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balone aquaculture has been very rapidly developed in Korea. Annual production quantity was less 200 tons before 2000th, it have been increased to over 9,000 tons in 2014. Also Abalone export amounts have been over 20 million dollars. The reason of rapid growth of Abalone aquaculture in Korea is due to high level profit ratio. Then now many fishing officers and other aquaculture fishers want to participate with abalone aquaculture newly. However Recent Abalone aquaculture in Korea is faced some problems. Aspects of production environmental status of fishing grounds are more aggravate, and then abalone aquaculture is exposed to various disease, and death rate of young abalone is higher. And aspect of management, the aquaculture cost is more increase. The demand of abalone also is depressing recently, this cause to come down the production price. In this viewpoint, Management analysis of abalone aquaculture in Korea is helpful for decision making of general aquaculture fisher want to participate newly. The analysis is practiced two aspects. One is index analysis, and the other is Break-even-point(BEP) analysis. The result of index analysis, average net profit rate has shown 28.0%, however the Regional difference has excessive. That is, Wando(major) has shown 39.4%, and Haenam province has shown 14.2%. On the other hand, the more scale has shown higher profit rate by aquaculture scale. And the result of BEP analysis, average has shown 93 cage number per abalone aquaculture household, and Wando(major) has shown 56 cage number, Haenam province has shown 131 cage number. The lower production abalone price of recent means higher BEP level.
        5,100원
        3.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지역은 우리나라 국화 재배의 중심지로 1960년대부터 국화 재배를 시작하여 전국에서 가장 먼저 국 화 재배를 도입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과거 경남지역 국화농가의 소득률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 로 높았으나 최근에는 지속적으로 약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남지역 국화농가의 소득률을 분석하여 소득률이 저하되는 원인을 찾는 데 있다. 분석 결과, 조수입보다는 경영비 측면에서의 원인으로 소득률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비 가운데에서도 특히 유가 변화에 영향을 받는 광열동 력비의 변화에 따라 소득률이 큰 폭으로 변화하였다. 경남지역을 포함한 우리나라 국화농가의 경우, 유가 (면세유 기준)가 리터당 700원 이상이 되면 소득률이 크게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석유류와 곡류 가격 상승으로 버섯 생산비는 계속 증가추세에 있다. 하지만 버섯 가격은 점차 하락하거나 보합세를 유지하는 추세이다. 농가는 살아남기 위하여 경영비를 절감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국가 또는 공공기관이나 단체가 해야 할 일과 개인 농가가 실천하고 노력해야 하는 일이 있다. 경영비 절감방안으로 로열티 대응 국산품종개발, 국산배지자원 개발과 배지자원 수입선 다변화, 농협 등 공공기관에 의한 배지자원 확보로 안정적 농가보급 시스템 구축, 종균제조 및 재배 자동화, 경유보일러 살균기를 전기 보일러 살균기로의 전환, 에너지 절감용 레미콘 발효통을 이용한 배지발효 봉지재배, 폐배지의 가축사료화 및 유기질 비료화, 소비촉진, 수출증대 등이다. 버섯산업의 문제점과 다양한 방안은 상호 깊은 연관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가칭 “버섯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이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