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85

        20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s the first known to introduce and analyze food-related content among the records left by George Clayton Foulk (1856-1893), a naval attaché dispatched as part of a U.S. delegation to Ko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Sketches and memos by Foulk provide important clues in understanding the food cultur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types of foods, table composition, and intervals between serving the nine rounds of food from the rural government office, which Foulk ate during his local trip, he was able to confirm that there was a starter (‘preliminary table’ or ‘hors d’oeuvre’) before the main table and that it was served before the main dish.
        4,900원
        202.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형동검문화의 청동제 목공구로는 동부와 동착이 있다. 동착은 단순하지만 동부는 선형동부와 유견 동부, 장방형동부, 주머니형동부로 다양하다. 이 중 합인인 주머니형동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편인 이다. 필자들은 민족지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1960년대까지 신석기시대 농경민의 삶을 살고 있었 던 뉴기니의 두굼 다니가 돌도끼는 나무를 쪼개는 데 사용했고, 자귀는 나무를 베고 다듬는 데 사용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필자들은 장방형동부를 도끼와 자귀로 착장해서 나무 베기 실험을 진행 하였는데, 자귀로 사용했을 때 훨씬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두굼 다니의 사례, 그리고 돌도끼와 돌자귀로 나무 베기를 진행한 실험고고학적인 연구 결과와도 상통한다. 즉, 장방형동부는 나무를 벨 수도 있고 다듬을 수도 있는 자귀여서 長方形銅錛이라는 명칭이 더 적합하다. 나아가 세형동검문화의 동부들은 합인인 주머니형동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자귀여서 有肩銅錛, 扇形 銅錛으로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 한국 고고학계에서는 목공구의 명칭을 총칭해서“斧”로 쓰거나“斧”와“鑿”으로 이원해서 쓰는 경 향이 강하다. 하지만 이러한 목공구 명칭은 현대 대목장의 연장인 도끼, 자귀, 끌이나 18세기에 편찬된 『才物譜』의 斧(독긔), 錛子(자귀), 鑿( )이라는 명칭과 달라서 대중들의 인식과 괴리되어 있다. 그 래서 한국 고고학계에서도 목공구의 명칭을 도끼(斧), 자귀(錛), 끌(鑿)과 같이 전통적이면서도 현대적 이어서 대중들이 이해할 수 있는 명칭으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7,800원
        203.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ed on the intention and idea of Chinese character-based cultural industrialization, this paper puts forward the concepts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industry” and “Chinese character culture industry research” by integrating the basic theories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cultural industry, combining the practical attempts of Chinese character researches and cultural creative designs. This paper also defines the natur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industry research” by sorting out the contents of the related subjects, and puts forward the research contents of this specific field. In this way, this study tries to construct a theoretical framework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industry research.
        5,400원
        204.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early development of parthenogenetic embryo, cytoplasm and nucleic acid fragmentation may be a cause of lower embryo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embryonic development and apoptosis factors can be reduced by controlling the in-vitro culture environment by the addition of hormones, pregnancy serum and uterine milk. Our study showed that the activity of Casp-3 increased within the cytoplasm when artificially used hormones to induce the incubation environment, and PCNA's manifestation was low. However, the addition of pregnant serum appeared to lower the Casp-3 activity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addition, MMP-9 activity was increased and early embryo development and cytoplasmic fidelity were also increas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use of gestational serum in the development of parthenogenetic embryo inhibit apoptosis and increases cytoplasmic reorganization by natural environmental control in in vitro culture.
        4,000원
        20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stablishment of porcine embryonic stem cells (ESCs) from porcine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blastocysts is influenced by in vitro culture day of porcine reconstructed embryo and feeder cell typ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in vitro culture period for reconstructed porcine SCNT embryos and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 feeder cell type for enhancing colony formation efficiency from the inner cell mass (ICM) of porcine SCNT blastocysts and their outgrowth. As the results, porcine SCNT blastocysts produced through in vitro culture of the reconstructed embryos for 8 day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efficiency in the formation of colonies, compared to those for 7 days. Moreover, MEF feeder cells derived from outbred ICR mice showed numerically the highest efficiency of colony formation in blastocysts produced through in vitro culture of porcine SCNT embryos for 8 days and porcine ESCs with typical ESC morphology were maintained more successfully over Passage 2 on outbred ICR mice-derived MEF feeder cells than on MEF feeder cells derived from inbred C57BL/6 and hybrid B6CBAF1 mice. Overall, the harmonization of porcine SCNT blastocysts produced through in vitro culture of the reconstructed embryos for 8 days and MEF feeder cells derived from outbred ICR mice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ESCs derived from porcine SCNT blastocysts.
        4,000원
        206.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sh ovarian germline stem cells (OGSCs) that have the abilities to self-renew and differentiate into functional gametes can be used in various researches and applications. A main issue to be solved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fish OGSCs is the development of their stable in vitro culture condition, but only few researches about fish OGSC culture have been reported so far.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the clues to develop the culture condition for OGSCs from Japanese medaka (Oryzias latipes), we tried to establish somatic cell lines as a candidate for the feeder cells and evaluated its supporting effects on the culture of ovarian cell populations from O. latipes. As the results, the somatic cell lines could be established only from the embryonic tissues among three tissues derived from embryos, fins and ovaries. Three embryonic cell lines were tested as a feeder cell for the culture of ovarian cell population and all three cell lines induced cell aggregation formation of the cultured ovarian cells whereas the feeder-free condition did not. Furthermore, a significant cellular proliferation was observed in the ovarian cells cultured on two of three cell lines. As a trial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cell lines as a feeder cell that supports the proliferation of the cultured ovarian cells, we subsequently established a stable line that expresses the foreign O. latipes fibroblast growth factor 2 (FGF2) from an embryonic cell line and evaluated its effectiveness as a feeder cell. The ovarian cells cultured on FGF2 expressing feeder cells still formed cell aggregates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cellular proliferation compared to those cultured on non-transformed feeder cell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n vitro culture of medaka OGSCs.
        4,000원
        207.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외 수집 균주를 대상으로 균주의 배양적 특성과 유전적 유연관계 및 균주별 함유된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곰보버섯은 생장온도 25oC, pH 7.0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다. 균사는 초기에 백색에서 생장이 진행될수록 진한 노란색을 띠다 진한 갈색으로 변화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곰보버섯만의 고유한 배양적 특징으로 균사가 종에 따라 주기별로 경화되는 특징과 특유 강한 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균사 형태는 관찰을 통하여 총 5종류로 분류되었고 이들 균주의 ITS 분석 결과 Morchella conica, M.sextelata, M. importuna, M. esculenta, M. carssipes 등 5종으로 동정되었다. UFPF primer를 이용하여 PCR 다형성을 분석한 결과 ITS 분석 결과와는 다르게 M. conica로 동정된 KMCC04971 균주와 M. sextelata로 동정된 KMCC04407 균주는 동일한 패턴을 보였으며 그 결과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균주별 균사체 베타글루칸 함량 분석 결과 M. importuna인 KMCC04973 균주가 100 g당 알파글루칸 16.4 g을 포함하는 베타글루칸 함량 33.1 g으로 가장 높았다.
        4,000원
        208.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경북지역 한지형 마늘 주산지인 의성지역을 중심으로 OYDV, LYSV, GCLV, SLV 그리고 Allexivirus를 진단한 결과, 모든 마늘잎의 시료가 한 가지 이상의 바이러스에 복합감염되어 있었다.. 2. 생장점 배양한 마늘은 1세대부터 3세대까지 OYDV와 SLV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생장점 배양 마늘의 1세대는 GCLV 3.8%, Allexivirus 3.1%의 바이러스 감염률을 나타내었으며, 생장점 배양 마늘 2세대는 LYSV 3.4%, GCLV 21.7% 그리고 Allexivirus 10.0%를 나타내었다. 생장점 배양 마늘 3 세대는 GCLV 17.5%, Allexivirus 7.5%의 바이러스 감염률을 나타내었다. 3. 의성지역의 바이러스에 감염된 일반마늘 1통의 평균 무게는 29.3 g 이었으나, 생장점 배양에 의하여 증식된 2세대 마늘 1통의 평균 무게는 57.6 g, 3세대 마늘 1통의 평균 무게는 66.2 g 이었다.
        4,000원
        209.
        2020.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香은 중국에서 악취나 벌레를 제거하고 의복에 좋은 냄새를 더하며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려는 목적으로 춘추전국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한대에 이르러서는 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왕실을 중심으로 향구가 사용되면서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수량도 풍부해졌으며 사용범위도 확대되었다. 滿城漢墓는 景帝의 아들이자 武帝의 이복형이었던 中山國 靖王 劉勝과 그의 부인 竇綰의 무덤으로서 香爐 6점과 香枕 2점 그리고 향료가 출토되어 서한대 왕실의 향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만성한묘의 향구에 대한 분석과 동시대 문헌기록의 해석을 통해서 한대의 향문화를 고찰하였다. 만성한묘의 향로는 형태의 특징에 따라서 豆形, 博山形, 多足形, 帶 柄形 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향을 담아 사용하는 향침에는 산초나무 열매(花 椒)가 가득 채워져 있었는데 이 열매는 중국 본토향료로 향신료, 약재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후에 망자의 혼령을 하늘로 인도해 준다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한대 향에 대한 관념과 사용은 향구의 형태, 함께 부장된 기물 및 출토된 공간의 특성에 따라서 예의상의 향과 생활 속의 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만성한묘에서 祭器, 酒器와 함께 출토된 향로는 연회 혹은 제사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던 것이고 욕실공간에서 목욕기물과 함께 부장된 향로는 냄새와 세균을 없애서 욕실의 환경을 개선하거나 목욕시 몸에 향이 스며들도록 사용되었던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5,800원
        210.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lium dauricum is 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belonging to the family Liliaceae. The species contains several bioactive compounds used as functional foods and medicinal agents in Northeast Asia. This study aimed (1) to establish an in vitro bulblet culture using an air-lift bioreactor and callus culture for the conservation of L. dauricum and obtaining its bioactive compounds; (2) investigate the plant phenolic compounds from both cultures system. The highest bulblet production with 12.5-fold increase in growth rate was obtained usin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5 g L-1 BA and 3% sucrose. Addition of 7% sucrose facilitated bulblet enlargement, with approximate 2.5- and 7-fold increases in diameter and fresh weight, respectively. The highest rate of callus (100%) was obtained using a combination of 1.0 mg L-1 picloram and 0.5 mg L-1 Kinetin. The callus proliferation occur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 mg L-1 picloram, 0.25 mg L-1 kinetin, and 0.25 g L-1 casein hydrolysat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callus, which was 1.5-fold higher than that in the bulblets. These findings indicate a suitable system for optimizing both bulblet and callus culture of L. dauricum, therefore, providing useful bio-materials for industrial purposes and contributing to the conservation of this species.
        4,200원
        21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canine brucellosis has been known to be an important re-emerging zoonosis,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f Brucella canis infection remains clues to be solved. Different culture models, single and co-culture models, were constructed with canine epithelial cells, D17 and macrophage, DH82 to investigate the induction of immune responses in in vivo B. canis infection. Expression of genes related with induction of immune responses, Th1, Th2 and Th17, was compared in the two different models after the bacterial infection. In this study, expression of cytokine genes, IL-1β, IL-5, IL-6, IL-10, IL-23, and TNF-α was quantified in the DH82 at different time points using RT-qPCR in the two different culture systems after the infection. Cytokine genes related with Th1, IL-1β and TNF-α and Th17, IL-6 and IL-23 were expressed with time-dependent manners in the both systems (p<0.05). However, increase of Th2-related cytokine genes expression was not detectable in the both systems by comparison with control. The expression of Th1 and Th17 related cytokine genes was earlier in single cell culture than those in co-culture model (p<0.05). In general, amounts of the expressed genes were shown higher in single cell model than those in co-culture models. This study indicate that Th1 and Th17-associated immune responses are central to B. canis infection in dogs. In addition, it suggests a specific role of epithelial cells in the B. canis infection in vivo, which should resolved in the further study.
        4,000원
        21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의 스포츠는 그 자체만으로도 매우 다양한 현상을 표출하기도 하고, 복잡한 사회적 기호를 재생산하거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각 시대에서 중심적 이슈가 되고 있는 이데올로기와 결합하면서 변용되는 스포츠의 의미는 최근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 사회 현상을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과 만나서 스포츠문화는 새로운 현상을 생산하고 있다. 과연 이러한 시대에 우리는 스포츠문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해야 하는 것이 옳은 접근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이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각각의 학문별로 영역별로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 그것이 스포츠문화의 재해석이라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스포츠문화가 어떻게 소비 되고, 확산되고, 재해석되어 가는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스포츠문화의 방향과 지향점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스포츠문화는 무엇을 소비하는가에 대한 답을 다섯 가지 형태로 제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스포츠문화의 확산 매개체로 학교체육, 스포츠 동호회(스포츠 클럽), 스포츠이벤트, 스포츠미디어, 스포츠와 관련된 공정성을 제시하였다. 우린 수 많은 과학문명을 수용하고, 변용하면서 스포츠문화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에게 촉진 시키고 있다. 다만 그러 한 것을 규정화 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보다 근본적인 부분에서의 노력, 즉 문화 규정짓기와 근본적인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고, 해야 한다. 스포츠문화의 재해석이라는 틀은 단지 해석의 차원이 아니라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과 답을 끊임없이 찾아야 할 것이다.
        4,000원
        21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빈영양해수에서 배양하여 황백화를 유도한 김 엽체는 NO3 - (300 μM)와 PO4 3- (30 μM)를 공급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회복 정도를 분석하였다. NO3 - 공급 조건에서는 배양 2일 후부터 김 엽체의 회복이 나타났으며, PO4 3- 공급 조건에서는 배양 5일 후부터 김 엽체의 회복이 관찰되었다. 색차계의 수치화 된 값들은 황백화 김 엽체의 회복을 판단하는데 유용하였다. 황백화 김은 무기영양분의 공급으로 비대한 액포가 축소되고, 색택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1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란달걀버섯은(Amanita javanica) 국내에서 산림법으 로 보호받고 있는 식용 가능한 외생균근성 버섯이나, 중요한 산림자원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특성 연구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채집 야생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노란달걀버섯 NIFoS 1267 균주를 이용하여 PDA 배지 상에서 물리적 요인(온도, pH, 광)과 화학적인 요인(염분, 중금속, 농약)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최적의 물리적 환경은 온도가 30oC, pH가 5-6, 암조건으로 배양이었을 때 노란달걀 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요인으로서 염분은 2.0% 농도 조건까지 버섯균주의 균사 생장이 가능하였다. 50 ppm 농도의 중금속 이온 환경에서 비소(As) 이온은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카드뮴(Cd)와 납(Pb) 이온은 균사 생장이 불가능하게 하였다. 국내 산림에 사용되고 있는 2가지 농약의 경우, Abamectin 첨가 배지에서는 노란달걀 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에 영향이 없었으나 Acetamiprid, Emamectin benzoate, Thiacloprid가 첨가된 배지 환경에서는 균사 생장이 모두 다 저해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상업적 생산을 위한 새로운 자원으로서 노란달걀버섯의 인공재배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1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리그닌 분해 담자균류로 알려져 있는 느타리버섯균 No.42는 망간퍼옥시데이즈(MnP) 및 락게이즈(Lac)를 생산하였으나 글루코오스-펩톤-이스트-밀기울(GPYW)배지를 이용한 정치배양조건하에서 리그닌퍼옥시데이즈(LiP)활성은 검출 되지 않았다. 한편, 동일배지에서 망간퍼옥시데이즈 활성은 11일째 80(3.6) U/flask(ml)의 최대 생산되었다. 망간퍼옥시 데이즈 분리정제는 Sepha-ros CL-6B 및 Mono-Q 컬럼순으로 수행하였으며 주요 망간퍼옥시데이즈 isozyme은 단일밴 드로 분자량은 36.4KDa이였다. N-말단으로부터 19개의 아 미노산 배열은 단백질 자동 분석 장치로 분석한 결과 ATCADGRTTANAACCVLFP를 나타내었다. 느타리버섯균 No.42의 정치배양조건 하에서 세포외로 생산되는 중요한 망간퍼옥시데이즈 isozyme의 N-말단 아미노산 배열은 이전에 보고된 MnP3의 아미노산 배열과 동일하였다.
        4,000원
        21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표고 재배방식의 변화와 함께 톱밥재배가 증가됨에 따라 재배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진균류를 분리, 동정하고 이들에 대한 다양성 분석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경남지역 5개 농가로부터 수집된 시료에서 405균주를 분리하고 이들에 ITS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24속 42종을 확인하였다. 분리된 진균들에 대한 동정결과 Penicillium 속이 11종, Trichoderma속 4종이 확인되어 높은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T. harzianum 의 경우 5개 농가 에서 수집된 모든 시료에서 확인되었으며, Penicillium brevicompactum의 경우 3개 농가에 확인되었다. 2개 농가 에서 확인되어진 Scytalidium cuboideum의 경우 표고 톱밥배지 조기부후 및 버섯 발생 저해 등의 피해증상이 확 인됨에 따라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표고 톱밥재배의 경우 다양한 진균류이 존재가능하기 때문에 재배사 내부의 환경관리 및 예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17.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G2(Group of Two)가 된 중국, 탈유교사회인 현대 중국에서 지식인들은 왜 유학담론을 이야기하며, 유학은 왜 부흥했는가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21세기의 탈유교화된 중국 현대사회에서, 중국지식인들은 왜 100년 전에 그들이 폐기처분했던 공자와 유교문화를 신자본주의시 대인 21세기에 자신들의 새로운 ‘문명가치’로 내세우는가? 현대중국에서 유학은 왜 쇠락했는지, 21세기 오늘날의 중국에서 유학은 왜 다시 부흥하고 있는지, 이러한 ‘유학부흥 현상’을 가능하게 한 중국사회의 매커니즘은 무엇인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중국현대사에서 유학의 쇠락과정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첫째, 신문화운동 시기에 전통은 무엇 때문에 거부되었는지, 둘째, 문화 대혁명 시기에 공자는 왜 비판을 받았는지를 검토한다. 이 글은 특히 문화연구(Cultural Studies) 의 방법론으로 G2가 된 중국에서의 유학부흥 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국가정책과 지식인의 유학담론, 경제발전과 공자학원의 설립, 대학과 당교(黨校)에서의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이 제도권의 커리큘럼에 도입된 것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탐색을 통하여 탈유교화된 중국 현 대 사회의 정치문화 상황과 21세기의 중국에서 유교문화의 부흥은 중국이 꿈꾸는 국가의 미래 상과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