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2

        4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hiitake culture in sawdust is a widely applied method, which can supplement the disadvantages of costly and time consuming oak log cultivation. In sawdust cultivation, browning of surface mycelia is an important stage for the productivity and longevity of sawdust media. Surface browning forms protection coat for the substrate, which can block the invasion of outer pathogens and suppress water evaporation in the substrate. We controlled different light source (red LED, white LED, blue LED, and fluorescent light) with different intensity of illumination (1.5, 10.5, 20.5 μmol/m2s for LEDs and 10, 100, 300 lux for fluorescent light) to induce browning. Lights were treated with 1 hour on/ 1 hour off cycle maintained in a controlled room with 20oC temperature, 60% humidity, and 1200 ppm CO2 atmosphere concentration for 67 days. Browning effect differed from the source and intensity of illumination. Browning was most effective in 1.5 μmol/m2s for blue LED. All light sources showed less browning in highest intensity of illumination, which indicates that higher than 20.5 μmol/m2s for LEDs or 300 lux for fluorescent light are not effective. After harvesting fruit bodies, we measured their weight, length and width of pileus and stipe, chromaticity, and hardness. Treatment with 1.5 μmol/m2s blue LED produced the best harvest with highest average individual weight (21.2g), stipe length (30.8 mm), and hardness (377.9 g) with fine length and width of pileus, and chromaticity. This results indicate that 1.5 μmol/m2s blue LED showed the best browning effect which resulted in the best harvest yeild.
        4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centuries, Lentinula edodes called “Pyogo” in Korea has been cultivated as a high-grade edible mushroom in Asia. This is known as medicinal mushroom for cold prevention in oriental medicine. In the world market, this mushroom of Lentinula edodes is introduced as representative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 in Asia. As consumer interest increases, Asian Lentinula edodes market is also growing. There is a record that Korea has already been used as a gourmet food on the royal meal table for the king in the 15th century Joseon Dynasty. In Korea's famous oriental book, it is cooked with many traditional foods because of the pharmaceutical efficacy of this mushroom. For long time ago, difference in cultivation as well as in mushroom growth of Lentinula edodes has studied in Korea. Recent advances in cultivation of selected high quality mushroom studied from substrate optimization using log and sawdust of oak tree.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strain research controlled the production of large quantity of various substrate conditions. This mushroom mycelia and fruit-body were cultivated in log of oak tree and sawdust substrate cultivation in types of bioreactors. According to compared cultivation method, it presented the optimistic condition for the amount production of various Lentinula edodes strain in Korea.
        43.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hiitake culture in sawdust is a widely applied method, which can supplement the disadvantages of costly and time consuming oak log cultivation. In sawdust cultivation, browning of surface mycelia is an important stage for the productivity and longevity of sawdust media. Surface browning forms protection coat for the substrate, which can block the invasion of outer pathogens and suppress water evaporation in the substrate. We controlled different light source (red LED, white LED, blue LED, and fluorescent light) with different intensity of illumination (1.5, 10.5, 20.5 μmol/m2s for LEDs and 10, 100, 300 lux for fluorescent light) to induce browning. Lights were treated with 1 hour on/ 1 hour off cycle maintained in a controlled room with 20℃ temperature, 60% humidity, and 1200 ppm CO2 atmosphere concentration for 60 days. Browning effect differed from the source and intensity of illumination. Browning was most effective in 1.5 μmol/m2s for red and blue LED. All light sources showed less browning in highest intensity of illumination, which indicates that higher than 20.5 μmol/m2s for LEDs or 300 lux for fluorescent light are not effective. After harvesting fruit bodies, we measured their weight, length and width of pileus and stipe, chromaticity, and hardness. Treatment with 1.5 μmol/m2s blue LED produced the best harvest with highest average individual weight (21.2g), stipe length (30.8 mm), and hardness (377.9 g) with fine length and width of pileus, and chromaticity. This results indicate that 1.5 μmol/m2s blue LED showed the best browning effect which resulted in the best harvest yield.
        44.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tuna sawdust was added to extruded meat analog in order to develop meat analog with high quality. Addtion of tuna sawdust has merit for utilizing a byproduct from poultry processin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rough the extrusion cooking process. The basic mixture of sample mixed with 65% deffated soy flour 25% isolated soy protein, and 10% corn starch was set-up as the raw material. Three kinds of samples were made in total by addition of 15% and 30% tuna sawdust to this mixture. The extrusion process had a screw speed of 250 rpm, die temperature of 140°C and moisture content of 50%. As addtion of tuna sawdust increased, breaking strength and density decreased, specific length increased, and integrity and water holding capacity decreased. Likewise, nitrogen solubility index and protein digestibility decreased as addition of tuna sawdust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as addtion of tuna sawdust addtion, it decreased as storage period increased to 30 or 60 days. The value of rancidity decreased as addtion of tuna sawdust increased. However, 60 days lat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more or les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150 days later. In conclusion, addition of tuna sawdust increased soft texture, and nutrition of the basic mixture sample. The process promoting functionality such as improvement of antioxidant function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4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utton mushroom(Agaricus bisporus) are cultivated on wheat straw or rice straw based compost. In this study different compost formular, sawdust as carbon source and chicken manure as nitrogen source were used for button mushroom cultivation. Two steps of sufficient composting process was required to be successful in the cultivation. 1) the substrates are needed to be mixed periodically under the aerobic condition in the phase I process. 2) the temperature is need to be maintained between 55 and 65? for more than three days in the phase II process. Results showed that button mushroom was possible to grow normally with sawdust based compost. However the mushroom yield was less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compost formular(rice straw or wheat straw). The new compost formular developed from this study may be useful but further research may need to improve button mushroom cultivation more efficiently.
        4,000원
        46.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minimize cultivation costs, prevent insect-pest infestation, and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rmophilic mushrooms, plant substrates obtainedfrom local areas in Cambodia were used for production of both spawn and mushrooms. In this experiment, different sawdusts different organic wastes and grain ingredients and analyzed for improvement of spawnproduction efficiency. Four thermophilic mushroom species, Pleurotus sajor-caju (oyster mushroom, Sambok), Ganoderma lucidum (deer horn shaped), Auricularia auricula (ear mushroom), and Lentinula edodes (shiitake), were used to identify efficient new substrates for spawn and mushroom production. Although the mycelia in the rubber tree sawdust medium showed a slightly slower growth rate (10.9 cm/15 days) than mycelia grown in grains (11.2 cm/15 days in rice seeds), rubber tree sawdust appeared to be an adequate replacement for grain spawn substrates. Th findings indicate that rubber tree sawdust, sugarcane bagasse, and acaciatree sawdust supplemented with rice bran and calcium carbonate could be new alternative the substrates for . Although sugarcane bagasse and rubber tree sawdust showed similarly high biological efficiencies (BE) of 60% and 60.8%, respectively, acacia tree sawdust exhibited relatively a low biological efficiency of 22.4%. However, it is expected that acacia sawdust has potential for the mushroom cultivation when supplemented with currently used sawdust substrates in Cambodia, because of its relatively low price. The price of the sawdust (20 kg sawdust= 6500 Riel or 1.6 USD) currently used was 6.5 times higher than the price of acacia sawdust (201000 Riel or 0.25 )USD). Therefore, utilization for acacia sawdust for mushroom cultivation could become feasible as it would reduce by producing costs of mushrooms in rural areas of Cambodia.
        4,000원
        4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내에서 육성된 117개 교배균주를 시험 재배하여 자실 체의 특성 및 생산성을 검정하고 결과가 우수한 07-55,07-66, 07-84, 07-93, 07-117균주를 선발하고 이들의 모균 주들과 확대 재배하여 모균주와의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각 균주의 생산성은 07-66균주가 36.1%의 회수율을 보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07-117균주는 35.6%, 07-93균주는 27.1%, 08-84균주는 25.7%로 조사되었고 07-55균주는 가장 생산성이 낮은 6.5%로 조사되었다. 07-93 균주와 07-66균주는 생산성이 높으나 대가 긴 특성을 보였고 07- 117균주는 전체적인 자실체 품질이 다른 균주들보다 낮았 다. 또한 모균주와 교배균주간에 재배를 통한 온도형 분 석 결과 07-117균주는 고온형, 07-66 및 07-84균주는 중 온형, 07-55 및 07-93균주는 저온형으로 구분되었으며 07-93균주는 비교적 버섯발생온도범위가 넓은 가능한 균 주이나 품질이 저조하였다.
        4,000원
        4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general, the larvae of Protaetia brevitarsis is raised on fermented oakwood sawdust. Many attempts have been to changes components sawdust, such as using other tree instead of oakwood or adding another material. Like this some study exists, about 'component' of sawdust, however little is known of relation between larval growth and quality of sawdust. The phenomenon-big particle size sawdust flows up on excrement from the larvae-is occurring in used sawdust for raising the larva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larvae and adult of Protaetia brevitarsis act according to each sawdust particle size. We conducted choice experiments with Protaetia brevitarsis, which were offered sawdust differing in particle size. Females preferred to lay their eggs on the fine particle sawdust. Also in the case of larvae, the more fine sawdust particle has the more high level of preference, and so is hatchability. Especially larvae tend to be slanted toward finer sawdust. Growth rate of the larvae was shown the highest level in the finest sawdust just as others do. These results show that fine sawdust particle size is advantage for larval development and oviposition.
        49.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potential of thermal treated oak sawdust(steaming and steam explosion) as horticultural medium component in plug seedlings production of Chinese cabbage(Brassica campestris L.). This study involves the chemical, physical characterization and growth test of thermal treated oak sawdust(steaming and steam explosion) in order to evaluate their use as components of horticultural media. A commercial peat moss and oak sawdust were used as control. The total carbohydrate, C/N ratio, pH, phenolic compound, total porosity and water holding capacity were 45.1g/100g dry wt, 425.1, 4.4, 141.8mg/g wt, 82.5%, 47.1% in oak sawdust and 39.2g/100g dry wt, 300.3, 4.7, 131.7mg/g wt, 84.9% and 49.2% in steamed oak sawdust and 30.3g/100g dry wt, 247.8, 5.7, 40.8mg/g wt, 92.3% and 51.7% in steam exploded oak sawdust, respectively. The mixtures of the horticultural media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substrate as peat moss, oak sawdust, steamed oak sawdust, steam exploded oak sawdust and perlite to grow Chinese cabbage in a greenhouse. The seed germination, stem height and leaf area were 68%, 2.2cm, 1.1cm2 in OSP(containing 90% oak sawdust and 10% perlite) and 69%, 2.5cm, 1.5cm2 in SMP(containing 90% steamed oak sawdust and 10% perlite) and 87%, 3.0cm, 2.2cm2 in SEP(containing 90% steam exploded oak sawdust and 10% perlite), respectively. The leaf area SEP(containing 90% steam exploded oak sawdust and 10% perlite) was higher than that of PP(containing 90% peat moss and 10% perlite).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steam exploded oak sawdust may be utilized as a suitable replacement for peat moss in horticultural media component for Chinese cabbage.
        4,200원
        50.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Lentinula edodes)는 우리나라의 주요 임산버섯으로 최근 표고 톱밥재배가 정착됨에 따라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나 국내 환경에 적합하고 재배시기를 다변화 할 수 있는 균주의 육성이 시급하다. 따라서 9개의 균주를 시험재배하여 생산성이 높고 자실체 특성이 우수한 4개 균주(SANJO701HO, FMRI2534, FMRI2337, FMRI2613)를 모균주로 선발하였고 균주당 각각 20개씩 총 80개의 단핵균주를 분리하여 117개의 교배균주를 육성하였다. 그중 산조701호와 FMRI2337의 교배조합이 다른 조합의 교배균주들보다 평균생장속도가 10% 가량 낮았으며 이들 교배균주의 배양 및 생리적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수한 톱밥재배용 품종개발의 기반조성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차후 교배균주에 대한 생산성 검정의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51.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검은비늘버섯 병재배용 다수성 톱밥 배지 조성을 구명하고자 5종의 혼합배지 조성에 대하여 재배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재배기간은 참나무톱밥에 비트펄프, 면실박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일수는 다소 길고, 초발이 소요일수는 짧고 생육일수는 긴 경향을 보여, 포플러톱밥+쌀겨(8:2) 처리에 비해 3-5일 길었다. 유효경수와 병당 수량이 높은 참나무톱밥+비트펄프+면실박(5:3:2)와 참나무톱밥+비트펄프+면실박+콘코브(3:2:2:3) 처리에서 참나무톱밥+쌀겨(8:2, 대조구)에 각각 33%, 12% 증수되었다. 전체 재배기간과 수량을 고려할 때 검은비늘버섯 병재배용 다수성 배지로 참나무톱밥+비트펄프+면실박(5:3:2)이 가장 적합하였다.
        4,000원
        5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 톱밥배지 재배시 녹색LED 광량에 따른 생육특성 분석 결과 5 umol ·m -2 · s -1에서 3주기 기준 배지당 자실체 의 수량은 239 g으로 형광등 202 g 대비 18%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자실체 폴리페놀 함량은 형광등 107 ppm에 대 비 78.4 ppm으로 27% 정도 낮았지만 에르고스테롤 함량 은 형광등 145 ppm 대비 307 ppm으로 2.1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력소모량은 형광등 대비 15.9%의 에너지 절감 율을 보였으며, 전등의 에너지 효율이 77.5%로 가장 컸다.
        4,000원
        53.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previous studies, we selected green LED(light emitting diodes) for suitable wavelength of light by higher commercial yields and lower ratio of abnormal fruit body in Lentinula edodes. In this study, we aim to select efficient irradiation intensity of green LED. Stronger irradiation intensity of green LED resulted in more polyphenol contents of fruit body. In four level of irradiation intensity, 5, 10, 15, 20umol/m2/sec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commercial yields and characteristics of fruit body. In addition, Lower irradiation intensity resulted in smaller amount of electircity used. In conclusion, we selected 5umol/m2/sec for suitable irradiation intensity in Lentinula edodes with sawdust substrate cultivation.
        5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자생하는 옻나무톱밥의 적정 첨가량을 구명하여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옻나무톱밥이 10% 첨가된 배지에서 균사생장량이 가장 빨랐고, 옻나무톱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사생장 속도는 조금 빨랐다. 자실체 수량은 옻나무 톱밥 20% 첨가시 150.2 g/850 mL으로 대조구 보다는 조금 낮았다. 갓의 직경과 대의 두께는 옻나무 톱밥에 10% 첨가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의 길이는 옻나무 톱밥 20% 첨가에서 가장 길었다. 대와 갓의 경도는 옻나무 톱밥 10% 첨가에서 가장 높았으며, 옻나무 톱밥 첨가 배지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기 자실체의 갓과 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대의 L값은 옻나무 톱밥 10% 첨가에서 가장 높았고, 갓의 L값은 옻나무 톱밥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3,000원
        5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 재배에 이용되는 참나무 톱밥의 발효과정에서 물리화학적 특성변화를 알기 위하여 참나무 톱밥 33 ton을 적재하고, 46일 동안 기간별로 깊이별로 변화를 조사하였다. 톱밥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발효기간과 적재 깊이에 따라 변화정도가 달랐다. 대부분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발효 동안 점진적으로 변화하였지만, 온도는 기간과 깊이에 따라 다르게 변하였다. 톱밥의 온도는 표면 20 cm 깊이는 환경에 따라 민감하게 변하는데 비하여, 40~100 cm 깊이에서는 점진적으로 변하여 적재 12일 만에 3˚C에서 최고온도 58.9˚C에 도달하였고, 150 cm 깊이에서는 24일 만에 최고온도에 도달하였다. 수분함량은 발효 24일 만에 초기 31%에서 26.5~28.0%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발효기간 중 톱밥의 화학성을 보면, pH는 대체로 5.2에서 5.6으로 점진적으로 상승하였으나, 150 cm 깊이에서만은 16일만에 4.4~4.7로 낮아졌다. 톱밥의 탄소함량은 68~70%로 변화가 적은데 비하여, 질소함량은 0.22%에서 0.25%로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C/N비는 320에서 280으로 낮아졌다. 톱밥의 P함량은 0.005%에서 46일째 0.022%로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톱밥의 열수추출액 삼투압 농도는 41.5~44.2 mmol/kg로 적재 깊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초기 톱밥의 방사유세포에는 전분 입자가 존재하고 도관에는 균사가 없었으나, 발효 35일 후에는 세포 내 전분입자는 소수 남았고, 톱밥입자의 표면과 목질부 도관 내에는 균사가 생장하였다. 톱밥발효가 표고재배에 미치는 영향은 차후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5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해 알바시아나무톱밥과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포플러톱밥, 미송톱밥이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톱밥재료별로혼합하여 배지의 이화학성 및 수량성을 검토한 결과 재료별 일반성분 중 C/N은 미송톱밥에서 504로 가장 높았고,T-N은 알바시아나무톱밥에서 4.03%로 가장 높았다. 페놀계화합물의 경우 알바시아나무톱바에서 21.65%로 가장높았다. 혼합배지에 따른 이화학성 중 pH는 처리구별 모두 5.1~5.2로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고, C/N범위는 처리구 모두 이와 대등한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 T2가 20으로 가장 작았다. 혼합배지별 경시적 균사생장량을 조사한결과 T1, T3 및 T4는 모두 대등한 경향이었으나 T2의 경우 배양일수가 25일로 가장 늦었다. 혼합배지별 생육특성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유효경수는 T2를 제외한모든 처리구에서 대등하였고, T2에서 가장 작았다. 알바시아나무톱밥을 기존의 미루나무톱밥이나 미송톱밥을 전량 대체할 수는 없었으나 기존 톱밥의 50%정도를 대체할경우 수량과 회수율에서 모두 대등한 결과를 보였다
        3,000원
        5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 톱밥재배시 LED광파장에 따른 생육특성을 분석한 결과, 파장이 긴 적색광과 황색광에서 대길이가 길어지고 갓색이 연해지며, 파장이 짧은 청색광과녹색광에서는 대길이가 짧아지고 갓색이 진해지는현상을 보였다. 자실체 항산화활성은 광파장에 따른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2주기까지 배지당 자실체 수량은 녹색에서 159g으로 형광등 121g 대비31% 증수효과가 있었다.
        3,000원
        5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자생하는 가래나무 톱밥의 적정 첨가량을구명하여 기능성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가래나무 톱밥의 수분함량은 4.4%였고, pH는 4.5였다. 총 질소함량은 0.21%였고, 총 탄소함량은 46.0%였으며, C/N율은 219였다. 혼합배지의 pH는 접종전 5.0에서 수확 후 5.6~5.8로 약간 높았으며, 총 질소함량은 수확후배지에서 증가하였지만, 총 탄소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C/N율은 수확후배지에서 오히려 감소하였다.무기성분인 CaO, MgO, Na₂O 함량은 접종전보다 수확후배지에서 높았고, K₂O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였으나, P₂O5함량은 변화가 없었다. 균사생육은 가래나무 톱밥이 20% 첨가된 배지에서 빠르고, 첨가량이증가할수록 균사생육은 느렸다. 자실체 수량은 가래나무 톱밥 10% 첨가시 163g/850mL으로 가장 높았다. 갓의 직경과 두께는 가래나무 톱밥 10% 첨가시가장 높았으며, 갓의 두께와 대의 굵기는 가래나무톱밥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대의 경도는가래나무 톱밥 20% 첨가시 가장 높았다. 수확기 자실체의 갓과 대의 L값은 가래나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지만,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의 P₂O5, K₂O의 함량은 가래나무톱밥 첨가에서 증가하였지만, CaO, MgO, Na₂O 함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의 Cu의 함량은 가래나무 톱밥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지만,Fe, Mn, Zn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4,000원
        5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새버섯 적정 배지량 구명시험에서 배지량별 균사배양 소요일수는 1kg 30일, 2kg 39일, 2.5kg 42일 및 3kg 45일로서 배지량이 많을수록 배양일수가 늘어났고, 수확 소요일수 또한 93일에서 104일로 늘어났다. 수량에서는 1kg 봉지에서는 103.3g, 2kg 봉지 227.2g, 2.5kg 봉지 245.5g, 그리고 3kg 봉지 312.0g으로 배지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이 증가하였다. 잎새버섯 발효톱밥 첨가효과 구명시험에서 균사배양 소요일수는 발효톱밥을 첨가한 처리에서 4~7일 정도 빨랐고, 수량은 발효 참나무톱밥을 첨가한 처리에서 함박 1kg 봉지당 145.2g, 잎새1호 121.2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활엽수 톱밥 첨가율에 따른 시험관칼럼배지를 이용한 균사생장속도조사에서는 발효활엽수 톱밥을 60%까지 증가시켰을 경우 생장속도가 점점 빨라졌으며, 80% 첨가에서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4,000원
        6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수목자원의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알려지면서 이들 수목자원을 이용한 기능성 배지 자원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들 수목자원이 가지고 있는 기능성 성분이 담자균류인 버섯에 의해 분해 또는 다른 유도체화합물로 전환되는 연구에 관심이 고조 되고 있다. 산겨릅나무는 한방에서 잎과 목부를 간염, 간경화, 간암등의 간질환치료제 및 백혈병, 당뇨병, 신장염이나 부종의 치료에 사용하며 또한 음주시 산겨릅나무의 목부 추출물을 복용하면 주독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산겨릅나무의 주요 성분으로는 salidroside(Sal)로 amyloid-β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보호작용, 지질과산화 억제, 골수세포 cycle 및 탄수화물 대사에 미치는 영향등에 대한 다양한 활성작용이 보고되었다. 옻나무는 한방에서는 통경·구충·복통·변비·진해 등에 사용되며, 주요 성분으로 Laccol, Urushiol, Gummy substance, Nitrogen compounds, Laccase등이 보고되었으며, Urshiol은 인체의 가려움을 일으키는 옻나무의 수액성분이기는 하나 강력한 항암작용 및 항산화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산겨릅나무와 옻나무 톱밥배지에서 재배한 느타리버섯의 함유성분이 분해 또는 다른 유도체화합물로 이행되는지를 검토하였다. 산겨릅나무와 옻나무 톱밥배지에서 재배한 느타리버섯과 공시재료인 산겨릅나무와 옻나무를 80%메탄올로 추출하여 조추출물을 조제하여 액체배지에서 생육한 느타리버섯 균사체를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HPLC를 이용하여 공시재료들의 함유성분들의 크로마토그래피 패턴을 비교 분석한 결과, 산겨릅나무와 옻나무 톱밥배지에서 각각 재배한 느타리버섯은 각각의 수목자원 톱밥배지속의 함유성분을 분해 또는 다른 유도체화합물로 이행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