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7

        2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s a powered pilotless aircraft, which is controlled remotely or autonomously. UAVs are an attractive alternative for many scientific and military organizations. UAVs can perform operations that are considered to be risky
        4,200원
        2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s to select a path planning algorithm to maximize survivability for Unmanned Aerial Vehicle(UAV). An UAV is a powered pilotless aircraft, which is controlled remotely or autonomously. UAVs are currently employed in many military missions(surveillance, reconnaissance, communication relay, targeting, strike etc.) and a number of civilian applications(communication service, broadcast service, traffic control support, monitoring, measurement etc.). In this research, a 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 is suggested by using MRPP(Most Reliable Path Problem) and verified by using ILOG CPLEX. A path planning algorithm for UAV is selected by comparing of SPP(Shortest Path Problem) algorithms which transfer MRPP into SPP.
        4,200원
        24.
        201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sperm collection methods on the post-thaw viability of cat semen. The cat semen was collected by artificial virginal (AV) and electronic ejaculate (EE) methods. The composition of semen extender was consisted of Tris-buffer supplemented with 20% egg yolk and 1% P/S antibiotics in Ext I, and more added 8% glycerol, 1.0% Equex STM paste of total volume in Ext II. The collected semen was adjusted the concentration and then diluted in Ext I for optimal concentration. The diluted semen was cooling to 5℃ temperature in refrigerator for at least 2 hrs and then diluted stepwise with Ext II for at least 1 hrs. After an equilibration for 1 hrs, the cooled semen was packaged in 0.5 ml straw and then freezing on the LN2 vapor over 5 cm above from LN2 and then immersed directly in LN2 for cryopreservation. The frozen semen was thawed in 38℃ water for 15 sec and then evaluated the motility, viability, and morphology. Post-thaw semen were calculated the motility by SMI (sperm motility index). The live-dead sperm was evaluated by Eosin-B and morphological evaluation was by Diff-quik kit staining. The post-thaw concentration (89×106 /ml vs. 128×106 /ml), viability (22.6±10.6% vs. 37.1±26.1%), morphological normality (27.0±50.2% vs. 45.6±123.0%) of EE and AV group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but the post-thaw motility was significant lower in EE than that in AV group (53.1±3.6 vs. 73.6±5.7) (p<0.05). In conclusion, semen collection methods did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EE and AV groups except of post-thaw motility and so both semen collection methods could be applied in feline semen collection methods.
        4,000원
        2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cobacter butzleri is one of the aerotolerant Campylobacter species which cause persistent diarrhea,abdominal pain, nausea and vomiting in huma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growth and survival of A. butzleri under the heat treatment or freezing storage condition. In heat treatment, two Korean isolates of A. butzleri were treated at 40 to 80℃ for various times. In freeze treatment, two Korean isolates of A. butzleri were kept at 4, −20 and −70℃ from 1 to 15 d. The survivability of the A. butzleri Korean isolates significantly decreased at higher than 60℃ heating condition but it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40℃ treated group. Under the cold stress condition, survivability of A. butzler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20℃ storage. Like other foodborne pathogens,survivability of A. butzleri was controlled by heat and freezing treatment.
        4,000원
        2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cleavage rate and blastocyst yield for each culture condition to enhance tolerance of cryo-preservation of bovine IVF embryo with relatively lower cryo-tolerance compared to in vivo embryo. The cleavage rate and blastocysts yield for CR1aa, IVMD, IVD, CR1aa+10% FBS were 73.2, 69.3, 72.8, 68.5% and 44.1, 30.8, 33.3, 48.0%, respectively. The values did not differ among each treatments without serum. For embryo vitrification, In vivo and In vitro blastocysts were exposed to VS1(10% glycerin, 0.1 M glucose, 0.1 M sucrose, PEG 1%) for 5 min, and VS2 (10% glycerin, 10% EG, 0.2 M glucose, 0.2 M sucrose, PEG 2%) for 5 min and then VS3 (10% glycerin, 30% EG, 0.3 M glucose, 0.3 M sucrose, PEG 3%) for 1 min. The exposed embryos were then loaded into the 0.25 ml plastic straws and then plunged into liquid nitrogen. The straws were held for period of 1 to 2 weeks before thawing. In embryo viability, no differences in blastocyst re-expansion rates were found between in vivo and in vitro embryos. whereas expansion-BL rate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in vivo-derived embryos (72.7%) when compared to in vitro-derived embryos (51.4%), respectively (P<0.05). In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combined use of CRIaa culture medium with vitrification might enhance tolerance of cryopreservation for bovine IVF embryo production.
        4,000원
        30.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cooling and freezing of seme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of horses are not fully understood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percentages of total motile (TM) and progressively motile (PM) sperms after the collection, cooling and freezing of stallion semen. The average volume of semen was 167 ml in Thoroughbred and 68 ml in Arab. The average numbers of spermatozoa in Thoroughbred and Arab were and respectively. The average percentages of TM and PM were 82.3% and 88.6% in Thoroughbred, and 61.4% and 82.6% in Arab, respectively. The average percentage of TM at 4 hr after cooling a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at 0 hr (<), but the percentage of PM was similar between 66.5 and 73.2% at 0, 1, and 4hr. The average percentage of frozen-thawed Thoroughbred semen frozen in MFR5 extender was 56.2%,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emen frozen in LE extender (average 32.9%, p<0.05). The percentage of TM in Arab was similar for semen frozen in MFR5 extender and LE extender (18.2% and 21.2%, respectively), but the percentage of P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perm frozen in MFR5 extender than in sperm frozen in LE extender (69.0% vs. 36.4%, p<0.05). Four mare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by Thoroughbred frozen-thawed semen and one of them fertilized at 11 day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In this study, the collection, cooling and freezing of equine semen were possible under domestic conditions.
        4,000원
        32.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산 과일 주스 4종을 준비하고 식중독 유발균인 Listeria monocytogenes와 Salmonella Typhimurium를 접종하여 14일 동안 4℃에서 보관하며 항균 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L. monocytogenes 에서는 매실 주스가 가장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어 보존 14일만에 생존하고 있는 균을 전혀 측정할 수 없었으며, 그 다음으로 키위가 3.0 log만큼 억제를 보이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감귤의 경우 1.0 log만큼 억제하는데 그쳤다. 매실주스 10%를 다른 주스에 혼합하였을 때 L. monocytogenes는 키위 즙에서 더욱 향상된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14일 후 생존 균을 측정할 수 없었고, 감귤주스에서도 1.5 log 만큼의 향상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은 전반적으로 L. monocytogenes 보다 더 쉽게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키위 즙과 매실 주스에서 접종한 모든 균이 보존 14일 후 생존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감귤의 경우에는 1.4 log 만큼밖에 억제하지 못했다. 10%의 매실과 혼합된 주스에 S. Typhimurium을 접종한 결과 키위 즙에서는 접종한 전 균이, 감귤주스에서는 3.2 log 만큼의 증가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매실은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과실주스에서의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 보존 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3.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mSOF(modified synthetic oviduct fluid medium) 배양액을 이용하여 와 배양 소적에서 일본 흑우의 수정란 생산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난구세포가 부착된 미성숙 난자는 각각 단독 배양조건( 소적) 및 그룹 배양 조건 ( 소적)에서 실시하였고 배양액은 TCM-199의 기본 배지에 10% FCS, 0.02IU/ml FSH와 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배반포 단계로 발육한 수정란은 1.5M ethylene
        4,000원
        34.
        200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 체외수정란과 체세포 복제란의 초자화 동결 및 융해 후 생존능을 검토하였다. 배반포로 발육된 체외수정란 및 체세포 복제란을 초자화 동결법에 의해 동결하였다가 융해하여 생존율 및 배양 후 부화율을 검사하였다. 체외수정란 배반포를 초자화 동결 융해한 결과, 확장배반포가 배반포기 난자에 비하여 생존율(82.1%, 96/117)과 부화율(64.1%, 75/117)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핵이식 배반포 복제란을 초자화 동결 융해한 경우도 체외수정란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 확장 및 부화배의 생존율과 부화율이 각각 81.1%(30/37)와 78.3%(29/37)로, 배반포(각각 71.8 및 53.8%)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자화 동결 방법에 의해서 소 체외수정란과 체세포 복제란을 성공적으로 동결할 수 있으며, 특히 후기 배반포기 단계에서 초자화 동결 시 높은 생존율과 부화배 형성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3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축되는 소 난소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도축장으로부터 실험실로 운반되는 난소 수송 온도에 따른 체외 수정란 생산 효율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도축장의 HACCP 적용으로 도축장 출입이 불가능하므로 위탁하여 난소를 공급받게 되어 취급자의 부주의로 적절한 온도 유지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겨울철에는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겨울철 난소수송 온도에 따라서 4처리 그룹, 즉 (T1), (T2), (T3) 그리고
        4,000원
        37.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 채취 정액의 동결후의 생존성과 신선 및 동결 정자의 capacitation, acrosome reaction과 생존성을 조사하고, 아울러 신선 및 동결 정액을 자연 발정 또는 발정 유기 암캐 에게 인공수정 후 임신율을 조사하였다. 개 채취 정액의 동결 융해 후의 생존성은 로서 신선 정액의 생존성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신선 및 동결 정액의 capacitation, acrosome reaction 및 생존성은 각각 및
        4,000원
        38.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정액의 보다 간편하고 손쉽게 동결시킬 수 있은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돼지정액은 3시간에 걸쳐 5℃까지 냉각 후 Straw에 봉입하고 다양한 방법 및 step에 의해 스티로폼 용기 내에 들어있는 LN2 중에서 동결하였다. 정자의 생존성은 LN2 표면으로부터 10 cm 위에서 10분간 정치 후 침적할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54.0%). Straw를 -102℃에서 10분간 정치시킨 처리구가 여타구보다 높은 생존성이 얻어졌다(74.0%, P<0.05). 응해 방법에 따른 동결정액의 생존성 실험에서는 37℃의 융해구가 52℃ 융해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1단계 동결 방법과 3단계 동결방법으로 돼지 정액을 동결시킨 결과 정액의 일반적 특성 및 첨체의 이상 유무를 평가하는 CTC 검사에서는 커다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동결정액을 이용한 체외수정 결과에서는 상실배기 이상 발육율에서 1-step이 3-step보다 높은 발육율을 나타내었다(27.5 vs 14.7%, P<0.05). 본 실험의 결과 돼지정액 동결 시 -102℃에서 10분간 정치시키는 1단계 동결방법이 간편하면서 유리한 동결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39.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OPS 기법에 의한 돼지 수정란의 동결-융해 시 수정란의 발달 단계와 superoxide dismutase (SOD)가 수정란의 생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돼지 체외수정 배반포는 OPS방법에 의해 동결 후 융해하여 0~10unitsml의 SOD 존재 하에 48시간 체외배양하였다. 동결-융해 후 형태학적으로 정상적인 수정란의 비율은 초기, 중기 및 확장배반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30.8~38.6%). 그러나 발육단계가 높을수록 형태적으로 정상인 수정란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수정란의 융해 후 48시간 추가 배양했을 때, 발육이 진행된 수정란은 후기배반포기에 동결한 수정란이 38.7%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1 unit/ml의 SOD를 첨가한 경우 비교적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수정란의 OPS방법에 의한 동결-융해 후 생존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후기배반포기 단계에 동결하는 것이 유리하며, SOD의 첨가는 수정란의 손상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