 구조나 형식을 참고하여, 문장을 풀이했다. 그리고 문장의 중심 내용, 화자의 의도, 글의 주제 등을 확인하고 강조했 다. 곧, 개별 한자에서, 한자 어휘로, 어구로, 그리고 문장 전체로 의미를 파악했다. 근래의 언어 교육 연구자들은 언어 학습의 주체로서의 ‘학습자’에 주목했다. 학 습자에 주목할 때, 우리는 글에 사용된 철자, 어휘, 구절의 의미나 구조의 파악에 유의하는 한편, 글의 주제나 소재, 글의 특성, 핵심 단어나 어휘에 대한 독자의 사 전 지식이나 배경 지식의 활성화에 주목하게 된다. 한문 학습자의 경우, 일차적으로 글에 사용된 개별 한자의 해독을 통해 글의 풀 이를 시도한다. 이와 함께 글의 구조, 허사의 쓰임, 문장의 형식 등 한문 지식을 활용하여 2차 풀이를 수행한다. 한자의 해독, 글의 구조와 형식, 허사의 쓰임 등은 글 요인이다. 문장의 독해에 글 요인은 중요 배경 요인이다. 그러나 한문 학습의 주체는 글도 아니고, 한문 교수자도 아니다. 바로 한문 학습자이다. 한문 학습자의 글에 대한 배경 지식의 정도와 배경 지식의 활성화 정도가 글의 독해에 많은 영향 을 끼친다. 글의 독해 과정은 글에 대한 독자의 의미 구성 과정인데, 그 과정은 글 요인과 독자 요인이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면서 진행된다. 이 점에 주목할 때, 한문 독해 교육에서 한자 해독, 한문 지식과 함께 독자의 배경 지식의 활성화 전 략을 기획할 수 있다. 이 주제와 연관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生成할 수 있다. 첫째, 텍스트의 분량 과 문종을 다양하게 도입하여 논의를 전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학습 방안 의 효과는 질적 연구로 입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다 정치한 질적 연구 설계를 요한다. 셋째, 교수․학습 방안 및 수업 지도안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자료를 수집 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한문 독해의 경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한자 교육 혹은 識字 교육의 접근 경로로 이른바 ‘集中 識字’와 ‘分散 識字’ 방법이 학 계에 보고된 바, 식자 교육과 연계된 한문 독해 교육 연구가 요청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frequencies and changes in usage for grammatical forms in four different reading levels of children’s storybooks. In particular, it is explored whether differing patterns exist in the appearance of grammatical forms from lower to higher reading levels. The data consists of 56 storybooks divided into four reading levels. The texts of each storybook were segmented by sentence and analyzed according to which grammatical forms appear in the texts. The findings reveal that modals, negatives,coordinate clauses, and adverb clauses are the basic grammatical forms to know because readers would encounter these frequently across all storybook reading levels. At higher levels, the grammatical forms showing a notably greater frequency were participles, adjective clauses, infinitives, and interrogatives. Interestingly, a cumulative frequency pattern for grammatical forms was found from easier to more difficult levels. The modals, and subsequently, negatives, adverb clauses, coordinate clauses, and participles become frequently occurring grammatical forms. The paper ends by drawing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lthough reading is part and parcel for the development of L2 literacy skills, such as in reading and writing, the skill has been practiced more often for grammar instruction and literal translation in EFL contexts. While realizing there is les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L2 skills through extensive reading (ER) in EFL university contexts,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outcome of an in-class ER approach in English university classrooms. With 249 students, the study reports on the implementation of a university level ER class and the outcome for L2 development via the measures of L2 reading speed, L2 speed reading comprehension, and L2 lexical writing ability. Results indicated positive outcomes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L2reading ability, productive retrieval of academic words and lexical variety. The outcome of the ER program validates the effort and time expended on such programs when graded readers are utilized at matching student Lexile levels.
목적: 근시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해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는 어린이의 독서시 하방편위량이 근시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근시성 어린이 80명(8~12세, 구면굴절이상도 -0.50D~-5.00D)을 대상으로 누진가입도렌즈(42명)와 단초점렌즈(38명)를 무작위로 착용시켰다. 안경착용 1주 후, 2주 후 및 4주 후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작업시 하방편위량을 측정하였다. 6개월 후 굴절이상도와 안축장의 변화와 독서시 하방편위량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누진가입도렌즈 착용군의 근거리작업 시 하방편위량은 평균 7.14±1.19 mm였으며, 하방편위량이 클수록 6개월 동안 굴절이상도의 변화량이 적고(r=0.52, p=0.00), 안축장의 변화량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r=-0.47, p=0.00). 6개월 간 근시진행도는 누진가입도렌즈 착용군에서 -0.25±0.22D, 단초점렌즈 착용군에서-0.37±0.23D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2), 안축장의 변화는 누진가입도렌즈 착용군에서 0.13±0.10 mm, 단초점렌즈 착용군에서 0.19±0.14 m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 결론: 어린이에게 6개월 동안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시켰을 때 단초점렌즈와 비교하여 근시진행이 지연 되었고, 독서시 하방편위량이 클수록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누진가입도렌즈의 착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독서시 충분한 하방주시가 이루어지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In this article, we have examined the studies on the reading competence in the context of French as a foreign language. The goal of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observation that the pedagogy in Korea focuses on the linguistic and socio-cultural competences of learners. However, this teaching method would not adequately enable learners to read efficiently, nor to become autonomous readers in French.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reading competence, we have proposed to consider the text in which reading activities take place as a semiotic and linguistic object and as a discourse. We have adopted the "l'ordre du scriptural" and the "l'aire scripturale" according to the theory of J. Peytard. From this perspective, we have examined a text used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part of DELF, level B1. Our study indicates that reading activity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and requires the reading competence, which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which all components also involved. Thus, we have proposed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reading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the text which concerns the "l'ordre du scriptural" according to M. Dabène.
The research is a correlational study to look for causes and factors relating to the design of written documents (professional reading materials) and identify those relationships that are useful for communication designers. The research specifically targe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 and reader’s past experiences and appearance of the written documents. A preliminary survey, such as interviews, discussions, questionnaires and brainstorming sessions are conducted to establish the observable attributes related to perception which are reader’s interests,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written documents complexity. Finally, the research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analyze strong and weak correlations between these attributes. In genera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attribute appearances of a written documents with excellent visualizations for information display shows a strong correlation with interests while the attributes importance is weakly correlated with the complexity of the documents.
J. M. 싱의 시학 읽어내기: 「아란 섬」과 「바다를 타는 사람들」에 나타난 자연과 시 우리말 요약: J. M. 싱은 아마 지금까지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가장 위대한 극작가들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그는 자주 많은 이들에 의해 폄하(조이스 포함하여)되고 있지 만 예이츠는 당대에 모든 극작가들 중 최고로 여기는 것 같다. 본 논문은 싱이 아란 을 방문하기 전에 이미 잘 준비된 위대한 극을 쓸 수 있었다고 주장하며, 「아란 섬」을 증거로 제시하는데, 그가 나중에 희곡을 쓸 때 사용하는 관찰, 느낌, 생각으로 가 득 찬 아주 시적인 위대한 저술임을 증명한다
要有效提高非華語中學生的中文能力,閱讀是其中一個重要而效果卓著的方法;而要達到有效閱讀之目的,發展並鞏固學生的識字能力,更是首要之務。本研究之主要目標乃探討由 Dr David Rose 提出的「從閱讀中學習」(Reading to Learn) 的學習理論,在結合圖畫書教學的過程中,如何能有效促進非華語中學生學習漢語,從而提升其中文能力。與此同時,研究員及有關中學的副校長,也希望在提高非華語中學生的識字能力,以至閱讀能力之餘,更能進一步檢視上述方法,能否同時提高非華語中學生閱讀圖畫書之興趣與效能。
長期以來,香港很多非華語中學生在學習中文寫作時都面對著字詞不足、文章結構散亂、文類特徵含糊等困難,因此必須給予他們足夠的寫作教學支援。「以讀促學」教學法(Reading to learn methodology)是目前廣泛應用在澳洲土著學生的英語第二語言閲讀和寫作教學法,其成效備受肯定。故本論文嘗試應用「以讀促學」教學法在非華語中學生的中文論説文寫作教學上,採用前實驗設計的單組前後測的研究方法,選取一位中文老師和十五位非華語中學生作爲研究對象,進行爲期五個星期的教學試驗研究,配以觀課、訪談及比較學生在教學之前和之後所寫的論説文,來探究「以讀促學」教學法在非華語中學生論説文課堂教學的實施成效。研究結果發現,師生一致認爲「以讀促學」教學法能夠有效提高學生上課的投入程度,師生課堂互動較多;並能提高學生學習中文寫作的信心,增加其課堂參與度。而學生在接受教學之後所寫的論説文,在字詞運用、文章結構鋪排及文類特色呈現三方面均比接受教學之前所寫的論説文為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