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7

        141.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과업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들을 위한 교육연수의 교육내용으로 우선 요구되는 과업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2018학년 도 서울특별시 초등학교에 진로전담교사로 배치된 583명의 교사이다. 연구자료는 Jeong et al.(2017)이 제시한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과업에 근거하여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여 수집되었 다. 수집된 자료는 교육요구도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를 위한 교육연수의 교육내용으로 우선 요구되는 과업은 진로교육 관련 시 수 편성 및 학년 진로교육과정 방법 안내, 진로교육 수업자료 또는 정보 제공, 진로심리검사 결과 해석 방법 연수, 학생 진로상담 지원, 진로체험 예산 확보, 지역사회 네트워크 관리, 지역사회 진로 체험처 선정, 지역사회 진로체험처 프로그램 협의 방법 등이다. 둘째, 진로전담교사가 교육연수의 교육내용으로 다루기를 희망하는 과업은 여타 다른 방법을 통해서도 해결할 수 있는 과업과는 달 랐다. 연구결론에 따른 시사점도 제시되었다.
        142.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케어링이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운동지속에 미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방법: 피트니스센터 참여자 297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랩핑 방법을 통해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모형에 대한 간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케어링 → 자율성 → 경향성, 케어링 → 자율성 → 강화성, 케어링 → 유능성 → 가능성, 케어링 → 관계성 → 강화 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존재하였으므로 케어링은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운동지속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케어링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심리적 변화과정이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이루어짐 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지도자를 위한 효율적인 케어링 지도법 개발 시 기본심리욕구 향상을 위한 전략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143.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teorological factors and air pollutants are associated with respiratory diseases, and appropriate use of weather and air quality information is helpful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uch diseas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both the utilization of weather and air quality information by, and the needs of,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12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60.7% of whom were female. The rates of bronchial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ong patients were 67.0% and 10.7%, respectively. The majority of subjects (90%) responded that prevention was important for respiratory disease management and indicated that they used weather and air quality information either every day or occasionally. However, respondents underestimated the importance of weather and air quality information for disease management and were unaware of some types of weather information. The subjects agreed that respiratory diseases were sensitive to weather and air quality. The most important weather-related factors were diurnal temperature range, minimum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wind, while those for air quality were particulate matter and Asian dust. Information was gleaned mainly from television programs in patients aged 60 years and older and from smartphone applications for those below 60 years of age. The subjects desired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respiratory diseases.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regarding the utility of weather and air quality information currently available for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who indicated that they desired diseas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action plans, rather than simple health- and air quality-related inform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notification services that can be used to easily obtain information, specifically regarding disease management.
        14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의 자녀 외가방문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여 향후 결혼이민가정 자녀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녀 외가방문의 목적과 베트남에서 경험해야 할 활동에 대한 결혼이민여성들의 인식을 살펴봤다. 연구대상은 한국여성재단 2013 ~ 2014년도 다문화아동 외가방문 지원사업에 지원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151명의 지원신청서이다. 연구결과,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의 자녀 외가방문의 목적은 첫째, 베트남 문화와 언어에 관심 갖고 학습하기를 바람, 둘째, 외가가족을 만나 서로 사랑하기를 바람, 셋째, 다문화가정의 자녀로서 자긍심 갖기를 바람, 넷째, 엄마를 좋아하고 이해하기를 바람, 다섯째, 한국에서의 일상생활에 감사한 마음을 갖기를 바람, 여섯째, 한국과 베트남의 발전에 기여하는 인재로 성장하기를 바람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이 자녀들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험은 첫째, 베트남 문화체험, 둘째, 외가가족과의 유대감 형성, 셋째, 엄마의 어린 시절 경험 공유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의 엄마와 자녀들이 외가가족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엄마나라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에 국가적 지원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145.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오염시설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이하:통합법)이 입법화되고 이에 따른 통합환경관리제도가 2017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전통적으로 대기, 수질, 등 매체 별로 관리하던 기존 인허가 체계가 통합 허가 체계로 변경되었다. 이러한 통합환경관리제도의 핵심인 BAT(최적가용기법)이란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설계・설치・운영 및 관리에 관한 환경관리기법으로 오염물질 등의 배출을 가정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기술적・경제적으로 적용가능한 관리기법을 말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산업체의 관련기술 개발과 경제성 확보를 위한 공정기술 개발이 관건이나 이에 대한 준비가 현실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최적가용기법(BAT)의 산업체 보급을 위해 관련된 기술의 연구개발이 정부적 차원에서 시급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BAT 적용의 첫 단계로써 국내외 소각시설을 중심으로 기술개발 현황을 파악하고 최적가용기법(BAT) 개발 및 적용을 위한 R&D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146.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초임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과 그에 대한 유치원 초임교사의 인식수준을 살펴보고, 그들의 직무역량 향상에 대한 정책 수립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9개 역량영역과 18개 역량군의 유치원 초임교사 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직무역량과 지 원의 중요도와 보유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최우선순위 직 무역량은 생활지도의 부적응지도, 생활지도의 생활습관지도, 교육과정운영의 교수활동으로 나타 났다. 유치원 초임교사의 지원요구가 높게 나타난 지원 사항은 양성과정에서의 실무연수 강화, 멘 토링, 입직 후 직무안내 및 교육, 교육활동을 위한 시간적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제언으로 첫째, 유치원 초임교사의 직무역량 중요도에 비해 보유도가 낮은 원인을 분석 하여 직무역량 교육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최우선순위 교육 요구 직무역량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 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현장에서의 유치원 초임교사의 효과적인 입직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입직교육 관련 정책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직원 인력배치, 교 사경력단계별 적정학급규모, 근무시간에 대한 지원 요구도가 높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교원의 인 권보장에 대한 법리적 문제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147.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ient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du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ost regulations did not give direct roles and duty to client in construction industry.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construction workers wh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the clients and constructors chose contractor the most. Safety managers and supervisors chose client the mo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safety and health centered on the client in order to prevent fundamental disasters.
        148.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학교장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학교장의 직무 및 직무역량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중등학교 학교장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에 대해서도 탐구하였다. 문헌분석 및 전문가 FGI를 통해 기본 역량 17개와 전문 역량 24개, 총 41개의 직무역량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역량들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현직 중 등 교장 및 교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 수는 729명으로, 중학교 대상 수는 452명, 고등학교 대상 수는 277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형을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본 역량에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간 도출된 역량들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사회변화에 대한 예측 및 대응과 관련된 역량들이 도출되었다. 전문 역량에서도 중학교 와 고등학교 간 도출된 역량들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고등학교 대상에서는 추가적으로 조직 개발 및 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학교경영 실행 및 평가능력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실 제 학교장의 직무역량을 분석하고자 한 점에서 교장양성교육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학교구성원들의 의견 반영 및 심층면담 등 을 통해 학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풍성한 논의를 이어가기를 기대한다
        149.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wareness and needs for care farming in South Korea. A questionnaire that includes 20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answered by the 1,302 respondents who lived in the six cities such as Seoul, Incheon, Daejeon, Daegu, Ulsan, and Gwangju in the period of October 2016. The respondents who were aged over 20 years were recruited b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s the results, 50.4% and 40.1% of the respondents reported ‘Know nothing’ and ‘Know of care farming’, respectively. The experience for participating in care farming was low (29.0%). The purposes of participating in care farming reported as experience (31.4%), leisure (25.0%), and education (21.0%). Frequency of visiting for care farming complex was daily (44.3%) and 1 night 2days-3nights 4days (32.9%). Moreover, 67.7% of potential consumers had intention of paying the care farming fee. The acceptable fee reported as an average 11,339 won per day. In addition, needs for care farming complex was very high in the respondents with or without disease. The present study is anticipated to support the needs for care farming complex and provides reference data for administers in care farming.
        150.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역량기반의 교육요구분석과 관련한 연구에서 예비교사와 같이 아직 현장 경험이 충분하지 못한 대상자에게까지 연구대상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나, 교육요구 파악을 위 한 우선순위결정방안은 기존의 경험이 풍부한 대상자에게 적용했던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에 배경지식과 경험의 정도에 따라 보다 타당한 교 육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정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험학습자라고 할 수 있는 현직교사와 아직 교직경험이 없는 미경험학습자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현직교사와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스마트교원역량의 중요도에 대한 순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 13개 역량 중 10개 의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기존에 교육요구분석에서 사 용되었던 대응표본 t 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하여 스마트 교원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비교사의 경우 창의적 문제해결, 내용전문성, 대외협력관계 형성의 순으로 나타났고, 현직교사들은 대외협력관계 형성, 평가 및 성찰, 수업설 계 및 개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동일한 역량에 대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간 큰 인식차이 가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결과로, 이는 역량에 대한 중요도 판정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요구분석에서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이 결과해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 과 미경험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요구분석에 보다 적합한 모델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151.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est visiting frequency level is likely to indirectly affect the preferences and needs of the program. The forest visiting frequency degree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can affect the development and conduct of the program. Therefore, forest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of visits. First, after examining the frequency of forest visits degre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group of 217 people visiting the forest at least once a week or a month was classified as a high-frequency group. The group of 403 people visiting the forest at least once a quarter or a year and almost no visit was classified as a low-frequency group. The ne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visits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by use of SPSS 21.0 program.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Implementation period, season, paid the participation fee mad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visit. This study, as an exploratory research, making us understand the needs related to forest healing program for the forest visit groups of high and low frequencies, will be an important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orest therapy program.
        152.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Using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his study examined both the mediating effects and the specific indirect effects of the satisfaction of the three psychological needs (need fo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nd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need support from the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 and engagement in PE classes. Method: Participants were 523 high school students (251 males, 272 females) and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perceived need support, need satisfac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PE classes. Resul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perceptions of the three need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need support from PE teacher and engagement in classes. Moreover, the indirect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was larger than those of the three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 teacher is able to promot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by satisfying their needs fo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e findings supported the theoretical tene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s well.
        153.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회 변화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전문적인 학생상담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독 문제에 대한 학교의 상담역량 개발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인터넷·게임을 포함한 청소년의 인터넷 및 게임 중독관련 상담 정책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 및 게임 중독 결정 요인과 인터넷·게임중독예방을 위한 전문상담교사와 교사 훈련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청소년들의 인터넷 및 게임 중독에는 자기관련 변인과 정서변인 등 심리적 구인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학교 교사를 위한 상담역량 개발 연수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해 보면 다양한 상담 기법과 실용적 교육내용을 포괄하는 교원 연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문가 의견 수렴 방식인 델파이 패널 조사를 활용하여 미디어 중독과 관련된 교원 연수, 학교 현장과 기관의 역할 및 비전 등에 관해 학교 교사와 상담사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우선 추진 요구과제로 교사 및 상담원 등 일선 학교에서의 실무자들은 미디어 중독 학생들을 위한 구체적 상담기법이나 교육법, 대처법 등 실용적인 교육내용 제공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교원 연수 프로그램에서도 대부분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내용으로 좀 더 확대하거나 유지시킬 것이 요구된다. 연수 프로그램 내용구성 외에도 교사·상담사들은 담당기관과 기구의 정책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특히 중독 학생들에 대한 단발성 상담이 아닌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추수 관리와 현실과 괴리되지 않도록 상담 장면과 삶의 연계성 유지 등을 통해 상담의 내실화를 꾀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156.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게임 이용자들이 게임에 과몰입하게 되는 심리적 욕구나 욕망을 보다 정교한 방식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기존 게임 과몰입의 영향 변수들과 더불어 치유적 카타르시스와 자아 효능감 이론을 적용하여 온라인 게임 이용자 489명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한 결과 치유적 카타르시스와 게임 자아 효능감 요인이 게임의 중독적 현상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게임 이용자들이 현실이 야기한 결핍과 불충족된 욕구에 대한 방어기제를 작동시키면서 암묵적인 자아 치유를 위해 게임에 더욱 과몰입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게임 이용이 게임 과몰입으로 이어지는 내면의 심리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157.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urists travel demand can be divided into the watch the natural landscape, such as shopping, entertainment and other projects. Each travel demand with motivation for meet the requirements of appropriate tourism space environment in order to complete. In this paper, through questionnaire investigation and S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for the basic attributes of shopping tourist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pedestrian street. And analyzes the basic attributes of shopping as the main demand of tourists characteristics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uitable shopping demand,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the design of tourist shopping space.
        158.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체육교사의 기본적 심리욕구가 체조학습 내적동기 및 목표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J시에 거주하는 사범대학생과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체육대학 학생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84부를 연구목적에 맞게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적 심리욕구의 하위요인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은 체조학습 내적동기의 흥미와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조학습 내적동기의 하위요인인 흥미, 노력은 목표성향의 과제성향과 자기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본적 심리욕구 하위요인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은 목표성향의 과제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159.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택지개발지구조경은 유난히 시공과정에 대한 관심이 높다. 최 근에는 입주자들이 웹 커뮤니티에서 적극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문제점을 같이 논의하는 등 다양한 담론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 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네이버에 있는 ‘광교신도시 입주자 총 연합회’ 게시판에 나타난 조경관련 게시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시글은 호수․하천과 시설물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다. 이는 광교신도시의 조경공사에서 호수와 생태하천의 높은 비중을 보여준다. 휴게, 놀이, 운동, 편익 등의 기능을 가진 시설물 또한 조 경 공간에서 가장 눈에 잘 띄기에 이에 대한 게시글 비중이 높은 것 을 판단된다. 내용적으로는 질적 수준에 대한 관심이 많았고, 환경 적 영향과 하자․부실에 대한 우려가 뒤를 이었다. 둘째, 게시글의 동기별, 시공영역별로 다른 이용자들의 호응도 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게시 동기별로는 문제제기성 글에 대한 호응도가 높았다. 특히 건축물에 대한 게시글에 호응도가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광교신도시 시공과정에서 공원화장실이 혐 오시설의 대상이 되어 그 위치와 외형을 두고 민원이 속출했던 것 을 잘 드러내는 결과로 해석된다. 셋째, 게시글을 시공영역별로 구분한 결과 건축물은 감정적 비 판이 많았고, 그 외는 모두 문제점 지적이 많았다. 그러나 상대적으 로 비교해 보면, 포장은 문제점 지적, 식재는 타 사례 비교가 많았다. 포장의 경우 가장 손쉽게 그 편리성과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기에 문제점 지적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식재의 경우 다른 비교대상 보다 타사례 비교율이 높은 것은, 이용자 입장에서 조경 소재 중 ‘나 무’에 대한 이해도가 비교적 높아 다른 사례지와 손쉽게 비교된 것 으로 판단된다. 그러한 비교가 객관적․합리적인 점도 있었으나, 수 목의 기능보다는 가격이나 이미지에 많이 치중하는 경향이 일부 관 찰된 점은 다소 우려스러운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반적으로 타 조경 사례지와 구분된 택지개 발지구 이용자들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준 것으로 판단된다. 입주자 들의 다양한 반응은 다른 공원녹지와 달리 그들의 생활환경이라는 점과 분양받은 아파트와 관련하여 자산가치의 연장선상에서 생각 하고 판단한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따라서 웹 커뮤니티의 게시글은 그 글의 공공성을 가려, 선택적 으로 수용할 필요성이 있다. 아울러 이용자들의 주된 관심이 어디 에 집중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행정적인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1개 사례지의 입주자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다양한 연구자들의 추가 연구로, 이에 대한 확인과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160.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시의 범죄취약지역에서 거주자(주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계획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주요 차별성은 서비스디자인방법론과 통계방법론을 혼합한 새로운 방법론적 플랫폼을 통하여 기존 연구들이 가지는 방법론적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점과 이를 통해 시민의식기반의 영향요인을 좀 더 세밀하게 규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서비스디자인방법론인 이용자여정지도(User Journey Map)와 표적집단면접법(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한 목표 계층 거주자의 심층인터뷰 등의 기법과 기존의 전통적 통계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한 PLS-회귀분석을 혼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범죄취약지역에서의 주민들이 원하는 핵심적인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도출하고 개선사업을 위한 우선순위를 밝힐 수 있었다. 범죄발생 및 두려움에 대한 취약성 요인은 범죄유형 특성과 인구·사회적 특성, 물리적 환경특성, 심리·행태적 특성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CCTV와 가로등의 사각지대와 막다른 길과 공간, 야간 누군가 튀어나올 것 같은 걱정(두려움), 야간 골목길의 전반적인 어두움, 열악한 보행환경, 산책 및 주민소통 공간의 부족 등이 해당 대상지역의 주민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핵심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지역의 인구·사회적 특성요인인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걱정(두려움)요인은 예상과는 달리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사업대상지역에서의 막다른 길과 공간요인은 CPTED의 디자인기법으로 활용되어온 Cul-de-sac 설계개념과는 다르게 위험한 환경특성 요인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한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디자인 기회요소로서의 인식과 세부 계획요인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