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내러티브 영상콘텐츠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지털 영상이미지가 현실과 맺는 관계의 변화나 수용자의 문화인터페이스 변화는 텔레비전 내러티브 콘텐츠 구성 및 영상스타일 전략에도 변화를 요구한다. 하지만 디지털 합성 기술의 발전과 그 기술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내러티브 콘텐츠는 지각적 리얼리즘을 지향하면서 여전히 사진 사실주의를 완성하려는 영상이미지를 보여준다. 그렇다고 이러한 디지털 시대의 영상이 올드미디어 시대와 동일한 함의를 갖는 것은 아니다. 본고에서는 뉴미디어 환경에서 텔레비전 내러티브 콘텐츠의 영상 특징의 일단을 이해하기 위하여 SBS <별에서 온 그대>라는 드라마를 예시로 고찰한다. <별에서 온 그대>의 에필로그에서 몇 가지로 양식화되어 형상화된 영상들을 만날 수 있는데, 이들 영상들의 매개 전략은 흥미롭다. 비매개 전략으로 흥미로운 스토리를 담은 환영주의적 내러티브 세계를 구성하면서도 동시에, 불연속적 영상이 매체의 투명성에 반하여 하이퍼매개하면서 디지털 시대의 일반적인 영상 특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 드라마의 에필로그 영상이 비매개와 하이퍼매개 사이를 오가며 주는 영상의 매혹이 무엇인지, 또 이들은 디지털 시대의 영상들의 어떤 특징들을 공유하고 있는지 밝히고 있다.
The early works of W. B. Yeats are mainly rose poems influenced by the symbolist movement and his other works reflect the poet’s consciousness absorbed in occultism and mysticism. And some of them are filled with confessions and revelations of love expressed in somewhat dreamlike and vague longing. These tendencies generally show unrefined sentimental contents and loosely woven poetic patterns. But, nevertheless, his early love lyrics effectively appeal to our emotion and have been popular and widely accepted. Those early erotic verses, especially based on the traditional Western culture of courtly love, attain the beloved’s love in literature as it is not achievable in reality. The tradition of the courtly love lyrics has passed down from Dante through Rossetti to Yeats. Following the poetic tradition, Yeats often implies that the beloved is absent, unattainable, or even dead. Therefore, Yeats’s early love lyrics generate their own love out of such absence and death. Love and death are mingled together in Yeats’s early love lyric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rporate reputation in terms of as an employer towards both brand reputation and customer purchase decisions represented by brand perception, purchase frequency and category of items purchased. In this study, customers’ perception of the brand was also explored to identify the core blocks that form customers’ perception of the br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corporate reputation did not have a strong influence on brand reputation, as customers viewed them as separate entities. Customers tended to form their brand perception based on the product features as opposed to the corporate reputation. In terms of purchase deci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were made and driven based on the customers’ brand perception with category of items purchased reflecting aspects of the brand perception. The study demonstrates that customers’ awareness of the corporate reputation does not affect purchase behavior, while brand perception is hardly impacted by the awareness of corporate reputation based on a survey focusing on a renowned domestic fashion-clothing retailer conducted among Japanese shoppers.
Reputation is formed from a synthesis of the perception, opinions and attitudes of an organization’s stakeholders including employees, customers and community (Post and Griffin, 1997). It basically is a perceptual representation of a company’s past actions and future prospects that describe the firm’s appeal to all of its key constituents (Fombrun, 1966). Corporate reputations and brands are important assets in enabling organizations to exploit opportunities and mitigate threats (Argenti and Druckenmiller, 2004). A favourable reputation correlates with superior overall returns (Robert and Dowling, 1997; Vergin and Qoronfleh, 1998) as it encourages investments from shareholders, attracts good staff and retains customers (Markham, 1972).
While corporate reputation is a stakeholder’s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the organization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corporate brands involve the organization’s efforts and initiatives in the form of corporate expression. Literature states that corporate brand comprises of two aspects: first corporate expression, which covers all mechanisms employed by the organization to express its identity and second, stakeholder images that are formed from interaction and experience with the brand (Abratt and Kleyn, 2011). Consumers judge brands based on trust that is developed from the way consumers view brand reputation, brand competence and brand constituent (Lau and Lee, 1999).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reputation and brands leads to the heart of the study whether both are positively correlated, where the more positive the reputation, the stronger the brand is. In the fashion industry, labels play an important role hence among other aspects this study covers an interesting point where it looks at a fashion brand that has a fairly bad reputation and examines the extent of which the reputation is able to influence the brand perception as well as the customers’ purchase decisions.
필자는 논문의 분석의 관점으로 엘리아데의 성년식의 이론을 도입하여 괴테의 작품 『파우스트 1부』에 내재되어 있는 성년식의 서사구조의 성립배경을 괴테의 호머의 『오딧세이』와 기독교의 교양체험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괴테의 상기한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 파우스트의 그레트헨과의 비극적 사랑을 체험하며 고난의 여정을 통하여 종교적 구원을 찾아가는 탐색과정을 엘리아데의 성년식의 이론의 관점에서 고찰했다. 괴테의 『파우스트』 작품의 주인공 파우스트가 그와 대결하고 있는 악마 메피스토펠레스한테 그의 영혼을 팔고 관능의 세계에 몸을 맡기고 사랑이라는 욕망의 공간으로 들어가는 과정이 엘리아데의 입사단계에 해당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괴테의 『파우스트』 작품은 주인공 파우스트가 그리트헨과의 비극적 사랑을 체험하면서 구원을 받기까지 성장과정을 보여주는 성년식의 서사구조를 지닌 성장 드라마[Bildungsdrama]임이 밝혀진 셈이다.
근래 인문학은 과학기술의 발전, 진화생물학의 도전, 본질주의에 대한 회의에 직면하여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질문하고 있다. 신학적 인간학(Theological Anthropology) 역시 같은 도전에 직면하여 신학의 기본 개념들, 신의 이미지로 창조된 인간, 죄, 은혜의 개념들을 다시 성찰하고 있다. 대다수는 더 이상 고정된 교리나 교권에 매이지 않고, 대체로 사랑하는 인간 존재, 관계적 존재성에 기반하여 인간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시도한다. 한강은 '채식주의자'에서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질문한다. 모든 작품에 걸쳐 한강이 탐구하는 이 질문은 '채식주의자'에서 인간이란 사랑하는 자, 그러나 사랑에 실패하는 자, 그럼에도 계속 사랑하는 자로 형상화된다. 영혜는 지고의 사랑을 마침내 성취하는 영웅이 아니라, 궁극적 사랑, 폭력 없는 완전성을 성애(性愛)와 식물적 삶에 두고 추구하다 결국 자신을 파괴하고 타인을 파괴하는 데 이르는 영락 없는 실패자다. 본 논문은 채식의 저항적 의미에만 치중하였던 기존 논문들의 공백을 메우고, 작품의 의미를 사랑과 실패에 두어 새롭게 해석하고자 했다.
The Philippines has been known as the Milan of Asia (Ang & Teo, 1995). This is partly due to the efforts of the Philippine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to highlight the Filipino exporters’ creativity in design in its trade fairs, including the Manila FAME Trade Fair. Filipino firms show their creativity and craftsmanship in various products such as furniture and furnishings, gifts and holiday decorations, garments and fashion accessories for export markets at the Manila FAME. As part of the national promotion efforts, Manila FAME has become a national pride because it advertises the Philippines as a design and lifestyle destination (Ang & Teo, 1995). Filipino exporters join the Manila FAME to promote this image as well as to promote their firms to various importers who attend this trade fair. To find out whether they join to promote the country’s image or to promote their firms, 130 Filipino exporters were interviewed using person-assisted questionnaires last October 17-20, 2013 in Manila, Philippines. The study also aimed to identify factors that encouraged Filipino firms to join the Manila FAME. Using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that encouraged Filipino firms to join the Manila FAME were as follows: Sales and Buyers (F1), Information-Gathering (F2), Locating Distribution Channels (F3), Company Image-Building (F4) and Country Promotion (F5). Except for Country Promotion (F5), the four factors validate Hansen’s model for measuring trade performance (Hansen, 2004). Discriminant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if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se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Sales and Buyers (F1)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achieving the exporters’ trade fair objective while Country Image-Building (F5) had the weakest link. This implies that firms prioritize Sales and Buyers (F1) rather than Country Image-Building (F5). Is it love of money or love for country? Although both factors would encourage firms to join the Manila FAME, love for money would exert the strongest influence over love for country. The results validate the profit-maximization theory that states that firms behave to maximize profits (Sautet, 2000).
본 논문의 연구주제인 수사학과 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는 의사소통적 비평에서 몇몇 서구 비평가들에 의해 다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하나의 연구주제로서 수사학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시를 적용하는 예가 많지 않다. 그래서 말이든 글이든 그 문화 콘텐츠를 가지지 않고는 화자의 올바른 의도나 글의 메시지를 포착하기는 쉽지가 않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17세기 영국시인인 존 던의 경우 커뮤니케이션 스타일리스트로서 그가 수사학적 장치를 사용하는 목적과 의도에 주목하는 일은 새로운 연구방식의 하나이다. 던의 시는 「갇힌 사랑」이라는 주제를 통해 여성의 문제와 시대의 편견과 사랑의 문제를 오늘날 매우 중요한 글쓰기 매체로 접근하고 있다. 그의 시는 성과 사랑의 본질을 시대적으로 조명하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여성과 관련된 도덕의 중요성을, 즉 성스러움에 가까운 자기희생을 처음부터 강조하고 있어 사랑의 종교적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In the Harry Potter Series, the magical power wizards and witches pursue avails its potential for the everlasting dream of eternal life as we used to see in religion. The dream comes true where magic makes it real as wizards desire to. Voldemort, Dumbledore, and Harry are described once as such. Voldemort tries to use magic to live eternally with the legendary philosopher’s stone as we have long known in alchemy, including ‘seven horcruxes’ into which Voldemort stores part of his soul to incarnate whenever he wants to. Dumbledore has the same dream with the three ‘deathly hallows’ he once possesses on his own; he finally changes his mind after he observes the death of his mother and sister. A prophecy reveals Harry as the Chosen One who defeats Voldemort, freeing the world from prevailing evil power; he rises after he willingly dies at the end of the story, just as Jesus Christ did.Religious significance in magic and the occult, including alchemy, astrology, clairvoyance, numerology, is seen in that Harry Potter puts together a vision of Christianity in the world of magic. In the story, magical power makes the vision possible on material basis, seemingly in religious significance, freeing body and spirit by sublime love in family, friends, and then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In the story, courage, sacrifice, forgiveness, love, friendship, fellowship, and freedom in body and spirit appear to be Christian virtues even in terms of the magical power Harry uses throughout the whole story in which evils are finally defeated and goods are raised.
본 연구의 목적은 웨슬리 설교에 나타난 ‘love’를 포함하는 표현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죤 웨슬리의 설교 중에 20편이 선정되었다. 콘코던스 프로그램은 AntConc 3.2.0w이 사용되었다. 설교들로부터 워드리스트가 추출되었고, ‘love’ 단어를 포함한 표현들을 조사하였다. 결과로는, 199개의 표현이 발견되었고, 그 연어들의 특징적인 부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연어적 지식을 발전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영어학습에 있어서 어휘를 확장시킬 수 있게 해 준다. 학습자들은 또한 교수자의 지도하에 스스로 코퍼스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겠다.
이 논문은 예이츠부부가 결혼 초기에 실시했던 자동기술의 상당부분이 매우 개인적이며 성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는 점에 주목하면서, 그러한 성적인 내용들이 자동기술에 어떻게 표현되어 있으며, 그것들은 자동기술에 표현되어 있는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내용들과 어떤 관련성을 갖고 있는가, 또한 자동기술이 『비전』으로 엮어지는 과정에서 그러한 사적이고 성적인 내용들이 감추어지게 된 이유는 무엇이며, 그것들은 예이츠의 삶과 시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되는가에 대해 살피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국제결혼여성들에 대하여 미디어가 어떻게 재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들을 수용자들은 어떤 의미로 해독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사회에서 가장 대중적 소구력을 지닌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 공영방송 KBS가 제작한 <러브 인 아시아>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용자 연구를 위해 2009년 12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방영된 프로그램 12편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의 포맷과 내용들을 살펴보고, 실험연구를 통해 수용자들의 반응과 함께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이 프로그램은 국제결혼여성을 초창기 방영분보다 ‘능력 있는 이주여성’, ‘가정에서 꼭 필요한 존재로서의 여성’으로 재현함으로써 인종주의적 타자성을 강화하고 있다. 더불어 이주여성의 현재의 삶과 과거 고향에서 삶의 체험현장의 재현을 통해 이산인의 문제를 제기하여 공론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산의 아픔에 대해 운명적 사랑으로 극복하는 낭만적인 멜로드라마식 이야기로 전개하는 방식은 이산의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시키는데 장애가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산인에 대한 올바른 ‘정체성’의 재현을 위해 오락적 요소를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진정성과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수용자들은 이 프로그램의 진실성, 기획의도에 대한 적절성, 이산인에 대한 친근감을 비교적 긍정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산인의 ‘정체성’에 대해서도 그동안 자신들의 편견에 대한 반성과 인식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등 선의적 시각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이산이라는 사회적 이슈를 이해하고 포옹하는 소통의 장으로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재인할 수 있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Yeats and Gonne seems to show an example of the traditional courtly love. Courtly love was a medieval Europe conception of nobly and chivalrously expressing love and admiration. Under this relationship, although a male expresses the devotional love to a female, a woman shows no love and pity for a man and a woman is an object who uplifts a man's spirit. This relationship may be said to show the man's fear of cast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Yeats and Gonne starts by his admiration for her beauty and sternness as a nationalist for the Irish Independence. Also, he glorifies her as a secret being. Moreover, Yeats's love for her shows the doubleness: erotic and spiritual, humane and transcendental, and humiliating and proud. However, Gonne's coldness leads Yeats to desperation. And the last step shows Yeats's fear of castration for the politically-minded Maud Gonne. In Rose, there is Yeats's admiration for the secret woman, Maud Gonne. Yeats's unrequited love leads finally to desperation and sorrow for love, facing Gonne‘s unwavering coldness as a nationalist, which leads Yeats to give her up, showing a kind of fear of ca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