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루터의 만인사제설은 일반 시민도 사제가 된다는 믿음을 성경을 통하여 확인 시켜 주었다. 김흥호는 목사들이 가졌던 세속적 권리를 포기했다. 김흥호는 다석을 만나 후에 35세에 시간 제단 즉 가온찍기라는 근본 체험을 한 후에 한 끼만을 먹는 약속을 하나님에게 했으며 이런 결심은 자아가 매 순간 죽는 고난이며 십자가의 길임을 보여주셨다. 루터는 교회의 권력을 시민에게 양도하는 혁명을 일으켰고 내면의 신앙을 국가가 침범하지 않으면 저항하지 않는다는 신앙을 보여주었다. 루터는 신앙공동체를 이루어 혁명을 이룬 존 칼뱅과는 다르게 내면의 신앙을 지키며 내면에 계신 천국을 보여 주었다. 루터와 김흥호는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공통된 신앙을 가졌으나 김흥호는 실천하는 삶을 살았다. 권력을 남용하거 나 부패한 국가에 김흥호가 저항하지 않은 것은 탐욕이 가장 큰 죄라고 그는 보았기 때문이며 그래서 세상의 법으로 인간을 통제하도록 한 것이며 그것이 루터의 입장이다. 김흥호가 한 끼를 실천한 신앙은 말과 행위를 일치한 다석의 신앙을 실천한 제자라는 증거이다. 김흥호는 서양의 기독교를 한국의 문화와 역사 속에 내재화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동서양의 고전에서 찾고 실천하여 동양화한 기독교를 실현했다. 그는 가톨릭의 부패에 저항한 루터의 개신교 정신으로 그리스도의 사 랑과 평화를 실천하기 위하여 타종교를 수용하고 마음속에 있는 천국에서 신앙의 자유를 느끼면서 한국과 동양의 전통을 수용한 참 기독교인이다.
        5,500원
        3.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루터가 종교개혁 시기에 이미지에 관한 어떤 신학과 입장을 갖 고 있었는지를 그가 했던 설교와 강연 그리고 이를 시각화한 예술작품의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중세말의 이미지와 연 관된 여러 폐단 속에서 루터의 이미지에 대한 입장이 어떻게 나타나기 시 작했는지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급진적 우상파괴주의자들과의 논쟁을 통 해 루터가 그의 이미지에 대한 신학을 어떻게 더욱 진전시켰는지 고찰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루터가 루카스 크라나흐라는 화가의 도움으로 어떻게 예술을 통해 자신의 종교개혁의 중심적인 신학과 교리를 신도들에게 알리 고 교육하였는지 고찰하였다. 루터는 중세말의 전례와 미사 혹은 면벌부 등과 관련된 이미지의 폐단 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지만 기본적으로 중세의 이미지에 대한 내재적 신 학에 동의하였다. 또한 중세의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 중 하나였던 신앙고양과 종교 교육적 측면을 수용하였다. 또한 급진적인 종교개혁자들 의 우상파괴주의 정책에 대해서는 이미지의 중립적인 성격을 강조하면서 물질 안에는 영적인 것이 깃들일 수 없다는 급진적 우상파괴주의자들의 초월주의적 관점에 반대하고 내재적인 이미지관을 고수하였다. 또한 이미지 자체는 중립적이나 이미지가 만일 우상이 되었을 경우는 파괴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때에도 신도들이 우상파괴를 직접 행해서는 안 되고 행 정당국이 우상을 제거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종교개혁과 관련된 이미지에 관한 당대의 논쟁들에 직면하여 종교개혁의 리더로서 그의 중심적인 신학과 성경의 해석을 중심 으로 자신의 입장을 밝힌 것이었다. 즉 칭의론을 주장하면서 그는 이미지 에 경배하고 이미지를 그리고 만들도록 후원하고 경배하는 것은 구원을 위 한 사역으로 간주될 수 없다고 보았다. 다만 내재적인 관점에서 물질의 하 나로서의 이미지가 신성이 깃들어 구원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가 능성을 열어두었다. 이러한 그의 이미지에 대한 신학과 태도는 종교개혁을 일으켰던 대다수 의 종교개혁가들이 이미지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던 것과 달리 이미 지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을 우리에게 들려줌으로써 오늘날 개신교의 이미 지에 대한 신학적인 관점을 확립하고 현대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화현상에 대해 유연한 태도로 소통하고 적용하는데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4.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루터가 가르친 인간의 죄에 대한 제어로서 하나님의 숨어계 심의 세 종류를 제시하고, 한국 개신교에 대한 적용점을 살펴보기 위한 것 이다. 루터에게서 하나님은 첫 번째로, 신자에게는 자신을 드러내시지만, 불신자로부터 자신을 숨기신다. 참된 기독교 신자가 되는 길은 성령의 도 우심 가운데 율법과 복음을 바르게 이해하는 데 있다. 두 번째로, 하나님은 영광의 신학자로부터는 자신을 감추시지만, 십자가의 신학자에게는 자신을 드러내신다. 신자는 탐욕을 추구하여 하나님을 우상화 하는 영광의 신학을 버리고, 인간의 죄를 드러내고 극복하게 하는 십자가의 신학을 가질 때 참 된 하나님을 섬길 수 있다. 세 번째로, 하나님은 모든 신자로부터 숨어계신 다. 참된 신자는 숨어계신 하나님의 위엄을 알고, 하나님의 계시하신 뜻을 붙드는 신앙을 가져야 한다.
        5.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dealt with Luther's theological criticism as seen in his 95 Theses in opposition to the indulgences. The cause for the 95 theses was due to the sermon by Tetzel based on archbishop Albrecht's Instructio summaria, acknowledge the bishop's responsibility toward the saints, and demanded the cancelling of the indulgences. Luther received no answer concerning the 95 theses which he privately sent in a letter, consequently he advertised the 95 theses desiring a public debate. In its entirety, the 95 theses include four theological criticisms. First, what is true repentance. Second, to what extent is the authority of the Pope? Third, do the indulgences have the validity of salvation in them? Fourth, do the indulgences even have an influence over purgatory? In the 95 theses, Luther first dealt with the issue of true repentance. True evangelical repentance is not temporary nor expedient but must be emphasized as covering the entire lifetime of a believer. The Pope can only forgive the punishment imposed by the church, and cannot forgive the punishment related to purgatory. Indulgences cannot mediate salvation, nor have any influence on purgatory. Although the 95 theses in its opposition to the indulgences and its interpretation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Protestant Reformation, Luther's Reformation theology has not been specified at this time, therefore the focus of the study has been on Luther's thoughts and church system through the 95 theses.
        6.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ie Leipziger Disputation von 1519 stellt einen Höhepunkt in der frühen Reformationsgeschichte dar. Die Bedeutung der Leipziger Disputation liegt in der heftigen Auseinandersetzung über der kirchlichen Autorität, vor allem den päpstlichen Primat. Diese Arbeit zielt darauf ab, die Leipziger Disputation aus Sicht der Autoritätenfrage zu verstehen und deren reformatorische Bedeutung herauszufinden In der frühen Phase der Reformation ging es um den Autoritätenkonflikt. Zwar begann Luthers Konflikt mit der römischen Kirche, wie 95 Thesen gegen den Ablass von 1517, mit der Ablasskritik, aber dabei ging es wesentlich um die Autoritätenfrage. Das Zentrum der causa Lutheri, die sowohl bei Prierias als auch vor Kardinal Cajetan behandelt worden war, lag in der gültigen Autoritätenfrage. Luther erregte Debatten mit J. Eck über die Autorität von Papst und Konzil und bestreitete diese. Hierbei behauptete Luther, dass der Papst bzw. der Konzil irren könne und kein göttliches Recht behalte. Für Luther ist etwas heilsnotwendiges für die Christen keine kirchliche Instanz wie Papst, sondern nur die Heilige Schrift. Luther hat mit der Autorität der kirchlichen Institutionen auch ihre Lehren und Satzungen sowie kirchliche Traditionen relativiert. In der Leipziger Disputation ging es Luther um die Unterscheidung zwischen Gotteswort und Menschenwort sowie zwischen göttlichem Recht und menschlichem Rec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