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0

        4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대추에 장님노린재에 의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대추재배 농가들이 적절한 방제를 할 수 있도록 시기별 발생 밀도, 우점종 조사, 방제 가능 약제 선발 등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장님노린재의 발생 밀도를 2년에 걸쳐 조사한 결과, 약충은 5월 상순부터 발생 하여 7월 중순까지 발생 하였으며, 성충은 5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7월 중하순까지 발생하였다. 또한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의 밀도의 경우 45개체 중 40개체가(약 89%)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조사되어 대추나무를 가해하는 장님노린재 중 우점종은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에 활용할 수 있는 살충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9 종 살충제들을 대상으로 한 야외시험에서 pyrifluquinazon, deltamethrin, diazinon, dinotefuran, etofenprox, fenitrothion, bifenthrin 7종 이 80% 이상 살충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조사된 살충제를 이용하여 대추나무 발아 직전부터 방제를 하면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혈청 내 AChE가 acetylthiocholine과 반응하여 GNP에 aggregation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신선채소 농산물 중에 저농도 농약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의 최적화를 위해 GNP 입자의 크기에 따른 응집정도 를 확인하여 15~20 nm 직경의 GNP를 선정하였고, 혈청의 희석배수와 acetylthiocholine의 농도를 확인하여 GNP 응집 차이가 가장 큰 혈청 1000배 희석과 acetylthiocholine 1 mM을 최적화 조건으로 선정하였다.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의 평가를 위해 최적화된 비색농약분석법을 이용하여 유기인계 농약은 dimethyl amine으로 카바메이트계 농약은 carbofuran으로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모두 7.5 ng/mL 까지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과 비교했을 때 높은 민감도와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농약 이외에 화학물질인 곰팡이독소 등에 대한 반응성은 확인되지 않아 높은 특이성을 나타내었 다. 또한 상추, 깻잎, 양상추에 대한 시료 전처리법을 확 립하고 임의로 오염시킨 3종(상추, 깻잎, 양상추)의 농산물에 대해서 회수율을 확인한 결과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농약을 83.85~133.16% 정도의 회수율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비색-신속 농약 검 출법을 이용한다면 시판 농산물의 잔류농약을 신속하고 민감도 높게 검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시료 중 GC-NPD/MS 분석법을 이용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이 유사한 유기인계 살충제 chlorpyrifosmethyl, mecarbam, parathion-methyl, phenthoate, prothiofos, tebupirimfos, 유기인계 살균제 iprobenfos 및 유기인계 제초제 anilofos를 포함하는 8종의 유기인계 농약에 대해 동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농산물 시료에 acetone을 가하여 추출된 대상 농약 8종의 잔류분은 n-hexane 분배법과 florisil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분석대상 시료로 하였다. DB-17 capillary column을 이용한 GC-NPD 분석 시 불순물의 간섭은 없었으며, 감귤, 고추, 배추, 현미 및 콩을 포함한 5종의 대표 농산물 중 대상농약 8종 각각의 정량한계(LOQ)는 tebupirimfos, chlorpyrifos-methyl 및 parathion-methyl은 0.004 mg/kg, 그 외 iprobenfos, mecarbam, prothiofos, phenthoate 및 anilofos는 0.008 mg/kg이었다. 5종의 대표 농산물에 대한 대상농약 전체의 회수율은 80.5~105.0%를 나타내었으며, 농산물 시료 및 처리수준에 관계없이 10% 미만의 분석오차를 나타내어 잔류분석기준 이내를 만족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유기인계 농약 8종(anilofos, chlorpyrifos-methyl, iprobenfos, mecarbam, parathion-methyl, phenthoate, prothiofos 및 tebupirimfos)의 동시 분석법은 검출한계, 회수율 및 분 석오차 면에서 국제적 분석기준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GC/ MS SIM을 이용한 잔류분의 재확인 과정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분석과정의 편이성 및 신뢰성이 확보된 계열별 동시 분석법으로 국내·외 수출입 농산물 잔류농약 검사에 사용 가능할 것이다.
        4,600원
        46.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서식중인 청개구리의 배아를 활용하여 농약류 3종의 독성평가를 위해 FETAX(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기법에 따라 청개구리(Hyla japonica)의 배아를 배양하면서 Benomyl(살균제), Carbofuran(살충제), Thiobencarb(제초제)의 효과를 probit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의 농도에 의존하여 유생의 체장 길이는 감소하고 치사율과 기형율은 증가하였다.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의 teratogenic concentration(EC50)은 각각 1.00, 0.58, 4.75mg/L을 나타내어 Carbofuran이 기형유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embryo lethal concentrations(LC50)은 7.04, 28.71, 16.12mg/L을 나타내어 Benomyl이 가장 낮은 농도에 서 배아를 치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eratogenic index(TI=LC50/EC50)는 Benomyl 7.04, Carbofuran 49.50, Thiobencarb 3.39를 나타내어 TI값이 모두 기형유발물질로 판단하는 기준인 1.5 이상을 나타내어 시험에 사용된 농약류 3종은 최기형성 물질로 판단되며 Carbofuran이 가장 강력한 최기형성물질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의 예방을 위하여 실시하는 예방나무주사는 소나무재선충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제방법이지만 매개충에 대해서는 효과가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는 살선충제와 살충제가 혼합된 약제를 소나무재선 충병 방제를 위해 나무주사를 실시하면 매개충에 대한 구제와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예방효과가 동시에 가능한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bamectin+Sulfoxaflor DC을 비롯한 3개 약종을 각 2,000배로 희석한 후 솔수염하늘소에 2㎕를 경구투여하여 소화중독에 의한 살충효과를 평가하였다. 살충제 경구 투여 후 신경흥분에 의한 경련반응을 조사한 조사한 결과 Emamectin benzoate+Acetamiprid DC의 경우 경련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수치사시간(LT50)도 암컷은 122.18시간, 수컷은 139.55시간으로 나타나 소화중독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합제를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방제와 소나무재선충의 예방효과를 위한 나무주사시에는 Emamectin benzoate+Acetamiprid DC가 매개충에 대한 살충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화에서 줄기괴저바이러스와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진 꽃노랑총채벌레 약충과 성충이 잎, 꽃, 과실의 흡즙을 통해 확산시킨다. 최근 무분별한 농약 사용으로 약제저항성 계통 출현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총채벌레류는 식물바이러스 매개하는 시간이 짧아 상대적으로 효과가 낮은 약제로는 총채벌레 방제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시판되는 국화 총채벌레류 등록 살충제 10종을 꽃노랑총채벌레 발육단계별(약충, 번데기, 성충)로 살포한 결과, 유효성분 피롤계 클로르페나피르, 카바메이트계 벤퓨라카브와 스피노신계 스피네토람이 함유된 약제가 우수한 살충력을 보였다. 총채벌레류 화학적 방제를 위해서는 위 성분이 함유된 살충제를 교호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여진다.
        4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Quarantine Pest Research Facility (QPRF) had been built in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for study on exotic pests at 2018. This facility was constructed to prevent effective containment for preventing accidental escape of insects. We tested a developmental and susceptibility of pesticides (Fluxametamide, FLX and Hydramethylnon, HMT) on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for testing containment level of QPRF. S. exigua showed 22.5 days at 28±1℃ and 26.5 days at 25±1℃ with 60±5% RH for entire life cycle. LC50 of FLX and HMT to 5th instar larvae for 24h revealed as lower than 1ppm and 100ppm, respectively. Also, there is no release of adults in QPRF and confirmed by sex pheromone trap during winter season.
        5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inute pirate bug, Orius minutus (L.), is a native predator of many small insects such as aphid, scale, thrips, and mites in Korea. Seven chemical pesticides with lower ecotoxicity being used to control those pests were evaluated for acute toxicity against adult female O. minutus in glass scintillation vial assay. In the 1st batch experiment with three pesticides, flonicamid and buprofezin were least toxic whereas in the 2nd batch experiment with four pesticides spirotetramat and spiromesifen showed least toxicity. The corrected mortality of buprofezin and flonicamid became 100% on 55 and 47 h of exposure in 1st batch and that of spirotetramat and spiromesifen became 100% on 75 and 71 h of exposure in 2nd batch, respectively. In conclusion, flonicamid, buprofezin, spirotetramat, and spiromesifen was least toxic among the seven pesticides tested against adult female of O. minutus.
        5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erious emergence of chemical-mediated residual toxicity and insect resistance have been enforced the regulation of synthetic pesticides. Future decisions to select more realistic control options probably depend on the spee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chemical and biological pesticides. Now, a strategic collaboration between synthetic pesticides and biopesticides has been progressed, such as distribution and R&D in collaboration and M&A for obtaining microbial resources. Recently registered microbial pesticides are entomopathogenic fungi in pest management. A concept of e-biopesticide could be properly combined with digital agriculture and accelerate the use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in the future farming.
        5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mparative toxicity of different groups of pesticides on Apis mellifera L. were tested in the laboratory. Commercial formulations dissolved in water from the highest dose level marked on the label were serially diluted to 10^(-6) times to carry out oral trials on each pesticide. Fungicide (Metconazole), herbicide (Glyphosate), acaricide (Amitraz) and 3 insecticides (organophosphate Fenitrothion, neonicotinoids of Thiacloprid and Thiamethoxam) were compared. Thiamethoxam and fenitrothion caused higher mortality, and amitraz showed intermediate level of mortality while herbicide and fungicide showed minimal impacts. Among neonicotinoids, Thiamethoxam was highly toxic but thiacloprid showed mortality less than 25% even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LC50 values were estimated as Amitraz 197.70, Fenitrothion 2.20, and Thiamethoxam 0.188 ppm at 24 h after treatment. Fungicide, herbicide and a neonicotinoid thiacloprid were all showed low oral toxicit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old pesticide, organophosphate was highly toxic and two different toxic path way exist for neonicotinoid pesticides.
        5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caricidal activities of 63 commecial pesticides against the longhorned tick, H. logicornis were investigated. Twenty-two pesticides (4 cabamates, 5 organophophates, 9 pyrethroids, 1 octopamine receptor agonists, 1 diamides, and 1 unknown) against adults H. logicornis showed >80% mortalities after 72 h of treatment. The residual effect of 22 pesticides was investigated at 1, 2, 3, 7, and 10 day intervals on grass for H. logicornis adults and nymphs. Eight and twenty pesticides in H. logicornis adults and nymphs showed >80% acaricidal activity at 3 days after the treatment, respectively. 7 days after the treatment, H. logicornis adults showed <60% acaricidal activity in all pesticides, but 7 pesticides (benfuracarb, gamma cyhalothrin, cypermethrin, lammda cyhalothrin, fenvalerate, cyantraniliprole, fluxametamide) showed >80% acaricidal activity in nymphs. all pesticides exhibited <60% acaricidal activity after 10 days of treatment both adults and mymphs, except benfuracarb showed 96.7% mortality in H. logicornis nymph.
        5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수목 병해충을 방제, 예방하기 위해 나무주사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나무주사법은 기상에 상관없이 약제처리가 가능하며, 약제사용량 감소와 천적등 비표적 생물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나무주사법은 산림 해충을 대상으로만 등록, 적용되어 있을 뿐, 과수에 등록된 제품은 없다. 과수에 나무주사법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농약잔류와 약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천중도)에 Acetamiprid 10% SL을 나무주사 후, 잔류성과 약효를 조사하여 실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약제가 나무주사된 나무는 복숭아 벚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runicola)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있으나, 가지별로 불균일한 약효와 잔류성을 보여 향후 수형, 흉고직경 등을 고려한 나무주사제의 처리법 최적화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5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멀티콥터(드론)을 이용한 약제 살포 효과 분석을 위해 배추의 파밤나방을 대상으로 살충제의 조건별 살포 실시 후 약효·약해를 조사하였다. 고정조건은 2M, 5M 고도 조건, 풍속 2m/s 이하이며, 오전 7~8시 경 파밤나방 1~2령을 대상으로 살충제 스피네토람 액상수화제를 기준량인 16배(1,250ml/20L)와 배량 8배(2,500ml/20L) 및 반량 32배(625ml/20L)를 살포한 결과 24시간 후 파밤나방 유충 100%가 사망하였다. 배추 잎에 외관상 나타나는 약해는 없었다.
        56.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sticide application in agriculture provides significant benefits such as protection from disease, prevention of harmful insects, and increased crop yields. However, accurate toxicological tests and risk assessments are necessary because of many related adverse effects associated with pesticide use. In this review, we discuss and analyze residual pesticides contained in livestock feed in Korea. A pesticide residue tolerance standard for livestock feed has not been precisely established; so, risk assessments are required to ensure safety. Standards and approaches for animal criteria and appropriate methods for evaluating residual pesticides are discussed and analyzed based on technology related to animal product safety in Korea. The safety of livestock feed containing pesticides is assessed to establish maximum residue limits relative to pesticides.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in milk, muscle, brain, and fat was performed with a livestock residue test and safety evaluation of the detected pesticide was performed. Efficacy of organic solvent extraction and clean-up of feed was verified, and suit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examined to establish if they are effective, rapid, and safe. This review discussed extensively how pesticide residue tolerance in livestock feed and hazard evaluation may be applied in future studies.
        4,000원
        57.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에서 발생하는 흰가루병 방제에 사용되는 살균제의 잔류시험을 수행하고 회귀방정 식 및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여 한국과 일본, Codex의 잔류허용기준에 근거한 농약의 사용 및 안전한 농산물 생산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딸기재배 중 흰가루병 방제용 주요 살균제 boscalid, kresoxim-methyl, pyraclostrobin, pyrimethanil을 각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기준량 1회 살포 후 1, 3, 5, 7, 9, 11, 13일에 딸기 시료를 채취하여 QuEChERS법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NH2 SPE 카 트리지로 정제하여 HPLC/DAD로 분석하였다. 시험농약의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4성분의 농약에서 모두 0.01과 0.03mg/kg이었으며, 평균회수율은 92.9~99.2%, 상대표준편차는≤5%로 산출되었다. 딸기 중 boscalid, kresoxim-methyl, pyraclostrobin, pyrimethanil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기준량처리 시 각각 6.2, 4.0, 6.1, 6.6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시설재배지 딸기 흰가루병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살균제의 안전 사용을 통해 국내 및 주요 수출국가의 MRL을 초과하지 않는 안전한 딸기를 생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솔수염하늘소는 소나무재선충병을 매개하는 중요한 해충으로 성충의 방제를 위하여 주로 항공살포나 지상살포에 의한 살충제의 접촉독에 의한 방제가 시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살충제를 나무주사하여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를 방제하기 위한 살충제 선발을 위해 Neonicotinoid계 살충제 7종을 각 2,000배로 희석한 후 솔수염하늘소 에 2㎕를 경구투여하여 소화중독에 의한 살충효과를 평가하였다. 살충제 경구 투여 후 신경흥분에 의한 경련반응을 조사한 결과 30분 경과에서는 Clotianidin SL(100%), Thiamethoxam DC(73.3%)이 경련 비율이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Dinotefuran SL(46.7%), Imidacloprid DC(0.0%)가 약제에 대한 경련반응이 낮게 나타났다. 반수치사시간(LT50)을 조사한 결과 Clotianidin SL은 수컷에서 54.7시간, 암컷에서는 85.6시간으로 나타났으며, Thiamethoxam DC은 암컷에서 70.1시 간, 수컷에서는 88.7시간으로 나타나 소화중독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살충제 나무주사를 이용하여 솔수염하늘소의 방제에서는 Clotianidin SL, Thiamethoxam DC가 가장 적합한 약종이라고 판단되었다.
        59.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itrus flatid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a invasive species causes serious damages to field crops, including sweet persimmon, soybean, maize, especially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e selected six chemical pesticides and one environmental friendly pesticide made from the mixture of derris extracts, citronella oils, and cinnamon extracts in laboratory. These pesticides showed over 90% of control effect in open ginseng field.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the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for RDA (project No. PJ0124992018), Republic of Korea.
        6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ighty kinds of pesticides registered in the peach and leaf perilla were assessed the efficacy against the 4th nymph stage of citrus flatid planthopper. Plant of Sharon, host plant preferred by citrus flatid planthopper, was cut from 5 to 7 cm and dipped 10 seconds into recommended concentrations of pesticides, respectively, and then dried naturally for the 30 minutes. New shoot of Plant of sharon treated pesticides and 10 to 15 final nymphs of citrus flatid planthopper put together in the 50㎖ tube and the number of live nymphs was investigated after 48 hours. Pesticides showing mortality over 90% were seven, namely, bifenthrin EW, Rhamda-cyhalothrin EC, Clothianidin SC, Benfuracarb SG, Chloropyrifos WP, Bifenthrin+methoxypenozide SC, Chloropyrifos+imidacloprid WP. When the forest surrounding the peach and leaf perilla was occurred and damaged by citrus flatid planthopper, the use of these pesticides is judged to be effective in the control of this pest.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