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4

        12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상황인식에 기반한 운전능력 측정방법을 알아봄으로써 운전재활 의 임상영역에서 운전 상황에 기반한 평가도구 제작 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 베이스인 Science Direct, PubMed, NDSL을 사용하였고 주요검색 용어로 ‘driving’, ‘situation awareness’, ‘measurement OR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결과 : 운전 상황인식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분석을 한 결과 정지기법(freeze method, 50.0%), 구어분 석방법(verbal probe technique, 20.0%), 운전에러측정(driving error, 10.0%), 운전 행위에 대한 점검 (driving behavior checklist, 10.0%)을 통해 운전 중 상황인식능력을 측정하였다. 운전자의 운전 상황인식 능력 측정에 적용된 도구를 분석한 결과 운전시뮬레이터(driving simulator, 50.0%), 실제 도로주행 코스 (on-road course, 20.0%), 실제 도로주행차량에 시각적 탐지 장치 장착(on-road vehicle with vidual detect task, 10.0%), 모션 시스템이 장착된 운전 시뮬레이터(driving simulator with motion system, 10.0%), 운전 상황 장면(scene)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컴퓨터 화면으로 구연하는 방법(computer based program, 10.0%)을 적용하였다. 결론 : 이번 연구를 통해 운전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예측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 안전운전을 위해 중 요함을 알 수 있었고, 운전재활 임상영역에서도 다양한 운전 상황을 기반으로 하는 상황인식 기반 운전 능력 평가 및 훈련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 상황인식, 운전능력, 체계적 고찰
        4,500원
        122.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글씨쓰기 향상을 위해 다양한 중재방법을 적용한 연구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 연구방법 :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국외학술지에 게제된 논문을 EBSCOhost, SCOPUS, Web of Science, Medline에서 PICO전략을 이용해 검색하였다. 1,2차 분류를 통해 총 7개의 논문이 대상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 결과 : 선정된 논문의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는 모두 270명이었으며, PEDro score는 3점 이상이 기록되었다. 글씨쓰기의 중재로 사용된 방법은 감각기반(sensory-based), 과제지향적(task-oriented), 컴퓨터기반(computerbased) 방법의 3가지로 분류되었다. 글씨쓰기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에는 글자의 명료도, 속도의 변화가 가장 많았고, 그 외 형태, 정렬, 크기가 중재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 결론 : 글씨쓰기의 향상을 위해서는 과제지향적 접근방법이 큰 효과를 보이며 적용되고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중재방법의 종류가 달리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했다.
        4,200원
        123.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imal therapy uses animals, mostly dogs, to aid in healing patients holistically. Dogs have an overwhelming gratitude and exuberance for life and this effect on people is astounding. Furthermore, animal-facilitated therapy has been researched and its effectiveness on patients’ outcomes and healing is documented, yet it continues to be a standing controversial topic in nursing and health care. With a soaring trend of the incorporation of complementary therapies into the mainstream of health care, animal-facilitated therapy has become a popular interest for the health care team to integrate into a patient’s plan of care. This systematic literature summarizes the current research on the use of animal therapy in several patient populations and provides nurs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5,100원
        12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불안장애 아동의 감각자극에 따른 생리학적 반응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논문 검색을 위해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Cochrane library, EBSCOhost, Embase, ScienceDirect, Medline, PsycINFO, Pubmed, Social Sciences Citation Index이었다. 검색대상은 2000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의 국외 학회지에 개제된 논문으로 하였다. 검색어는“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pecific phobias, panic disorder, social anxiety disorde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eparation anxiety, children, pediatric, adolescent, sensory stimuli, sensory response, startle reflex, startle reactivity, auditory, olfactory, visual, vestibular, proprioceptive, tactile, taste, skin conductance response, galvanic skin response, heart rate, beats per minute, heart rate variability, vasomotor activity, electromyography”이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5개이었으며, 연구의 근거 수준은 모두 수준Ⅱ이었다. 결과 : 불안장애 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 감각 자극에 대한 각성이 높게 나타났다. 감각자극에 대해 반응 진폭은 불안장애 아동이 정상아동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반응 잠재기는 짧게 나타났다. 또한 불안장애 아동은 감각 자극에 대해 지연된 습관화의 특징을 보였다. 결론 : 불안장애 아동은 정상 아동과 다른 생리학적 반응을 보였다. 앞으로 불안장애 아동의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하는데 있어 동일한 감각계에 대해 같은 방법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4,200원
        125.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외상성 뇌손상 운전자의 운전능력 측정방법을 분석하고, 운전능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연구방법:2013년 4월∼5월까지 MEDLINE, Ovid, IOS press, OT seeker, Cochrane library, Science Direct 데이터베이스에서 ‘automobile driving (Mesh Term), drive, driver’와 ‘brain injury (Mesh Term), head injury’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10개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포함연구의 근거수준을 살펴보면 Ⅱ는 8개, Ⅲ은 1개, Ⅴ는 1개이었다. Down & Black 기준에 따른 방법론적 질을 살펴보면, 완벽과 우수 연구는 0개, 보통은 3개, 나쁨은 7개이었다. 혼합 연구를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 질적 평가에 따라 분석한 결과, 우수한 수준이었다. 결과:운전능력측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 운전시뮬레이터는 8개의 요소, 자가측정보고는 7개의 요소, 실제도로평가는 6개의 요소로 분석되었다. 요소별 빈도는 보고된 교통사고(13.3%)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운전능력에 관한 자기지각(10.0%)이었다. TBI 운전자의 운전능력을 분석한 결과, 보고되거나 보고되지 않은 교통사고 빈도가 일반 성인이나 CVA 운전자보다 높았고, 위험에 대한 속도는 정형외과 질환을 가진 운전자나 일반 성인보다 느렸다. 또한 TBI 비운전자 및 일반 성인보다 스스로의 운전능력에 대해 높이 평가하였다.결론: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TBI 환자의 운전능력 평가시 다양한 요소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고, TBI 환자의 운전 재개에 있어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훈련 및 전략 관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4,600원
        12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exposure to asbestos for ship repair workers in Korea by a systematic review. The number of articles studying asbestos exposure levels from ship repair workplaces was found to be 4. All asbestos concentration reported as either geometric mean an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or ranges were transformed to arithmetic mean to estimate exposure level. In addition, weighted arithmetic means(WAMs) were calculated by weighing of the different number of samples. The WAM concentrations were 2.746 f/cc during asbestos dismantling work, 0.034 f/cc before asbestos dismantling work and 0.065 f/cc after working respectively. The maximum airborne concentration of asbestos during asbestos removal work was 7.02 f/cc which was 70 times higher than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 of Korea, 0.1 f/cc. This study recommends that retrospective exposure to asbestos based on various ship types and operations should be assessed.
        4,000원
        12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정신보건 작업치료의 대상 진단군, 평가 및 중 내용과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데이터베이스 PubMed, Springer Link, Wiley Journal, Science Direct에서“occupational therapy”,“ mental health”“, mental illness”의검색어로연구를검색하였다. 분석대상연구는총13개로, 질적근거수준은Ⅰ, Ⅱ, Ⅲ, Ⅴ이었다. 결과 : 1. 정신보건 작업치료의 대상자는 치매(30.8%), 정신분열증(15.4%), 공황장애(7.7%), 우울증(7.7%)이었다. 2. 정신보건 작업치료의 내용은 환자중심중재(46.2%)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직업과 교육(23.1%), 일상생활 훈련, 신경인지훈련(15.3%), 환경조정(7.7%) 순이었다. 중재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환경조정을 제외한 환자중심중재(53.6%), 직업훈련과 교육(36.4%), 일상생활활동(30.0%), 신경인지치료 중재(66.7%)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살펴보면, 건강과 웰니스를 측정하는 평가도구가 총 19회(41.3%)로 가장 많이 실시되었고, 작업 수행이 13회(28.3%), 삶의 질이 9회(19.6%), 역할 능력이 4회(8.7%), 참여가 1회(2.1%) 실시되었다. 결론 : 본 체계적 고찰은 정신보건 작업치료의 효과에 관한 근거기반을 마련하였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진단군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중재와 효과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900원
        128.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3년간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을 위해 사용된 중재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근거 자료들을 P(Patient). I(Intervention). C(Comparison). O(Outcome). 방법에 따라 제시하여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 2008년 1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외국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와 MEDLINE을 통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key words)는“(stroke OR CVA) AND (hand OR upper OR shoulder) AND intervention” 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52개의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P.I.C.O. 방법을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을 위해 사용된 중재방법은 20개이었으며, 총 56회 사용되었다. 그 중 강제유도운동치료가 12회(21.48%)로 가장 많았으며, 전기적 치료 10회(17.90%), 양측성상지훈련 7회(12.53%), 근력 운동 및 로봇치료 4회(7.16%), 가상현실 치료 3회(5.37%)이었다. 연구 분석 결과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전기적 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방법의 종류와 빈도를 제시하였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강제유도운동 치료 및 전기적 치료의 중재방법에 대한 근거 논문들을 P.I.C.O.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결과는 임상 치료사들이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치료방법 및 기간, 평가도구를 선택하는데 근거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을 위해 새롭게 개발되어 임상에 소개되는 중재방법과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여, 근거를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는 국내의 뇌졸중 재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100원
        129.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중재를 적용하였을 때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감각통합중재의 객관적인 근거기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주요 검색어는 “sensory integration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sensory integration and autism”, “감각통합중재”, “전반적 발달장애”, “자폐”를 사용하였으며, 대상논문의 범위는 2000년 1월부터 2011년 7월까지로 하였다. ◉ 결과 : 본 연구에 포함된 5편의 논문 중 무작위 실험설계는 1편이었고, 개별 실험설계는 4편이었으며, 종속변수 측정 방법으로는 비디오 녹화를 통한 등간 기록 분석법 4편, 평가도구를 통한 분석법 1편이었다. 무작위 실험연구의 질적 평가를 위하여 CONSORT form 2010을 사용하였으며, 명백한 문항이 36%로 나타났다. 비 무작위 실험연구의 질적 평가에서는 RoBANS를 사용하였고, 평가 결과 4편 모두 비뚤림(bias)의 위험 항목이 높게 나타났다. 모든 논문에서 감각통합중재 이후 문제행동이 감소될 것이라는 가설과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 결론 :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대하여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겠다
        4,500원
        131.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ICF 모델의 분류 기준을 사용하여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의 영역별 사용빈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결과는 건강과 장애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을 위해 작업치료 분야에서 필요한 영역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주요검색 용어는 "occupational therapy AND stroke"을 사용하였으며 ICF 모델이 처음 제시된 2001년부터 2009년 5월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를 사용하여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결과 :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중재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는 37개이었고 사용빈도는 총 69회였다. 신체구조에 대한 평가도구는 없었으며 신체기능에 대한 평가도구의 사용빈도는 37회로 전체 사용빈도의 53.62%를 차지하였다. 활동과 참여에 대한 평가도구의 사용빈도는 32회로 전체 비율의 46.38%이었다. 연구 결과 신체구조를 제외한 영역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그 중 신체기능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과 참여에 대한 평가 중 대부분은 활동에 대한 평가였으며 참여에 대한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중재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를 ICF 모델의 분류 기준에 근거하여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하나의 평가도구가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 세부적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ICF 모델의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건강과 장애에 대한 작업치료의 중재 방향을 알 수 있었다. 건강과 장애에 대한 작업치료의 포괄적인 접근을 위해 참여에 대한 중재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5,100원
        132.
        200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elve species of the genus Yponomeuta Latreille belonging to the family Yponomeutidae in Korea are recognized. Among them, four species, Yponomeuta kanaiellus Matsumura, Y. montanatus Moriuti, Y. sociatus Moriuti, and Y. yanagawanus Matsumura,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dults and genitalia of newly recorded species are illustrated. General biology with host plant records is reviewed for each species. A key to all known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external characters, is provided.
        4,200원
        133.
        202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orest landscape has be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beneficial factors, in regard to facilitating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 forest environ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receding literary works on the correlation between forest landscape and its therapeutic effects and to ponder on key factors of forest landscape that promotes therapeutic results on people’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Literature found in domestic research databases was analyzed and examined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PRISMA)’ process. Six papers out of 1,890 were selected as key literature to support the connection. The quality of forest landscape was found to be an integral environmental factor in determining the healing effects of forests. In particular, several factors, including forest types, aquatic elements within the forest landscape, forest-use density and aesthetic elements of forest landscape were found to be crucial for enhancing the therapeutic effects on people’s wellbeing. Despite the limited sample groups in the analyzed literature, the results offered a significant insight in supporting the healing effects of forests. Further studies on this subject are required to provide more scientific data for verifying the quality of the therapeutic effects of forests.
        134.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1996년부터 2013년 4월까지 국내에서 다루어진 학령기 학생 대상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관련된 연구들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과 관련된 국내 논문 8편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들을 저자, 연구 참여자, 연구 유형, 연구 설계, 독립변인(프로그램 내용),측정 변인, 연구 결과로 나누어 1차 분석하였다. 2차 분석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분석틀에 근거하여 다문화미술 프로그램을 심층 분석하였다.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분석틀은 타당성 확보를 위해 학술지에 발표된 2009개정 다문화 미술교육과정 분석(박순덕, 김영순,2012)과 현장교사들의 다문화미술에 대한 인식(박순덕, 김영순, 2013)연구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2차 분석은 다문화교육, 교수-학습방법, 미술 활동 3개의 큰 범주로 나누고 11개의 하위 요소로 다양성, 문화상대주의, 편견과 차별 감소 교육, 학생 다문화 역량, 다문화학생 배려, 교육과정 재구성, 다양한 수업 방법, 통합교육, 체험, 표현, 감상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