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5

        121.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발정유기 방법의 반복처리에 따른 분만율은 평균 로 나타났고 생시체중에 있어서 자연 발정구와 발정 유기구에서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송아지 육성율은 농가의 사육경험이 많을수록 우수한 경향이었고 발정 동기화의 반복처리가 차기번식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1. 발정 유기구와 자연 발정구에서 출생한 송아지의 생시체중은 암송아지에서 각각 23.9kg, 24.0kg이었고, 수송아지에서 26.2kg, 24.9kg로써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2
        4,000원
        122.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lve into the problems of originality of the artwork by examining issues of reproduction within the contemporary art market. In contemporary arts, especially in terms of art production and consumption, we can’t overlook society and its economic structure and its connection with of capitalism. As the purity of art creation has turned into an exchange value, art, especially an object as artwork, has fallen into the status of production in an economic marketing system. Walter Benjamin mainly referred to that point in his thesis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which originated the sociology of plastic arts. This thesis, published in 1936, traced how the artistic functions of photograph and movie had been changed through the social development. His main concerns were movie and photograph but what I am concentrating from his point of view, is that even in the field of plastic arts, the manufacture of reproduction has been practiced as a primary method within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and development. Though I am referring to this in the main body of this article, reproduction in contemporary art strongly needs a new definition since it has been spread all over like a newest virus, not only by collector’s personal taste or but also by commercial circulations of these reproductions to the public. This relates to Benjamin’s argument about the value of an exhibition at a museum(Ausstellungswert). Since the function of an artwork has been one of cultural industry, the manufacturing of reproduction raises unexpected problems, such as, the originality of the artwork, the value of an exhibition at a museum, its achievement as documentary and as a territory of art criticism. In this point of view, I want to inquire into the value and criteria of an exhibition i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review of the definitions and the intrinsic attributes of reproduction. Somehow in a broad sense, the reproduction is a product coming out of representation or copy (replica) of an original art work or an model. Therefore, the problems it presents differ from the Simulacre, which is an image without an original one. In terms of the Meanings of reproduction, we can distinguish it as reproductions, copies, and productions. These types of reproductions are not the original artworks reflected by the creative intention of the artists. For example, a publishing company reproduced some of lithographs of Salvador Dali in the 1960s. They are commercial copies in the form of representation or reproduction with no artistic and creative intention of the artist. However, In despite of this theoretical basis, reproductions of the famous artists are still displayed without any verification for of the public’s quest for the artworks. Moreover, many commercial companies that are planning to exhibit art works of the world-famous artists only for their profits keep trying to speak ill of and judging by the law the honest art critics’ articles which discuss the true values of exhibition. If freedom of expression is one of the ideals of democracy, even the judgment of the originality of the artworks should be freely expressed.
        5,800원
        124.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PCBs가 칼납자루의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0, 3.4, 9.3 그리고 25.8 μg L-1의 PCBs에 8주 동안 노출 실험한 결과, PCBs에 의한 행동과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대조구와 비교해볼 때 PCBs에 노출된 어류들은 생식소발달, 생식소중량지수 (GSI), 간중량지수 (HSI), 혼인색지수(NCI) 및 산란관지수(OLI)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PCBs
        4,000원
        125.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주식물에 따른 꽃노랑총채벌레의 생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가지, 오이, 고추, 토마토의 잎과 꽃잎에서 꽃노랑총채벌레의 발육기간은 고추 잎에서 6.4일로 가장 길었고, 생존율도 고추 잎에서 67%로 가장 낮았다. 오이의 잎에서 암컷의 수명이 16일로 가장 길었고, 꽃잎에서는 8.1일로 가장 짧았다. 꽃노랑총채벌레 암컷 성충은 가지, 오이, 고추, 토마토 중 토마토 꽃잎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지 성묘의 잎 위치별 부화 유충수는 중위 잎에 가장 많았다. 가지의 잎과 꽃잎에 대한 꽃노랑총채벌레 암컷 성충의 서식 선호성은 꽃잎을 더 선호하였고, 4개 작물(가지, 오이, 고추, 토마토)중 꽃잎에 대한 서식 선호성은 고추에서 가장 높았다.
        4,000원
        126.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give insight into the reproduction potential of the Korean native goat(KNG) doe. The mean age of the first estrus in the KNG doe is 141.24±18.l7 days. The length of the estrous cycle was recorded as being 20.58±2.63 days, with the mean duration of estrous period being 17.8±7.3 to 32.9±1.2 h, and the duration of the post-partum anestrous period being 13.4(9 to 18) to 30.1±3.8 days in the KNG doe. The ages at first delivery are 10 to 12 months(56.3%) in the KNG doe. The KNG does are no restricted breeding season, because estrus and kiddings are observed throughout the year. The mean gestation period of the KNG doe is recorded as being 150.69±6.14 days with parities having no significant effect on gestation length. The mean interval between parturitions in the KNG doe is 207.78±1.72 days with parities and birth type having no significant effect on kidding intervals. The mean litter sizes at birth in the KNG doe are 1.69±0.03 heads, and litter size at birth was affected (P<0.05) by parity. The mean birth weight of kid in the KNG is 2.04±0.30 kg with a variety as being 2.28±0.26, 2.11± 0.30 and 1.64±0.19 kg for singles, twins and triplets over of birth type, respectively. The mean mortality of 635 kids in the KNG is 23±1 % with a variety as being 28±3, 21±2, 16±3 and 46±15 % for singles, twins, triplets and quadruplets of birth type, respectively.
        4,200원
        128.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온조건이 애반및불이(Luciolalateralig)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 유충, 용의 발육기간은 15-3의 범위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참았으며, 1와 35에서는 발육이 되지 많았다. 부화율은 23 93.3%, 91.8%로 23, 에서 부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유충기간은 15에서 341.5 23.2일, 2에서 265.5 17.5일, 에서 250.911.7일이었다. 용기간은 15에서 94.711.5일, 2에서 4179.1일, 에서 18.57.4일이었고, 우화을은 각각 23.3, 89.3, 80.7%이었다. 성충 암컷의 수명은 15에서 18.0일, 2에서 20.4일, 에서 10.7일, 3에서 5.8일이었다. 평균산란수는 다른 온도조건보다 2에서 가장 많았다. 각 태별발육영점온도는 난이 10.6, 유충 14. 그리고 용은 13.1이었고,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214.8, 1,564.8, 229.2일도이었다. 세대당 순증식을은(R ) 23에서 177.19로써 가장 높았고, 내적자연증가율은(r )27에서 0.019로 가장 높았다. 이 결과로써 애반딧불이의 발육과 생식에 적합한 온도는 2에서 이었다.
        4,000원
        129.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에 유입된 해충으로서 시설재배 난을 가해하는 난총채벌레(Dichromorhrips smithi)의 발육생태 및 생식을 구명할 목적으로 온도별 알, 유충, 전용, 용의 발육기간, 성충수명 및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알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은 13에서 44.0일이고, 32에서 8.7일이었다. 온도가 높을수록 짧은 발육기간을 보였다. 알, 유충, 전용, 용, 알에서 우화까지의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9.4, 8.9, 10.5, 10.8, 9.5 그리고 46.1, 90.1, 23.9, 41.2, 204.4일도이었다. 암컷 성충수명은 15에서 28.3일이고 3에서 14.3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으며, 암컷 한 마리당 산란수는 에서 69.3개로 가장 많았다. 내적자연증가율(r )은 3에서 0.241, 1세대당 순증식율(R )은 에서 56.56로 가장 높았다. 결과적으로 난총채벌레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범위는 25-3이었다.
        4,000원
        131.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강나방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15 에서 80.6일, 3에서는 27.3일로 3에서 15보다 약 3배 정도 짧았다. 발육온도의 범위는 15-3이었다. 부화유충에서 성충까지 생존률은 에서 70.6%로 가장 높았다. 암컷 성충의 수명은 15에서 12.3일 그리고 3에서 8.0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다. 암컷 한 마리 당 평균 총 산란수는 에서 816.6개로 가장 많았으나, 3에서는 85.4개로 가장 적었다. 세대순증가율(R )과 내적자연증가율(r )은 에서 각각 913.0, 0.175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멸강나방의 성장에 최적 온도는 =25.로 판단된다
        3,000원
        132.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7 항온조건(60-70% RH, 16L : 8D)에서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2령유충,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1-2령 약충,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난을 먹이충으로 공급하였을 때, 애꽃노린재의 발육, 생존율, 성충수명과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암/수별 약충의 발육기간은 각각 12.2/12.8, 13.0/13.2, 17.9/17.8일로, 꽃노랑총채벌레 2령 유충을 먹이로 공급하였을 경우 가장 짧았다. 애꽃노린재 약충 기간동안 생존율은 각각 96.4, 78.4, 73.8%3-꽃노랑총채벌레 2령 유충을 먹이로 공급하였을 경우 가장 높았다. 암/수의 성충수명은 각각 55.9/51.0, 30.2/30.8, 25.8/ 25.1일로 꽃노랑총채벌레의 2령을 먹이로 공급하였을 경우 가장 길었으며, 암컷 성충의 일일산란 수는 각각 5.6, 4.1및 1.9개였다. 꽃노랑총채벌레를 먹이로 공급하였을 때 애꽃노린재는 우화 후 3-4일 경부터 산란을 시작하여 20-40일 사이에 가장 많이 산란하였고, 일일평균 최대산란수는 7-8 개였다.
        4,000원
        133.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병원성 선충의 대상 해충에 대한 방제효과를 증대시키고 대량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온도와 접종농도가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계통의 꿀벌부채명나방(Calleriamellonella)유충의 감염력과 증식에 미치는 영향 및 노출시간과 토양깊이가 감염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13, 18, 24, 30, 의 온도조건과 꿀벌부채명나방 유충 한 마리당 0, 5, 10, 20, 40, 80, 160마리의 접종농도에서 수행하였다 온도와 접종농도는 모두 S. carpocapsae Pocheon 계통의 꿀벌부채명나방에 대한 감염성과 증식에 영향을 미쳤는데 에서 가장 좋았고, 온도와 접종농도가 증가할수록 치사시간은 단축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S. carpocapsae Pocheon계통은 모든 실험온도에서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을 치사시켰지만 와 에서 발육은 하지 못하였다. S. carpocapsae Pocheon계통이 꿀벌부채명나방 유충 체내에서 증식되어 최초로 탈출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에서 20일 내외로 가장 길었고, 나 에서는 5일 내외로 짧았다. S. carpocapsae Pocheon계통의 증식수는 80마리 농도에서 꿀벌부채명나방 유충 1마리 당 18.8마리로 가장 많았다. S. carpocapsae Pocheon 계통은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에 300마리 농도로 접종하였을 때 10분만에도 침입하였다. 한편 S. carpocapsae Pocheon계통은 모래층의 깊이(0, 2, 5, l0 cm)에 상관없이 마리/ha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에 대하여 100%의 치사율을 보였고, 토양 깊이별 선충의 성비도 차이가 없었으나 정착한 선충의 수는 깊이가 깊을수록 적었다. 따라서 S. carpocapsae Pocheon계통을 이용한 해충방제와 증식은 내외가 적당할 것으로 보이며 토양에서의 처리는 5cm이내에 서식하는 해충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34.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recent reports, the multiple reproductive defects such as cryptorchidism, hypospadias, epididymal cysts, low sperm counts, and testicular cancers are increased in humans, and these changes were doubted by the chemicals with estrogenic or antiandrogenic activities in our environment. To compare the effects of neonatal exposure of di (n-butyl) phthalate and flutamide on the development of reproductive organs and to identify the specific mechanisms of these abnormalities related to the male reproducton, Sprague-Dawley neonate male rats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during 5-14 days after birth with corn oil (control), flutamide (0.05, 0.1, and 0.5 mg/animal) and DBP (5, 10, and 20 mg/animal). Animals were killed at 31 (immature) and 42 (pubertal) days of age respectively and blood was collected from abdominal aorta for serum testosterone analysis. Testes, epididymides, seminal vesicles, ventral prostate, levator ani plus bulbocavernosus muscle (LABC), cowpers glands and glans penis were weighed. Expression of steroid hormone receptors (AR and ER) was examined in the testes and ventral prostate. At 31 days of age, ventral prostate, seminal vesicles, LABC, and cowpers gland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lutamide (0.5 mg/animal) and DBP (20 mg/animal), but serum testosterone levels were not changed. Flutamide slightly delayed the testes descent at the high dose (0.5 mg/animal), but DB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testes descent at all doses. DBP and flutamid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AR protein in the testes but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ERa and ER protein in the testes. At 42 days of age, ventral prostate, seminal vesicles, and cowpers glands weights were still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high dose of flutamide (0.5 mg/animal) and DBP (20 mg/animal), but the weights of testes and epididymides were not different. Serum testosterone decreased significantly in DBP treated animals and slightly, not significantly, in flutamide group. While DBP stil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AR protein in testis, flutamide recovered from downregulation of AR protein and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ERa and ER protein in the testes. Based on these results, flutamide and DBP have shown several similar patterns in reproductive abnormalitis, but some marked differences which may be caused by different acting mechanism.
        136.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박과 작물에 주로 발생하는 목화바둑명나방에 대하여 여러 기주식물들이 생물학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식이와 산란선호도는 오이와 호박이 수박, 참외, 멜론보다 높게 나타났다. 알과 유충기간은 수박과 오이에서 참외, 멜론과 호박에서 보다 더 짧았다. 번데기 기간은 수박, 멜론, 호박, 참외에서 오이보다 짧았다. 부화율은 오이에서 87.2%로 가장 높았고 멜론에서 72.8%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용화율은 수박과 참외에서 각각 90.0%, 89.1%로 62.0%인 오이에서 보다 높았으며, 우화율은 오이와 호박에서 각각 93.5, 92%로 78.7%인 참외에서 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그리고, 부화에서 우화까지의 생존율은 수박에서 76.0%로 가장 높았으며 오이에서 50.0%로 가장 낮았다. 성충기간은 오이에서 15.5일로 가장 짧았고 멜론에서 21.0일로 가장 길었다. 암컷 한마리당 평균 산란수는 오이에서 281.8개로 가장 많았으며 참외에서 96.6개로 가장 적었다. 그리고, 암컷 성충의 생존기간은 오이에서 30.0일로 가장 길었으며, 호박에서 17.0일로 가장 짧게 나타났다. 산란전기간은 수박에서 2.1일로 짧았고, 참외와 멜론에서 3.4일로 길었다. 그리고 1세대에 요하는 평균기간(T)은 오이에서 41.30일로 가장 짧았지만, 다른 기주식물들과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1 세대당 순증식율(R )은 오이에서 191.3으로 가장 높았으며, 내적자연증가율(r )도 오이에서 0.127로 다른 기주식물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각기 다른 기주식물을 섭식한 목화바둑명나방의 생명표 분석을 통하여 나타났듯이, 이 곤충의 증식에 적합한 기주식물은 오이와 호박인 것으로 나타났다.geable fraction과 carbonate fraction에서의 추출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대해서는 북한지역의 분포상황을 밝혔다.것을 알 수 있었으며, 크롬과 비소의 경우는 초기에 많이 용출되고, 구리의 경우는 꾸준히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년 된 통나무집이 8년 된 통나무집보다. 용출양이 더 컸으며, 이는 CCA성분이 초기에 많이 용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Hep3B에서는 부탄을 분획물 (1 mg/mL)에서 82%의 비교적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137.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홍날개들명나방(Udea ferrugalis)의 온도별(10, 15, 18, 20, 23, 25, 27, 3)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은도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난, 유충, 용기간은 고온에서 짧은 경향이었고, 1에서는 난과 용 발육은 완료되지 않았다. 각 태별 발육영접온도는 난이 9.5, 유충 9.6 그리고 용은 11.9이었고,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87.9, 200.9, 119.7일도이었다. 산란전기간과 성충수명은 15에서 10.9일, 25.2일이었으나, 23에서는 2.5일, 7.3일, 3에서는 1.7일, 5.3일로써 온도가 높아질수록 그 기간이 짧았다. 평균산란수는 2와 23에서 가장 많았다. 세대당 순증식율은 (Ro) 2에서 265.4로써 가장 높았고, 내적자연증가율은(r ) 에서 0.247로 가장 높았다. 이 결과로써 주흥날개들명나방의 발육과 생식에 적합한 온도는 2에서 23이었다.
        4,000원
        139.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물바구미의 생식과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2에서 3사이의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20, 25, 3에서 산란전기간은 5월에 채집한 월동성충보다 3월에 채집한 충에서 길었다. 그러나 같은 온도조건에서 산란기간은 3월에 채집한 월동성충보다 5월에 채집된 충이 길었다. (16.9일, 22.0일).산란기간이 긴 5월 채집충이 산란수도 많은 결과를 가져왔다. 난기간은 15.1일(2)에서 4.5일(3)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고, 그리고 부화율은 27에서(100%) 가장 높았다. 난부터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았다, 2에서 77.9일, 3에서 38.3일이었다. 난 발육영점온도(T)와 유효적산온도(K)는 각각 16.3와 62.1일도이었다. 난에서 성충우화까지는 각각 13.9와 577.6일도이었다. 제1세대 성충은 2에서 산란하지 못하였고, 와 3에서는 산란하였다. 내적자연증가율(r )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되었다. 1세대당 순증식율(Ro)은 에서 가장 높았다(75.3).
        4,000원
        140.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강나방의 발육과 생식에 먹이(옥수수잎, 벼잎, 배추잎,양배추잎, 콩잎 그리고 누에인공사료)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과 번데기기간은 먹이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나, 유충기간은 유의성이 있었다. 총발육기간(알에서 성충까지)은 옥수수잎에서 32.5일로 가장 짧았고 콩잎에서 46.6일로 가장 길었다. 부화 후 16일째의 유충 무게는 벼잎과 누에인공사료에서 무거웠던 반면, 고구마잎과 양배추잎에서는 가벼웠고 용화하지 못했다. 번데기 무게는 벼잎에서 가장 무거웠다. 부화유충에서 성충까지의 생존율은 옥수수잎에서 70.6%로 가장 높았고, 콩잎에서 39.8%로 가장 낮았다. 암컷 성충의 수명은 먹이간에 큰차이는 없었다. 암컷 한 마리당 평균 총산란수는 벼잎, 옥수수및, 누에인공사료에서 사육한 경우가 배추및, 콩잎보다 많았다. 1세대 순증가율(R)은 누에인공사료에서 1218.5로 가장 높았으며, 내적자연증가율(R)의 범위는 0.115-0.175로 옥수수잎에서 가장 높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