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8

        65.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reate a possibility to have a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the juche idea. Due to the strong anti- cornmUIÚsm in the South Korean Church, it has been very difficult to initiate dialogue between them. The juche idea is the ruling ideology of North Korea,and plays the role of a substitute religion. It dominates everything, induding politics, economy, milit따y, culture, social life and individual life. In order to understand North Korea its sociery and its people,it is necessary to know what the juche idea is. It may help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of Korea and the post reunification period. For an effective mission in North Korea, it is worthy to analyze the juche idea ideologically and theologically. Christianity and the juche idea have different worldviews and methodologies: while Christianiry has a theocentric view, the juche idea has an anthropocentric idea. Christianity, particularly Reformed theology, has a GocI-centered view of histoty, whereas the juche idea has a human-centered understanding of it. Reformed theology believes in God's revelation and providence, but the juche idea pursues revolutionaty praaice for liberation.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nd disagreements berween Christianity and the jttche idea, we can discover similarities berween the juche idea and minjung theology. The juche idea differs from Reformed theology, but is closer to minjung theology. Both the juche idea and minjung theology affirm that human beings are the subjecrs of histoty, and emphasize the struggle for liberation from oppression and explotiation.
        8,400원
        66.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the long history of Christianianity we rnay identify some currents that have flowed strongly in the past and which may enable us to discern some of the directions for mission in a new century. Christianity seemed to most people to be a Western religion, indeed the religion of the West; but now Christianity is entering a new phase of its exstence, as a mainly non-western religion. Put differendy, the worldwide resurgence of Christianity coincides with the waning of the religion in what is now a post Christian West. Thus, we could see that Christian advance in the world is not progressive, but serial. Given the changing face of the α1fistian faith and the globalization of Christanity, the writer following Lesslie Newbigin (1989) and Philip Jenkins (2002) asserts that the churches that have grown most rapidly in the global South such as Mrica, Asia, and Latin America are far more traditional, morally conservative, evangelical, and apocalyptic than their northern counterparts. Western liberal scholars have recently dedared that Christianity is declining, or that it must modernize its beliefs or risk being abandoned altogether. However the writer contends that just the opposite is true. Regarding the issue of national evangelization and world mission as the most essential tasks of the Korean Church at the moment, after evaluat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hurch, the writer has provided some suggestions. Finally, as a condusion, given the faα that at different periods, different areas of the world have taken leadership in the Christian mission, the write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self-reform of the Korean Church which has the largest church in the world Paul Yonggi Cho’s Full Gospel Church.
        6,100원
        67.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ile every day in the West, roughly 7500 people in effect stop being Christians every day in Africa roughly double that number become Christians. The espasion of Christianity in twentieth-century Africa has been so dramatic that it has been called ’the fourth great age of Christian expansion.’ According to much-quoted, statistics, there were 10 million Mrican Christians in 1900, 143 million in 1970, and there will be 393 million in the year 2010, which would mean that 1 in 5 of all Christians would be an Mrican. There are other estimates and the range of variation reflects the ambiguity and incompleteness of the raw data on which they are based. Much depends on how one defines a Christian, and Africa is full of small,independent churches that have never filed a statistical return. Kenya has the largest Yearly Meeting of Quakers in the world, outside the United States, and more Anglicans attend church in Ugand than in England. It is clear that, in the words of one thoughtful scholar, perhaps one of the two or three most important events in the whole of Church history has occurred ... a complete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of Christanity, so that the heartlands of the Church are no longer in Europe, decreasingly in North America, but in Latin America, in certain parts of Asia, and ... in Africa. Since 1970s to an ever-increasing extent, African intellectuals are reconstructing the text of Christianity’s encounters with African cultures.
        4,900원
        68.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papar began by recogruzing the critical issue that the church face the challenge of Islarmic fundarnentalism today. Today, the whole world is facing a global war sicuar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Muslim fundarnentalists. In this cricical situation, questions Christian churches need to ask is how to understand this global event α flow and to rediscover the essence of the church and rrussl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 historical development of Islamic revival movements as a reaccion to the secularization and neo-liberal economic globalization led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West, to suggest the church's selfreflecrion, and to examine the church’s misional encounter with an attempt of globalization of the worldwide expansion of Islarm. First, Globalization led by the West indicates a process that economy,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is being integrated into one. In this rapid globalizing process people tend to be more sensicive to mystical things than rational and scientific. These global tendencies has been bringing the revival of conservatism, fundamentalism, mysticism, and extreme movements. In this regard, the Islamic revival movements have opposed to the Western-led globalization and secularism. The Islamic revival movement has been expressed in Jihad, the original meaning both moral and mental effort. Muslim missionaries try to spread their religion through their economic and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the problem western Christianiry face today is the privatization of faith, the reductionism of the gospel and the meaning of salvation. We need to be keenly aware of the causes and roots of the problems. On thing we need to rediscover is the biblical principles providing the foundations for understanding our culture. Third, on the basis of the essential dimension of the church we can suggest some rrusslon strategies for reaching Muslim people. First of all, we need to understand our own context 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1slam comprehensively. We should avoid a colonial mentaliry and patenalism in doing rrusslOn. Also, we need to concern about other movements in Islam such as Sufism and folk Islam as well as fundamental Islam. One of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Muslim people is contextualization of the gospel in the Muslim context. As the church face the challenge of globalization from both the West and Islamic revival movement, the task of the church is to rediscover the essence of the church, IIl1SS10n. Mission emirely belongs to the trinitarian God(John 20:21).
        71.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코트라에 인도인, 아랍인, 헬라인들이 거주하며 홍해와 인도양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국제무역을 했다는 사실이 1세기에 저술된 『에리트라이해 항해기』에 기록되어 있다. 2000년에 발견된 호크 동굴에서 인도 브라흐미어, 남부 아라비아어, 에티오피아어, 헬라어, 팔미라어 등으로 기록된 낙서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낙서들의 기록 시기를 분석한 결과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6세기라는 사실이 밝혀져 『항해기』의 내용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국제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소코트라에 빠르면 4세기 후반 늦어도 6세기에는 기독교가 들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장 빠른 시기에 기독교를 전파한 인물은 354년 콘스탄티우스 황제에 의해 힘야르 왕국에 파견되어 기독교를 수용하도록 활동했던 테오필루스이다. 그는 힘야르 왕의 허락을 받아 세 개의 교회를 건축한 후에 자신의 고향인 소코트라에 기독교를 전했을 것으로 보인다. 악숨은 525년 이후에는 힘야르 왕국을 정복하여 기독교를 믿도록 개종을 시켰다. 이 시기에 소코트라는 힘야르 왕국의 지배 하에 있었으므로 악숨인들을 통해 복음이 전해졌을 것이다. 셋째로 코스마스의 『기독교 지형학』은 소코트라 섬에 페르시아에서 임직받은 감독들과 기독교인들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소코트라의 다하이시와 SHP_067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포크형의 네스토리안 형태의 십자가 모양이 발견되는 것으로 볼 때 페르시아에서 기독교가 전파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소코트라에서 고대 시기에 로마제국에서부터 인도양에 이르는 국제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그러한 교류활동 가운데 기독교도 함께 전파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72.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13세기 시리아 문헌인 『랍반 사우마와 마르 야흐발라하 3세의 역사』에 나타난 몽골제국 시대 칸발리크를 중심으로 몽골 기독교를 살펴보는 것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하지만, 13-14세기 유럽의 프란치스코 선교사들(Franciscan missionaries)이나 마르코 폴로(Marco Polo)가 당시 칸발리크와 중국에서 만났던 바로 그 ‘네스토리안(Nestorians)’ 혹은 ‘네스토리오스 기독교(Nestorian Christianity)’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인은 13세기 시리아어로 기록된 『랍반 사우마와 마르 야흐발라하 3세의 역사』를 주요 문헌으로 사용하여 1) 동방에 있었던 기독교인들의 명칭을 살펴보고, 2) 랍반 사우마의 입을 통해서 드러난 몽골 기독교의 신앙기원 (사도 도마-앗다이-마르 마리 전통)과 교리를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본 글은 『랍반 사우마와 마르 야흐발라하 3세의 역사』에 나타난 몽골 기독교는 자신들을 사도 전통을 이어 받은 동방 교회의 일원으로 이해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73.
        202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로마의 국경선을 298년에 국경선을 시네로 철수하였고, 메로에 왕조가 4세기 중반 이후 붕괴하자, 트리아콘타스코이노스에서 정치적인 공백이 발생하였다. 이 무렵에 이 지역에서 블레미스인들과 노바데스인들이 등장하여 충돌하였다. 먼저 블레미스인들이 394년에 탈 미스를 점령하였고 5세기 전반기에는 도데카스코이노스와 함께 동부 사막 지대의 에메랄드 광산을 개발하였다. 동부 사막지대에 거주하던 이들은 정치적인 공백이 발생하자 매장지와 목초지를 구하여 도데카스코이노스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치적으로 지배하면서 에메랄드를 중심으로 중개무역을 하였다. 5세기에 제2폭포 지역을 중심으로 노바데스인들이 등장하여 노바디아 왕조를 세웠다. 이 왕조의 실코 왕은 5세기 중엽에 부족연합국가를 형성하여 블레미스인들을 물리치고 도데카스코이네스 지역을 차지하였고 6세기에 접어들어 중앙집권화된 왕국으로 발전하였다. 이렇게 부족연합국가 단계를 넘어 중앙집권화된 왕국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실코 왕은 다른 전통 종교들과 함께 기독교도 하나의 종교로 인정하였다. 그러한 증거로 블란나 지역의 무덤들에서 기독교의 표지를 가진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고, 사람들을 함께 매장하던 풍습이 사라지다가 500년경에는 큰 무덤을 만드는 매장 풍습이 사라졌다. 동로마제국에서 선교사를 파송하여 나라가 543년에 정식으로 기독교를 수용하는데, 이것은 5세기 후반부터 기독교가 점진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의 정점으로 보인다.
        74.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T. S. 엘리엇의 『황무지』에서 엘리엇이 사용한 성경적인 유들을 중심으로 작품 내에 함의되어 있는 종교적인 의미를 분석해본 것이다. 『황무지』는 주지하다시피 엘리엇의 대표적인 초기 시로서 많은 이미지와 인유들이 가득한 난해한 시이다. 엘리엇이 1927년에 성공회로 개종을 하면서 그 후에 집필된 시들은 기독교적인 색채가 드러나는 시들을 많이 집필하였으나, 개종 이전의 시 작품에 함의된 종교적인 의미들은 난해함과 수많은 시적 장치들 그리고 신화적 인유들로 인해 비교적 간과하기 쉽다. 본 글은 엘리엇이 사용한 성경적 인유들에 근거하여 엘리엇이 종교적 신념을 자신의 시와 작품과 인생 전반의 지적 여정에서 얻고자 하였던 영적 깨달음과 지혜를 얻기 위한 하나의 신념 체계로 바라보았다고 이해한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황무지』는 단순히 개종 이전의 신화적인 인유들과 난해한 이미지만 있는 작품이 아닌 엘리엇이 암시적으로 나타내려 했던 종교적인 의미가 내재되어 있는 시임을 다시 금 확인할 수 있다.
        75.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한국교회사학회지」에 게재된 16세기 교회사 관련 논문 78편 을 분석하고 평가했다. 1979년 창간호부터 가장 최근인 2019년 8월까지 모두 53권이 발간되었다. 이 53권에는 모두 425편의 논문이 실려 있는데, 16 세기 교회사 관련 논문이 78편으로 18.35%에 해당한다. 이 78편의 논문은 모두 16세기 프로테스탄트 개혁을 다루고 있으며, 대부분 그 핵심 인물 몇 몇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루터 관련 연구가 43편이고 칼뱅 관련 연구가 15편이다. 이러한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나서 본 논문은 16세기 교회사와 관련된 연구 영역이 크게 확장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면서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76.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광주라는 지역사회에서 현대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기독교가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특히 20세기 초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들에 의해 광주에 세워진 미션 스테이션을 중심으로 성장한 인물들의 활동을 밝히고, 그들이 광주지역의 현대화 과정에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밝히고 있다. 연구의 시기는 한일병합을 전후한 시기부터 1980년대까지의 시기에 확장하되, 해방 후 광주의 현대화 과정에서 특히 조아라의 활동에 강조점을 두어 살펴본다. 일제강점기에 광주에서 활동했던 유화례, 서서평 선교사, 그리고 최흥종, 김필례 등의 지역 기독교인들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 활동가로 성장한 조아라라는 한 인물을 통해, 교육, 여성활동, 청년활동 그리고 더 나아가 민주화운동에서의 역할을 추적하고자 한다. 특히 현대화과정에서 민주화라는 개념은 지역사회 광주를 이해하는 주제어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이 연구의 기본적 전제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광주 스테이션을 통해 성장한 기독교인들의 활동은 지역사회 광주의 도시화와 현대화를 이끌었다는 점을 밝혀낸다. 특히 서양 의료시설을 찾아 광주로 몰려온 한센병환자들과 결핵환자들, 한국전쟁(시민전쟁)으로 인해 홀로 남겨진 고아들, 산업화 과정에서 농촌을 떠나 도시로 몰려든 이농소녀들, 익명의 도시사회에서 나타난 윤락여성들과도 시빈민들, 그리고 산업화시기에 외면했던 민주화요구 등은 도시 광주가 확장되면서 당면한 사회적인 문제였고, 이러한 문제를 마주하는 곳곳에서 광 주 스테이션에서 성장한 기독교 활동가들의 활동은 너무나 분명했고 그만큼 효과적이었다.
        77.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한국기독교의 국제교류활동을 조명한다. 전간기의 서구신학계는 태평양문제연구회, 예루살렘선교대회, 평신도해외선교조 사위원회의 중심인물인 플레밍-록펠러-호킹의 현대주의 신학사상이 한국기독교인에게 수평적인 국제교류의 장을 제공했다. 전후의 참화를 극복하고 새로운 세계질서 수립을 겨냥한 이들은 기독교 평등사상 및 기독교세계주의에 주목하였고, 사회진화론에 근거한 서구우월의식을 지양하고, 세계 각 민족과의 우호협력 및 현지인 주도성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한국기독교인들에게 일본인과 구별된 독자적 국제문화교류를 경험할 장을 마련하였다. 문화교류라는 맥락에서 제공된 한국인의 지식과 정보는 아시아학의 태동기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태평양 전쟁기 및 전후 한국문제의 이해를 위한 정치외교적 함의를 지닌 정보로 사용되었고, 영미계의 대한정책수립에 참고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문헌 증거는 일제강점기가 국가 차원에서의 외교기관 부재라는 전이해에 따라 민족의 독립투쟁에 집중되 어온 기존의 역사연구를 보완한다. 서구열강은 한민족의 대외활동을 일본의 내정이라는 차원으로 인식하였기에 한민족이 고투하는 자주적 해외독 립투쟁에 집중된 기존연구를 보완하는 본 연구는 자주적인 해외독립투쟁에 집중된 연구를 보완하는 본 논문은 서구기독교인들과 한국기독교인의 협력적 관계를 조명한다는 측면에서 미개척분야라 할 수 있다. 외교를 국가대표기구의 공식적 회견이라는 관점보다 민간인의 국제교류를 통한 민간공공외교라는 관점에서 자료발굴과 해석을 시도함에 외교사와 기독교사가 교차하는 영역에 집중하므로 학제융합적 접근방법을 사용한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국권상실에 이르기까지의 형성된 한민족의 대미관계 및 해외한인의 독립활동에 집중한 기존연구를 보완하는 본 논문은 제국주의의 감시와 억압을 뚫고 민족의 세계적 활로를 제공한 기독교평등주의와 기독교세계주의를 검토하며 세계기독교대회에서 면면히 지속되어 온 한인의 국제교류활동상을 조명하여 한국외교사의 공백기를 채운다.
        78.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해방 후 남한의 정치·경제·사회적인 시대상황에 따라, 다양한 통일론에 대한 조사와 개관 그리고 평가를 그 내용으로 하며, 그 가운데서 기독교인들의 참여를 추적한다. 특히 죽산 조봉암을 중심으로 한 평화통일론의 배경과 의의를 살피고 있다. 한국 기독교는 대체로 38선 철폐운동, 미군철수반대운동, 그리고 한국전쟁 중에 휴전반대운동과 북진통일론을 전개하여 왔다. 이러한 통일론은 한국사회의 전쟁경험으로 인한 것이었지만, 이로 인해 이승만의 독재를 용인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한편 기독교에는 또 다른 통일담론 즉 평화통일론의 흐름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 조봉암이라는 인물이 있었다. 시기적으로 너무 앞서고, 아직은 무르익지 않은 섣부름도 있었지만, 그가 간첩으로 오인 받고, 목숨을 잃으면서까지 소리높인 평화통일이라는 구호는 이후 진보적인 기독교인들과 정치인들의 목소리로 발전하였다. 해방 후 기독교가 남한에서의 통일담론 발전에 있어서 다양한 구조와 논의를 전개하였고, 그 결과 일정한 사회 통합의 역할을 하였음을 밝히기 위하여 본 논문은 각 종 신문과 전기 및 선언서 등을 참조할 것이다. 아울러 신학적인 입장이 아니라, 교회의 사회적인 활동을 중심으로 살피는 종교사회학의 방법을 차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대 한국사회에서 기독교의 역할을 특별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남·북한의 평화노력에 대한 그 근원적이고 역사적인 배경을 찾는 과정이다. 아무쪼록 "서로를 이해하는 노력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잘못되었을 때의 폐해는 무엇인지? 아울러 어떻게 그 노력을 성취할지?"를 묻는 첫 걸음이 되었으면 한다.
        7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그리스도교와 헬레니즘의 관계란 관점에서 유대교의 한 종파 인 예수 운동이 이방인 선교를 통해 세계 종교로 발전하는 제1차 유다이아 전쟁까지의 원시 그리스도교의 발전 과정을 역사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유대교와 헬레니즘의 관계를 팔레스티나와 디아스포라를 나누 어 간략하게 고찰하였고(II), 그 다음에는 언어, 유대계 그리스도교와 이방 계 그리스도교의 구분, 유대교 율법과 이방인 선교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III).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첫째, 예수와 그 제자들은 아람어를 사용하고 헬 레니즘을 수용하는데 소극적이었지만, 헬레니즘 유대계 그리스도인(“헬라 파”)들은 예수 전승을 그리스어로 번역하고 그리스도교 신앙을 그리스 세 계에 맞게 변용시키고 사마리아인과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하여 그리스도 교가 그리스 문화를 매개로 지중해 세계 전역으로 전파되는데 핵심적인 역 할을 수행했으며, 둘째, 바울은 이방인의 사도로 율법에서 자유로운 이방 인 선교를 주도하고 처음에는 그리스도인에게는 율법이 필요하지 않다고 보았지만, 후기에는 온 이스라엘의 구원을 확신하고 다른 형제자매를 위해 율법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하여 율법 이해에서 변화를 보여주었고, 셋째,바울은 주체와 인격의 구별, 개인의 결단과 보편적인 사회의 전망을 강조 했다는 점에서 헬레니즘 정신에 부합되는 새로운 종교를 제시했으며, 마지 막으로 가정 교회가 이러한 새로운 현실을 실현하고 경험하는 모판이 되었 다는 것을 밝혔다. 예수 운동이 이방인 선교를 통해 세계 종교로 발전하는 과정을 추적함 으로써, 본고는 그리스도교와 헬레니즘의 관계를 규명하며, 유대교와 그리 스 문화 사이에서 원시 그리스도교가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이 해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앞으로 역사적 차원뿐만 아니라 신학적 차원에서 이 주제를 다룬 연구가 진척되기를 촉구했다.
        80.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해방 후 전재민에 대한 한국 사회의 구호활동을 살펴보려고 한다. 당시 인구의 1/10-1/6에 해당하는 전재민이 남한에 유입되면서, 한국 사회는 커다란 변동을 경험했는데, 경제적 위기는 극에 달하게 되었다. 이 에 전재민들의 성향에 대해서는 사회학적인 방법을 그리고 전재민 구호활 동에 대해서는 사회복지의 측면에서 살피고자 한다. 미군정청에서 활동한 주요 한국인들이 해외 유학파 기독교인이며, 교회는 민간구호활동에 적극적이었다. 특히 전재민 교회는 자신 스스로가 자력갱생 을 이루는 모범적인 공동체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는데, 이를 통해 기독교가 전재민구호활동을 통하여 한국현대사회에 기여하였음을 보이려고 한다. 해방 후 미군정기간에 한국사회의 가장 큰 문제였던 전재민에 대한 구호활 동은 종교인들의 당연한 관심의 영역이었을 것이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없었 다. 또한 당시에 대한 연구가 지나치게 정치역학의 관점에서만 조명되었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기독교인들의 인도주의적 활동을 설명하면서, 전재민 구호활동이 민간인 주도에서, 미군정청중심으로, 그리고 더 나아가 전재민 스스로 자력갱생의 과정으로 발전되었다는 것을 밝히려고 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