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

        21.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루터의 성령이해를 다루었다. 루터는 고대교회의 삼위일체 이 해를 계승하고 있고, 삼위의 관계나 본질에 대한 다른 견해를 갖고 있지 않았다. 하지만 성령의 활동에 대한 이해는 그에게 매우 중요했다. 왜냐하 면 종교개혁 진영 내부에서 개혁의 정당성을 성령의 직접적인 지시나 내적 명령에 두는 사례들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그 주된 논의의 유발자는 칼슈 타트와 토마스 뮌처 그리고 소위 츠비카우 예언자들이었다. 이들은 행동의 근거를 성령의 직접적인 역사와 내적 지시에 두며, 개혁의 방향을 주관적 으로 선회하려고 했다. 평신도들에게 성령의 소유를 촉구하며, 성령의 지 시를 받는 자신들만이 참된 하나님의 종이라고 주장했다. 이들로 인하여 루터는 성령의 역사에 대해 다시 한 번 깊이 숙고했으며, 성서를 토대로 상세히 반박했다. 루터에게는 내적인 깨달음보다 객관적인 하나님의 말씀 이 더 중요했다. 그는 성령의 역사를 말씀보다 앞세우지 않았다. 성령의 역 사에 대한 루터의 사유는 대체로 1520년대 초기와 중반에 열광주의자들과 의 대립 속에서 계속 형성되며, 1520년대 후반에 집중적으로 발간된 󰡔고백󰡕, 󰡔대교리문답서󰡕, 󰡔소교리문답서󰡕 그리고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서󰡕에 표명되어 있다.
        22.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 필자는 루터가 두 형태의 두 왕국, 즉 하나님의 왕국과 사탄의 왕국, 그리고 하나님의 왕국과 세상왕국을 이야기 하고 있으며, 이 왕국들에 대한 루터의 사고를 오해하고 오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이 두 형태는 신중하게 구별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 논지를 토대로 하여 필자는 하나님의 사중통치, 세 가지의 외적 통치들, 그것들에 상응하는 세 가지의 외적 통치 수단들, 그리고 하나님의 사중통치에 대적하는 사탄의 사중통치에 대한 루터의 사고들이 하나님의 왕국과 세상왕국 간에 구별되기는 하지만, 동시에 상호 내적으로 연결된 관계를 보여주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와 함께 본 논문은 이 내적 연계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특히 한 쌍의 신학적 주제인 믿음과 사랑, 자유의 두 양상(∼으로부터의 자유와∼을 향한 자유), 그리고 소명의 두 양상(구원 질서에로의 부르심과 창조질서에로의 부르심)에 대한 루터의 사상들을 부각한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믿음과 사랑, 자유의 두 양상, 그리고 소명의 두 양상을 각각 연결하면서, 그 각각의 신학적 주제들의 핵심에 놓여 있는 것이 예수 그리스도임을 강조함으로써, “예수 그리스도는 세상왕국과 무관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루터의 답변을 제시한다. 그것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2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루터10년 프로젝트가 2008년부터 독일에서 진행 중에 있다. ‘종교개혁과 관용’은 루터10년 프로젝트 중 2013년 연중 주제이다. 이 글은 루터10년 프로젝트 중 2013년의 연중테마인 ‘종교개혁과 관용’을 루터에게만 제한했다. 루터의 불관용적 태도는 교황, 이슬람, 농민 그리고 유대인에 대한 입장에서 볼 수 있으나, 여기서는 농민, 이슬람 그리고 유대교에 대한 루터의 입장만을 다룰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관용이라는 현시대적 요청 앞에서 불관용적 태도를 지적한 루터비판에 무조건 동조 내지는 무조건적인 변호에 있는 것이 아니다. 현대적 의미에서의 관용은 근대의 산물이며, 종교개혁 시대에는 아직 발아하지 못했다. 루터의 행동은 신학적 행동이었으며, 루터의 입장 역시 신학적 입장이었음을 드러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는 루터의 입장을 그의 저서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농민전쟁, 이슬람 그리고 유대인에 대한 믿음과 사랑이 상호 긴장을 이루지만, 믿음을 중시한 나머지 자신의 신학적 판단을 따라가는 확고부동한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2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루터의 여성관을 살펴보기 위해서 우선 그의 글에서 발견되는 여성혐오증에 대한 거부에 주목한다. 그리고 여성혐오증의 근저에 깔려있는 철학적이고 신학적인 영-육 이원론과 남-녀 이원론의 사고를 고찰한다. 루터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 의해서 의롭게 된다는 신학적 토대 위에, 영-육 이원론과 남-녀 이원론의 논법이 아닌 믿음과 사랑의 논법을 사용한다. 그는 우선 믿음을 척도 삼아 “영”/영적인 것과 “육”/육적인 것을 구분함으로써 남성은 영에 여성은 육에, 그럼으로써 남성은 영적인 것에, 여성은 육적인 것에 연계하는 구분법을 거부하고, 여남을 막론하고 모두 영적인 존재가 되고 영적인 삶을 살거나 혹은 육적인 존재가 되고 육적인 삶을 살거나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믿음의 열매인 사랑의 삶을 사는 것 자체가 고행이요 금욕생활로서, 이것이 바로 “육”을 죽이고 “영”을 살리는 삶이라고 강조한다. 이러한 믿음과 사랑의 논법에 근거하여 루터는 여성들 안에서도 수녀원 생활과 결혼/가정생활 그리고 수녀와 아내/엄마의 신분에 고착되어 있던 영적 신분과 세속 신분이라는 또 다른 이원론적 사고방식을 용납하지 않는다. 루터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전자와 후자의 관계를 뒤바꾸어 놓는다. 믿음과 사랑의 논법에 의하면 아내/엄마의 신분은 세속 영역에 속한 가정 안에서의 신분이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말씀에 믿음으로 자신을 온전히 맡기고, 사랑의 실천을 마다하지 않는 아내/엄마는 어느 누구보다도 영적 신분의 사람들이다. 무엇보다도 루터의 눈에 아내라는 여성은 하나님이 각 남편에게 특별히 허락해 주신 배필이요, 가장 가까운 이웃으로서 사랑의 법에 따라 섬겨야 할 존재다. 그리고 엄마라는 여성은 루터가 인간 제도들 중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정의 여주인일 뿐만 아니라, 소명의 차원에서 자녀들의 사도, 감독, 그리고 제사장이다.
        25.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원의 확신은 가톨릭 신학과 루터 신학을 분리시키는 중요한 차이점에 속하는 조항이다. 구원의 확신이라는 주제를 이해하기 위해, 그리고 교파 간 신학적인 논쟁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자하는 에큐메니칼 운동의 바른 방향 설정을 위해, 1518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이루어진 루터와 추기경 카예탄의 논쟁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아우크스부르크 심문에서 중요한 두 번째 토론 주제는 구원의 확신이었다. 여기서 루터가 주장한 견해에 따르면, 인간이 구원에 필수불가결한 조건은 인간 자신이 의롭게 된다는 확고한 확신을 갖고 믿으며 은혜를 받게 될 것을 전혀 의심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대해 카예탄은 그러한 신학은 새로운 교회를 세우는 것과 같다고 비판하였다. 루터에 따르면, 하나님의 뜻과 말씀(약속)에 대한 확고한 신뢰로서의 믿음은 개인적인 구원의 확신을 포함한다. 왜냐하면 하나님만이 구원의 근거이시기 때문이다. 가톨릭 신학에 따르면, 인간이 자신의 구원을 협력하여 이루고자 한다면, 개인적 구원의 확신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루터와 카예탄 사이의 구원확신에 관한 차이는 두 신학자의 구원개념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다. 또한 예큐메니칼 운동에서 중요한 것은 구원의 확신에 관한 논쟁에서 기본적인 오해들을 제거하는 것이며 새로운 토론을 위한 길을 모색하고 여는 일이다.
        26.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dealt with Luther's theological criticism as seen in his 95 Theses in opposition to the indulgences. The cause for the 95 theses was due to the sermon by Tetzel based on archbishop Albrecht's Instructio summaria, acknowledge the bishop's responsibility toward the saints, and demanded the cancelling of the indulgences. Luther received no answer concerning the 95 theses which he privately sent in a letter, consequently he advertised the 95 theses desiring a public debate. In its entirety, the 95 theses include four theological criticisms. First, what is true repentance. Second, to what extent is the authority of the Pope? Third, do the indulgences have the validity of salvation in them? Fourth, do the indulgences even have an influence over purgatory? In the 95 theses, Luther first dealt with the issue of true repentance. True evangelical repentance is not temporary nor expedient but must be emphasized as covering the entire lifetime of a believer. The Pope can only forgive the punishment imposed by the church, and cannot forgive the punishment related to purgatory. Indulgences cannot mediate salvation, nor have any influence on purgatory. Although the 95 theses in its opposition to the indulgences and its interpretation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Protestant Reformation, Luther's Reformation theology has not been specified at this time, therefore the focus of the study has been on Luther's thoughts and church system through the 95 theses.
        27.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inquire into the doctrine of papal primacy in Gregorius VII and Martin Luther, focusing on their biblical interpretations of Matthew 16:18-19 and John 21:15-17. Gregorius VII refers to these passages as the scriptural evidence for Petrine primacy and monopolistic privileges. Furthermore, unambiguously revealing an invincible conviction of himself as the vicar of Christ and Peter's successor, Gregorius VII materializes an unprecedented form of papal primacy, not only in theory but also in practice. He plays his role as the head in the secular realm as well as in the spiritual one. He demands the kind of obedience that should be shown to Christ or St. Peter, the Prince of the Apostles, from both religious and secular leaders. Luther advances divergent interpretation of these passages.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his interpretations is that they are Christological, or more precisely, Christocentric. This reveals that the essence of Luther's Reformation thought, that is, his theological stance on Jesus Christ and faith in him, is functioning as the interpretive key to these passages. The “rock” is defined as Jesus Christ or faith in him. He builds a Christian community comprised of those who believe in him. So Christ is the sole head of this spiritual community of believers, who properly wield the power of the two keys to bind and loose sins. Luther argues that, when Jesus asked Peter to tend his sheep, his command is irrelevant to papal primacy in both spiritual and secular realm. Luther pays heed to the question “Do you love me?,” which Jesus Christ asked Peter three times. Based on this question, Luther contends that no one can tend Christ’s sheep without loving him genuinely in the first place. Tending Christ’s sheep means following his steps and offering voluntary service to others.
        28.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ie Leipziger Disputation von 1519 stellt einen Höhepunkt in der frühen Reformationsgeschichte dar. Die Bedeutung der Leipziger Disputation liegt in der heftigen Auseinandersetzung über der kirchlichen Autorität, vor allem den päpstlichen Primat. Diese Arbeit zielt darauf ab, die Leipziger Disputation aus Sicht der Autoritätenfrage zu verstehen und deren reformatorische Bedeutung herauszufinden In der frühen Phase der Reformation ging es um den Autoritätenkonflikt. Zwar begann Luthers Konflikt mit der römischen Kirche, wie 95 Thesen gegen den Ablass von 1517, mit der Ablasskritik, aber dabei ging es wesentlich um die Autoritätenfrage. Das Zentrum der causa Lutheri, die sowohl bei Prierias als auch vor Kardinal Cajetan behandelt worden war, lag in der gültigen Autoritätenfrage. Luther erregte Debatten mit J. Eck über die Autorität von Papst und Konzil und bestreitete diese. Hierbei behauptete Luther, dass der Papst bzw. der Konzil irren könne und kein göttliches Recht behalte. Für Luther ist etwas heilsnotwendiges für die Christen keine kirchliche Instanz wie Papst, sondern nur die Heilige Schrift. Luther hat mit der Autorität der kirchlichen Institutionen auch ihre Lehren und Satzungen sowie kirchliche Traditionen relativiert. In der Leipziger Disputation ging es Luther um die Unterscheidung zwischen Gotteswort und Menschenwort sowie zwischen göttlichem Recht und menschlichem Recht.
        2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e of the ultimate purposes of ecumenical dialogue is to share, beyond mere understanding and reconciliation, special gifts of traditions and spiritual experiences. This paper aims to explore Luther’s doctrine of justification in the ecumenical dialogue, especially investigating “Joint Declarat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which is ecumenical document between Lutherans and Roman Catholics. This document says that Lutherans and Roman Catholics has reached a fundamental consensus on the gospel, though they still admitted that even after several years of dialogue they still had difference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it will advance Luther research by bringing to light an important ecumenical interpretation and emphasis of Luther’s theology of Justification. It will also contribute to contemporary ecumenical efforts by focusing attention on the dialectic methodology of faith and love in Luther’s theology. In regard to understanding of Luther’s doctrine of Justification in the ecumenical context, this paper suggests two points, which hopes to produce effective results. First, Luther’s teaching should be interpreted in spiritual dimension, that is to say, in terms of mystical union with Christ. Second, it should be understand essential basis of faith for social ethics of Christians. Ultimately, the paper asserts that Luther’s theology of Justification provides underlying principles for Christian ethics today, and that for Luther, faith and love are integrated in his theology.
        3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an identity of Luther’s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and to try theological evaluation about Luther’s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According to this article, Luther’s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has three dimension. First, Luther’s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is the Doctrine of two kingdoms of Augustinian tradition. Luther was an Augustinian Monk. His early writings show him as an independent representative of the late medieval Augustinian renaissance. Speaking of the two Kingdoms in his early and lately writings, he takes up the two kingdoms of Augustinian tradition demonstrated by the struggle of the city of God against the city of the Devil, a conflict which rules world history until the end. Therefore, Luther’s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is the Doctrine of two kingdoms handed down by Augustinian tradition. Second, Luther’s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is the Doctrine of two Regiments. According to Luther, God has instituted two different regiments for the delimitation and dissolution of the devil’s power: the Spiritual regiment and the worldly regiment. In the worldly regiment law, good works, reason, the punishing sword, and rewards for good deeds are valid. In the spiritual regiment of christ only grace, justification, and faith are valid. In the spiritual regiment God provides eternal salvation. In the worldly regiment human beings must care for the temporal welfare. In the worldly regiment the Sword rules, In the spiritual regiment the Word rules. Therefore, In Luther’s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two Regiments was originated from God and the means of rules of God. Third, Luther’s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is the Dual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Within the larger distinction between the regnum Dei and regnum diaboli which rules the whole of world history, Luther’s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also makes a second distinction between the saving kingdoms and the preserving kingdom of the world. Within this second distinction both kingdoms, the “kingdom of the world” and the “kingdom of christ,” are directed against the “kingdom of the devil,” but in different way. Therefore, according to Moltmann, Luther’s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is the Dual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which integrated between the two kingdoms of Augustinian and the Doctrine of two Regiments. Meanwhile, According to this article, Luther’s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can received two theological evaluation. At first, As a negative criticism, the consequences of this misuse of Luther’s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theory came to expression in Gemany during the Hitler period. The doctrine provided no basis for religious and political resistance of National Socialism. Secondly, As a positive criticism, Luther’s Doctrine of the two kingdoms shows as a model of Reformation tradition to Reform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31.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nalyzes the the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penitence and God's love in Luther's letter to Johannes von Staupitz (Reverendo et Vere Patri Suo Iohanni Stupitio, S. T. professori, Augustinianae familiae Vicario. F. Martinus Luther discipulus saltutem et seipsum, 1518). Luther was terrified by the word, "poenitentia," but Staupitz taught that true penitence does not come from human efforts but from God's love. The paper presents 10 theses about the contents of the letter. First, penitence begins with God's love. Second, the entire Bible teaches penitence from God's love. Third, penitence is "transformation of mind (transformatio mentis)." Fourth, the transformation of mind is testified by the whole Bible. Fifth, the medieval church made serious mistake both in defining and in translating "poenitentia." Sixth, the sales of the Indulgences degrade the true character of penitence. Seventh, Luther never attacked the papal authority in 1518. Eighth, Luther believes that he is a person like coarse weeds (corchorus), but God can use him as an effective servant. Ninth, Luther hoped that God control the mouth of the Pope. Tenth, Luther proclaims that he will praise God no matter what consequences emerge. In 1518, Luther was fatigued by threats and persecutions from his theological enemies, but he quietly awaits Pope's reply and God's providence. The paper demonstrates that Staupitz plays the critical role in Luther's discovery of the new meaning of penitence.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