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0

        164.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동계레져스포츠 참가자의 동계레져스포츠 참가자의 개인적 특성과 배경적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운동참가동기와 운동몰입경험 그리고 자기관리의 변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시, 대전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동계레져스포츠 참여자 7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표집을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유효 표본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요인별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신뢰도분석(reliability)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동계레져스포츠 참가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인과모형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mos Version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신체적인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스케이트종목과 미혼자 그리고 자영업에서 신체적인 만족의 정도가 높았으며, 휴식적인 만족은 스키종목에서 여성과 기혼자 그리고 50대이상의 전문직종사자가 높았으며, 남자는 스키종목을 통하여 사회활동만족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계레져스포츠 배경적 특성에서 연중 7회이상 스키장을 방문하는 4년~5년의 운동경력자가 높은 신체적인 만족을 느끼고 있었으며, 6년이상 운동경력으로 1박2일 동안 가족과 함께 다녀가는 집단에서 휴식적인 만족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중급이상의 스키실력으로 동료와 함께 동계레져스포츠에 참여하는 집단에서 사회활동 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동계레져스포츠 참가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인과모형 검증에서 초기에 설정된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높이기 위하여 고유행동관리의 변인을 제거하고 참여빈도관리 변인과 건강지향 변인을 공분산 처리하여 적합도 평가기준에 충족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자기관리요인과 몰입경험요인은 생활만족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매개변인으로 판명되었다. 넷째, 동계레져스포츠 참가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참가동기의 하위변인은 자기관리요인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운동몰입경험은 신체적인 만족과 휴식적인 만족 그리고 사회활동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므로 운동몰입경험이 높아질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165.
        200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뇌호흡 수련에 따른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레이븐 유사도형 구분과제’ 수행시의 뇌파를 통한 두뇌 활성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성노인 3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각각 19명씩을 배정하고, 실험집단에게 12주간, 주 3회, 회당 60분간의 뇌호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후 총 2차례의 측정을 통해 집단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뇌파 측정부위는 10/20 국제 전극배치법에 의해 Fp1, Fp2의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고 과제 수행시의 실시간 활성뇌파를 측정하였다.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repeated measure two way ANOVA) 결과, 주파수 대역별 뇌파는 쾌적한 두뇌상태를 의미하는 알파파 그리고 주의집중과 관련된 SMR파와 M-Beta파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생활만족도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뇌호흡 수련이 여성노인들의 둔감했던 뇌를 자극하여 효율적인 상태로 활성화시킴으로써 인지능력 향상을 유도하였다. 또한 긍정적 정서유발을 촉진시켜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여성노인들의 정서와 뇌 건강증진을 위한 유익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166.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tried to present some basic data necessary to give effective support to urban retirees who already returned to the farm by looking into factors effecting on their adjustments to the lives before they returned to the farm and after they did so to know how well they adapt to the rural lives. For the purpose, we made a survey of 408 returners to the farm over the age of 50 for 6 days from October 18 to October 23 in 2004 using questionaires.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the rural life occurred by the sociological demographic changes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 'subjective economic ability' and 'previous job'. Second,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the rural lift which was taken place by the reasons before they moved to the farm is effected considerably by what made them decide to return to the farm first whether they prepared for it or not and how much money they have to do so. Therefore, to succeed in adjustment to the rural lives, their decision should be made by positive causes, they have to prepare concretely for it before they carry out their plans and they had better have enough money to move. Third,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the rural life occurred by the reasons after they moved to the farm is effected by 'satisfaction with the forming information', 'the number of friends or neighbors', 'the frequency of meeting the friendly', 'the level of intimacy with neighbors' and 'their efforts to improve the relations with other residents'. And the sensitiveness to perceive the inconvenience according to the rural life is related strongly to the satisfaction with the rural life in the above 6 areas. Fourth, the repression analysis implemented to find how much the above 3 factors effect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rural life shows that it is 'returner's current health condition', 'farming education', 'farming fund' and 'effort to be intimate with other residents' that are very important.
        167.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rticultural activity is the one of the most effective recreations due to plenty of advantages. To most of the elderly generation, for instance, it is the familiar activity as well as productive activity, leading to satisfaction by providing an environment for social interaction.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positive results such as memory restoration and emotional stabilization come from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assessment of horticultural activity as a recreation for the solitude elderly female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isol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life. Eight women between 65 and 75 year old were investigated every once a week from March, 18, to October, 28, 2003. Data was collected from UCLA solitude level, the aged life satisfaction, and horticultural activity evaluation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10.0 and paired t-test was used. As a result, the solitude level was decreased from 52 to 45 with the significance at 0.035(<α=0.05)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increased from 32 to 38 with the significance at 0.022(<α=0.05).
        168.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가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참여정도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차이 및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생활체육 테니스의 참여 기회확대와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2년 서울시 S구 소재의 생활체육 테니스 시설을 중심으로 테니스 활동에 참가하는 만20세 이상 성인을 모집단으로 무선표집된 10개소 테니스 시설에서 총 300명을 집락표집(cluster sampling) 하여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참여정도에 따른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각 변인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여가만족에서는 남자가 신체적, 사회?교육적, 환경적 요인이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에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신체적 요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연령 집단에서 사회?교육적 요인, 환경적, 휴식적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수준에서 신체적 요인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만족 요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입에서는 고수입 집단이 신체적, 사회?교육적, 휴식적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은 높고 수입이 많은 집단에서 생활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정도에 따른 여가만족에서는 참여기간이 증가할수록 사회?교육적, 환경적, 휴식적 요인이, 참여시간에서는 참여시간이 증가할수록 신체적, 사회?교육적, 환경적, 휴식적 요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여가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 관계에서는, 사회?교육적, 환경적 요인이 생활만족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참여정도(기간, 빈도, 시간)에 따른 생활만족에서는 참여기간, 참여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기간과 참여시간은 각각 기간과 시간이 증가할수록 생활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다수의 선행연구 결과들의 차이는 변인 및 요인의 다양성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참여정도와 생활만족의 관계를 설명하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고, 생활만족에 관련한 변인과 하위 요인을 정확히 측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와 일관성 있는 결과들이 지속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169.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교운동부 및 스포츠동아리 소속 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인생의 목적의식과 만족도간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서 대학교 운동부 18개 팀과 스포츠 동아리 16개 팀에 소속하는 남자부원 447명을 대상으로 佐藤(1985)의 인생의 목적척도와 5항목의 만족도 설문을 실시했다. 인생의 목적척도 득점의 전체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치보다 높은 독점의 피험자들을 상위군, 낮은 득점의 피험자들을 하위군으로 분류했다. 또한, 운동부 집단과 동아리 집단은 그 성격이 다르므로, 각 군의 만족도 득점을 2(인생의 목적상위군, 하위군)×2(운동부, 동아리)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생의 목적의식이 높은 성원들은 낮은 성원들보다 운동기능 향상의 기회와 연습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의 운동기능, 팀의 운동기능, 운동부에서의 생활에서 코치, 부원, 그리고 일반적인 모든 면에 관한 만족도는 운동부 소속성원들의 경우 목적의식의 정도에 따른 차이가 없지만, 동아리 소속성원들은 인생의 목적의식이 높은 성원들이 낮은 성원들보다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운동부와 스포츠 동아리 성원들의 만족도는 인생의 목적의식이 높을수록 높으며, 이러한 경향은 집단의 특성과 만족도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는 결론을 얻었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