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5

        101.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콰로르의 수도인 키도와 갈라파고스에서 2000년 8월 1일부터 18일까지 거미상을 조사한 결과 총 562개체를 채집하였으며, 그 중 22과 48속 50종을 동정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키토와 갈라파고스 제도에는 배회성 보다 정주성 거미류가 더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Gasteracantha cancriformis (Linnaeus 1758)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이에 Gasteracantha cancriformis를 재기재하여 보고하고
        4,000원
        104.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릉도와 독도 근해 해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광합성 색소의 변화를 5월, 6월, 8월과 11월에 울릉도 5개 정점, 6월, 8월과 11월에 독도의 3개 정점에서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수온은 수심에 따른 변화가 적었으며, 8월에는 수온 약층의 형성이 두드러졌고, 특징적으로 울릉도에서 11월의 표층수온(20.5℃)이 기상의 기온(9.9℃)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계절적 변화는 염분에서도 나타났으며, 5월에는 저온 고염
        4,900원
        105.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섬 생물지리학에서 평형설(equilibrium theory)은 섬의 면적과 본토에서 떨어진 거리에 따른 이입율과 절멸율의 작용에 의해 섬에 분포하고 있는 종 수가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한반도 부속도서에서 여러 생태학적인 요인들인 섬의 면적, 격리정도, 위도 및 섬의 최고 고도로 표시한 서식지 다양성과 나비의 종 수에 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71개의 섬에서 기록된 나비의 종 수와 이들 요인들 사이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4,000원
        106.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an architectural paper which has been studied about dowelling form and culture in southwestern island area of Korea from 18C up to now.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in new modeling development of dwelling house. This area had less cultural interchange than inland area because of geographical conditions. Therefore, so far, many traditional factors have been handed down and especially, a good many commoner's traditional houses exit. The traditional houses is composed of Anchae (a central house), Sarangchae (an attached house of Anchae). Sometimes, Sarangchae was ommitt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of the house. Generally, the form of arrangement of house is divided into two shapes; One is 'ㅡ' shape which has only Anchae and the other is 'ㄱ' shape which has Anchae and Sarangchae. Approximately, since 1970's, new type of house has been built in this area. Usually, Inside this house are living room, kitchen, toilet, utility and 3 rooms. Wall is made of brick and roof is made of concrete's slabe. We can not find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is type of houses. The house in the futrue, the factors of cuture and the convenience of the present age have to be coexisted.
        5,100원
        107.
        199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 8월부터 10월까지 동남해 도서지방 난대상록수림 지역인 목도, 미조리, 미조도, 까막섬, 애도, 사양도, 외나로도, 금오도, 주도, 미라리, 맹선리, 예송리 지역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바 105과 297속 380종 49변종 1아종 및 4품종 등 총 434종류(taxa)로 조사되었다. 이 중에서 목도에는 32과 53속 50종 6변종 등 총 56종류(taxa), 미조리에는 47과 80속 81변종 및 2품종 등 총 92종류(taxa), 미조도에는 47과 65속 58종 9변종 1품종등 총 68종류(taxa), 까막섬에는 39과 52속 53종 4변종 등 총 57종류(taxa), 애도는 59과 105속 112종 11변종 1아종 등 총 124종류(taxa), 사양도에는 46과 75속 83종 7변종 등 총 90종류(taxa), 외나로도에는 63과 111속 119종 13변종 1아종 및 2품종 등 총 135종류(taxa), 금오도에는 68과 132속 147종 13변종 등 총 160종류(taxa), 주도에는 40과 67속 69종 9변종 등 총 78종류(taxa), 미라리에는 67과 113속 120종 20변종 및 2품종 등 총 142종류(taxa), 맹선리에는 73과 150속 160종 24변종 및 1아종 등 총 184종류(taxa), 예송리에는 79과 156속 172종 24변종 1아종 및 1품종 등 총 196종류(taxa)로 각각 조사되었다. 이들 지역은 상록활엽수림으로 대부분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음에도 관리가 매우 미흡하며 지역주민들의 낮은 의식수준으로 계속적인 피해가 우려되는 바, 이들 식물은 종 및 서식처 수준에서의 적극적인 보전대책이 필요하다.
        6,000원
        109.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라남도 도라지역에 분포하는 개미의 종류와 그의 종조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1986년, 1989년, 1990년, 1991년의 4년간 10개 도서의 31개 지역에서 740 colony를 채집하여 동정 한 결과 4아과 30속 54종이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 대흑산도 예리에서 채집한 쌍털비늘개미(신칭)와 소안도 맹선리에서 채집된 조개무늬비늘개미(신청)는 한국산 미기록종인 것으로 사료된다. 10개 도라지역에 분포하는 개미의 종조성이 밝혀졌으며 Nomura-Simpson's Coefficient(NSC) 공식에 의한 종류사도를 분석한 바 전라남도 도라지역의 개미상은 연속적이였다
        4,800원
        110.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iscusses heavy mineral assemblages, organisms and micropaleontology from the eastern beach sediments of Fildes Peninsula, King George Island, South Shetland Islands.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present preliminary results and to give clues to future research of the study and/or related areas. Heavy mineral assemblages are composed mainly of altered mineral and opaque minerals, clinopyroxenes, amphiboles and epidote. Most of the heavy minerals are derived from volcanic rocks present in Fildes Peninsula. However, relatively high content of mica suggests it might be originated not to be from volcanic rocks of Fildes Peninsula, but to be from acidic rocks present in other areas around Maxwell Bay. Cluster analysis of the data(Q-mode) using UPG method shows three facies: represented by Ardley Cove Hydrographers Cove, and the southern tip of Fildes Peninsula. Hydrographers Cove is separated from Ardley Cove by Ardley Island, and is somewhat protected from the strong wave action of Maxwell Bay. On the other hand, Ardley Cove and the southern tip of Fildes Peninsula are open to the strong wave action of Maxwell Bay. The benthic organisms of the study area is mainly consist of interstitial animals such as very small-sized polychaetes, gastropods, turbellarians and nemertines. Polychaetes are the dominant faunal group as seen in other areas of South Shetland Islands. Occurrence of Foraminifera and Ostracoda seems to reflect faunal ecolog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study area. It is recommended that a rather large sample size($gt;1 liter) be made for a quantitative study of micropaleontology and benthic ecology of the areas similar to the study area.
        4,000원
        111.
        197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four calender years (1971-1974), daily observations of weather conditions (air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wind direction, cloud amount, fog, precipitation etc.) at six stations in the north western Pacific Ocean are used to calculate mean monthly values and to check extra-conditions. At Petropavlosk and Miko'skoe, where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modified continental climat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high in summer, and Iow in winter. At A Dak and She Mya, where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warm current type maritime climate, humidity is high in all season and annual range of air temperature is nearly negligible. At Simusir and Vasi!' eva, where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cold current type maritime climate, humidity is high in all season and annual range of air temperature is 15℃. As dry cooling power is relatively high in winter, working condition on deck is bad. Most of fogs are advection fog in the area of cold current type climate in summer.
        4,000원
        112.
        197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7~76년에 부산수산대학의 오태산호를 사용하여 북서태평양의 소련 Kamchatka 반도와 Kurile열도 근해에서 해양 관측, 음향 측심 및 해류 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해석하고, 해수유동과 해저지형과의 관련성 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Kamchaka 반도 동방의 대륙붕은 넓게 확장되어 그 폭은 약 75km에 달하고 그 경사는 완만하다(1~2。). 이 대륙붕은 Paramushir도 동방에서 폭이 좁아져서 약 36km가 되고 경사가 급해진다. Onekotan만 동쪽 약 20mile 해역에는 대륙붕이 조금 짤라져 해삼 모양의 솟은 곳이 있고, 그 단면은 평두해산과 비슷하다. Kurile열도 동방 Oyashio 해류 유역에서 직접 측류한 결과는 약 1kt로서 해류의 역학계산으로 얻은 유속 0.5~0.7kt 보다 조금 빨랐다. Oyashio 해류 동쪽 가장자리에는 강한 해류와 개속된 대소 규모의 좌선 및 우선 소용돌이가 줄지어 있다.
        4,000원
        113.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거문도·초도 사람들의 울릉도·독도 도항과 활동 관련 지역민들의 구술증언을 토대로 이들이 울릉도·독도로 건너간 이유와 도항 방법, 생업활동 등을 밝힘으로써, 결과적으로 독도를 실질적으로 이용·관리해왔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19세기 말 이전 울릉도·독도를 왕래하며 어렵이나 미역채취, 선박건조 활동을 해 온 거문도·초도 사람들은 이미 수백 년 동안 그 곳 울릉도·독도를 기반으로 생업활동을 해오고 있었다. 거문도·초도를 비롯한 전라도 남해 연안민들의 울릉도·독도 관련 도항과 생활상은 비록 문자로 기록되지 않았지만, 「거문도 뱃노래」와 같은 노동요나 구전자료로, 가옥이나 건축물 등 유형·무형의 생활자료로 전승되어 왔다. 이것은 이들이 수백 년 동안 울릉도·독도 어장을 경영해온 살아 있는 증거이며, 독도를 삶의 터전으로 이용해왔음을 입증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증거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19세기말 이전에 이미 동남해 연안민들, 특히 거문도·초도 사람들이 울릉도·독도 어장을 관리하며 수백 년간 영속적·실질적으로 경영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이러한 활동이 있었기에 1882년 울릉도개척령과 1900년 대한제국칙령 41호로 이어지는 조선정부의 울릉 도·독도에 대한 행정적 관리가 가능할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독도영 유권 주장의 근거가 될 수 있었다.
        114.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climate-change indicator plants native to the main islands of the Korean peninsula, while elucidating thei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n flora from over 129 island locations, comprising more than 100 species of native plants, was collected, compiled into a database, and utilized as raw data. The distribution of 193 climate-change indicator plants was confirmed. The distribution area of broadleaf evergreen trees and ferns, including Mallotus japonicus and Cyrtomium falcatum, was relatively wide. In contrast, the distribution of common northern plants such as Corydalis turtschaninovii and Malus baccata was limited. If global warming persists, northern plant distribution is expected to decrease rapidly in the Korean Peninsula island region, while the northern limit line of the southern plants is expected to migrate further northward. During this process, it is likely that the plant congregation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within the island region will change dynamically. In this study,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species and regions were conducted by assessing the relative frequency of their occurrence, and six types of botanical geographic distribution patterns were noted.
        11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19세기에 조선정부가 울릉도 통치의 일환으로 실시한 울릉도 수토 연도에 관하여 기존 연구의 결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재정리하고, 새로 확인된 수토 사실들을 보고하여 목록에 추가하며, 향후 수토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기존의 수토 연도 목록을 검토하여 수토 연도라고 보기에는 근거가 부족한 9개의 연도를 목록에서 삭제하고, 새로 확인한 1849년 이규상의 수토, 1853년 석충선의 수토, 1855년 이원명의 수토, 1873년 월송만호의 수토, 1879년 월송만호의 수토, 1883년 안영식의 수토 등은 목록에 추가하였다. 19세기 울릉도 수토는 약간의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정부가 영토관리 차원에서 수토제를 통하여 울릉도를 잘 다스려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울릉도 수토 연구의 방향은 이양선 및 표류 관련 연구와 연계하여 수토 연구의 외연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국적으로 다양하고 많은 수의 수토 사례와 연관시켜 연구함으로써 조선 정부의 통치행위로서 수토의 전체적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116.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6년 일러수뇌회담은 일러 양국의 영토문제 해결을 위한 것이 목적이었지만, 더 나아가 아베 수상이 러시아를 끌어들여 중국에 대한 포위망을 강화하고자 하는 회담이었으며, 동북아국제정치의 큰 판의 움직임을 염두에 둔 아베 수상의 의도가 엿보이는 중요한 회담이었다. 그러나 북방4도의 반환이 거의 불가능에 가깝게 느껴진다. 그 이유는 북방영토문제의 미해결은 많은 부분 일본정부의 책임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일본정부의 ‘4도 일괄 반환’ 주장과 ‘2도 선행 반환’ 주장이 어지럽게 교차하는 잦은 ‘골대 이동’이 북방영토 해결을 무산시키는 주요 요인이었다. 물론 일본정부의 그러한 결정에 미국정부의 부정적 영향력 행사의 산물이거나, 미일동맹정책의 대가임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동아시아 영토문제는 대국간 힘의 전이 현상이 배경에 있어 복잡한 정치역학이 작용하는 극히 어려운 문제라는 것이 명백하게 밝혀진다. 그리고 일본정부가 주장하는 고유영토론에 대한 러시아인의 인식을 살펴보면, 북방4도에 대한 일본정부의 ‘고유영토론’ 주장이 얼마나 공허한 것인지 명확해진다. 일본의 ‘고유영 토론’은 독도에 대한 주장에서도 어김없이 등장하는데, 그 주장의 공허함이 같은 이유에서 오버랩 되고 있음을 숨길 수 없다.
        117.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극의 토양 환경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킹조지섬 바톤반도에 위치한 세종기지 주변지역의 토양 성분과 토양을 구성하는 점토광물의 종류 및 분포, 조성을 규명하고자 X선 회절분석 과 습식분석(철의 산화도와 양이온 교환능 측정), 투과전자현미경-전자에너지 손실 분광분석, 전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멕타이트, 일라이트, 카올리나이트, 녹니석이 주 요 점토광물로 함유되어 있으며 석영, 사장석 등의 화산활동 기원 초생광물도 함께 수반되어 나타났 다. 토양 시료의 철 산화도 분포는 대부분의 지점에서 Fe(II)이 20~40%, Fe(III)이 50% 이상 토양 입 자상에 존재하였고, 나노 스케일에서 스멕타이트를 분석했을 때 광물 구조 내 Fe(III)/ΣFe이 약 57% 로 분석되어 전체 토양의 철 산화도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양이온 교환능은 전반적으로 100-300 meq/kg 범위였으며, 시료 채취지점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전체 토양의 전함량 분석 결과, 광물의 주 구성 원소(Mg, K, Na, Al, Fe)는 지점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면, 중금속 원소 (Co, Ni, Cu, Zn, Mn)는 지점별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토양을 구성하는 기반암이 기 본 원소 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남극 지표 토양환경과 토양 내 점토광물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11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독도는 1946년 SCAPIN-677에 의해 일본국 외로 규정되었다. 이 규정은 대일강화조약 등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될 때까지 유효하지만 강화조약은 독도에 대해 아무 것도 규정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 일 양국 정부는 각각 강화조약에 인해 독도는 자국 영토로 됐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약 성립 과정을 살펴보면 조약 공동초안을 작성한 영 · 미 양국은 독도에 대한 견해가 엇갈린 채였다. 따라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독도의 귀속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지 않았던 것이며, 조약은 독도의 법적 지위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았 던 것이다. 일본정부는 이 관점에 서서 독도를 ‘본방(本邦)’의 범위 외로 규정한 법령을 조약 후에 개정하지 않았을 뿐더러 새 법령에서도 독도를 ‘본방’ 외로 규정하였다. 그 후 일본정부는 강화조약에서 일본의 포기가 규정되지 않았던 지역은 당연히 일본에 귀속된다는 논리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독도 외에도 조약에 규정되지 않았던 섬들은 결코 일본 영토로 되지 않았으므로 일본정부의 주장은 성립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사제도, 센카쿠(댜오위다오)제도, 하보마이 · 시코탄 등은 조약에 규정되지 않았지만 일본영토로 결정된 것은 아니다.
        119.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illustrate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Five West Sea Islands, the authors collected vascular plants intensively in Baengnyeongdo and Socheongdo from May 2015 to August 2015. Also, voucher specimens from the previous investigations (Daecheongdo, Yeonpyeongdo and Soyeonpyeongdo) deposited at the Korean National Arboretum (KH) were re-identified. All of them were comprised of 108 families, 420 genera, 728 species, 6 subspecies, 86 varieties and 14 forms, totally 834 taxa. There were 8 endemic taxa, 19 rare taxa, 27 taxa for floristically specific to Korean floral zone except the species of their 1st and 2nd degree, and 107 naturalized taxa among the collected plants. Owing to their unusual phytogeography and low number of populations, the taxa Rosa maximowicziana Regel, Allium anisopodium Ledeb., Bistorta pacifica (Petrov ex Kom.) Kom., Scorzonera austriaca subsp. glabra (Rupr.) Lipsch. & Krasch. ex Lipsch., Iris dichotoma Pall.,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lear that appropriate plants to conserve the natural habitat of the Five West Sea Islands must be made immediately.
        120.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러시아와 일본의 상호관계에서 풀어야 할 당면문제를 다루었다. 당면의 문제란, 일본이 러시아의 불법 점령으로 인하여 러시아 영토의 일부가 된 4개의 섬: 쿠나시르, 이투루프, 시코탄, 하보마이에 대하여 그 섬들은 자신의 고유의 북방영토로 주장하고 있고, 반면에 러시아는 그 섬들은 제2차세계대전의 결과 동맹국들과의 합의에 의해서 러시아가 취득한 영토로 간주하고 있는 문제이다. 당면의 이 문제는 양국이 현재까지 평화협정을 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는 사실과 연관이 있다. 이러한 현실은, 비록 외교관계가 수립되어 있고, 경제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지라도, 러시아와 일본의 완전한 협력관계의 장애가 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 영토문제에 관한 러시아의 전반적인 사회여론을 조명해보고, 동시에, 이 문제의 논의의 과정 속에서 러시아측의 정부관계자, 정치인, 역사학자, 정치학자들이 제시하였고, 제시하고 있는 구체적인 논거를 밝히는 점에 있다. 일련의 학술연구물 및 보도자료에 근거하여 이 논문은 17C부터 시작된 러시아인들과 일본인들에 의한 쿠릴열도 개발의 역사에 초점을 맞추어, 러시아와 일본간의 일련의 협약에 따른 쿠릴열도의 섬들에 대한 양국간의 영토소유권의 이동을 설명하면서, 현재의 영토논쟁을 낳은 원인과 본질을 검토하였다. 논쟁이 되고 있는 이 문제에 대한 러시아정책의 기본입장은 쿠릴열도의 4개의 섬이 일본의 고유영토라고 하는 일본의 주장이 근거가 없고, 러시아, 일본간의 포츠담평화협정이 부당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제2차세계대전의 종전 직후의 소련의 영토배상의 요구는 정당하다고 보고 있다. 소련이 이 문제를 바라보는 주요 시각은 일본은 1951년의 샌프란시스코조약에 따라 쿠릴열도에 관한 모든 권리와 요구를 포기하였다는 점이다. 러시아측은 쿠릴열도 속에 논쟁이 되고 있는 4개의 섬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는 견해이다. 이에 반해, 현재의 일본 정치가들의 발언은 일본은 논쟁이 되고 있는 4개의 섬을 쿠릴열도(千島) 속의 섬으로 결코 간주한 적은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언은 본 논문에서도 제시되었듯이, 의문점으로 남아있다. 그러나 샌프란시스코조약에서 일본이 포기한 섬들이 지명이 명기되어 있지 않았다. 이 점이 조약의 조건을 폭넓게 해석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러시아와 일본 양국의 건설적인 대화를 기대하고 있다. 이것이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결과, 즉, 푸친대통령이 아시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발언하였듯이, 무승부를 의미하는“히키와케”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