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충청남도 천안시의 대표적인 시설작물인 오이는 규모가 대형화 되면서 동일한 장소에서 연작년수가 길어지고, 연중재배의 원인에 의해 토양 내 식물기생선충의 밀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가 가장 크며, 그에 따른 수확량 감소와 품질저하로 인해 경제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천안시에 분포하는 뿌리혹선충의 발생밀도와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6년 6월에서 8월까지 천안시 동남구 일대의 오이 재배지를 대상으로 뿌리 근처의 토양 300g씩을 채취하여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풍세면의 평균 선충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광덕면의 평균 선충밀도가 가장 낮았다. 평균 밀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면의 평균 선충수 모두 그 피해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천안시 오이시설재배지에서 뿌리혹선충 발생 실태를 조사하고, 오이 상품의 고품질화와 경제적 손실을 줄이기 위한 뿌리혹선충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방법 모색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안시 소재 도시공원에 대한 시민들의 다양한 이용행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천안시민 2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거주기간으로는 10년 이상, 거주 유형으로는 아파트 등으로 나타났다.응답자의 공원이용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용빈도는 1년에 2-3회 방문, 이용시간은 1-2시간, 이용계절은 봄과 가을,도보 접근시간은 10분 이내, 차량 접근시간도 10분 이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 이용공원의 종류로는 거주지역주변의 공원, 공원이용 목적에는 산책, 운동, 휴식 등이 높게 나타났다. 여가시간을 보내는 장소로는 집, 백화점, 극장,공원 순으로 나왔으며 천안시민의 부족한 여가공간 실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공원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공원의 개수, 접근거리, 그리고 전체 만족도에서 모두 중간 점수에서 약간 불만족한정도로 기울어진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되는 요인에 대하여는 ‘천안 시내의 공원시설이빈약하다’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의견에서도 ‘시내 중심에 공원을 많이 배치하자’는 항목이 가장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천안시의 공원 이용률을 증대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공원의 배치, 공원 내 환경 개선 등을주요 방향으로 제안하고자 한다.공원이용 만족도의 공간 분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시내지역과 시외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에 대한 만족도를살펴본 결과 공원의 개수, 접근거리, 전체 만족도 등에 있어서 시외지역이 시내지역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내지역에대해서 뿐만 아니라 시외지역에 대한 공원정책을 균등하게 배려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각 지역의 동별로 분포 특성을비교해 본 결과 두정동에서는 도달거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쌍용동에서는 공원에 대한 전체 만족도가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들 수치는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는 주요 평가로 보이며 향후 공원정책을 수립할 때중요한 인자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4.
        200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안시내에 식재된 가로수의 건강도를 진단하기 위하여 몇 가지 생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형성층 전기저항치와 생리적 특성들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은행나무, 벚나무, 버드나무를 대상수종으로 선정하였고. 7월에 대상 수종의 하부 토양을 채취하여 탈수소효소 활성을 분석하였으며, 수관의 잎은 엽록소 함량, 질산환원 효소, 항산화효소(SOD) 활성을 분석하는데 이용하였다. 수목의 형성층 전기전항치는 5월, 7월, 9월에 측정하였다. 토양의 탈수소효소 활성은 도심지역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 토양 오염도를 반영하였으며. 엽록소 함량은 동서대로에 식재된 벚나무가 가장 낮았다. 은행나무의 질산환원효소 활성은 다른 수종보다 높았으며 도심지역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항산화효소인 SOD 활성은 도심에서 낮았다. 동서대로의 벚나무는 형성층 전기저항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활력을 상실하였음을 보여주었다. 형성층 전기저항치는 질산환원효소(r2=-0.566) 및 SOD활성(r2=0.579)과 상관을 보임으로써 수목의 건강도 및 생리적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6.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n analysis were conducted to utilize the thermal infrared image using drone to present the temperature correction method of thermal infrared image and the thermal environment by the type of land cladding. The analysis was applied to the temperature correction of the thermal infrared image and total eight thermal infrared images were produced based on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The thermal infrared image compared accuracy through RMSE calculation. Based on the result of RMSE, the thermal infrared image corrected by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was relatively accurate and contained at 2.26 to 3.58.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aggregation and waters will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green park sufficiently to improve the thermal comfort and improve the microclimate stability using the thermal infrared image and the reclassified land cover map.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by Drone and the usability of the drone thermal infrared image in the detection of the thermal environment. Finall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the thermal environment in the city by being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and management policy of the thermal environment. Moreover, the macro view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itigation of urban temperature reduction and heat island.
        7.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used GIS method for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farmstead location in study area. The present study surveyed the coordinates of location for 76 livestock farmsteads with big size in rural areas within city of Cheonan. Based on the surveyed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cation for the farmsteads by using both new evaluation criteria and their corresponding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layers developed in this research. The criteria consist of six factors, which are 2 geographic factors for slope(SLO) and aspect(ASP) of earth surface, 3 accessability factors for distance from water area(DWA), road(DRO), and built-up area(DBA), including type of landuse(TLA). In the analysis results of six criteria using the grid funcations of GIS, the highest distributed ratios of the farmsteads per criterion were found at the lower slope area less then 2% in SLO, the area with south and south-east direction in ASP, the area with distance between 500m and 1,000m in both DWA and DRO, the area within 500m in DWA, and the paddy and upland area in TLA. As new finding of this study, these analysis results seemed that the farmsteads have been located at the better places with the priority to build and manage conveniently and economically.
        8.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thesis had an aim to help university students act floriculture effectively, and investigated universities' preference of the flower color objectfying 149 students. The three cut flowers in our country were selected, and they are the rose, the carnation, and the chrysanthemum. This thesis inquired of thirty flower gardens about color selection through telephone, and selected the most favored colors of three cut flowers asking the customers. The colors were red, yellow, and pink. This thesis established six polling booths in the lecture room 6.3m wide and 7m long, and put the rose, the carnation, and the chrysanthemum.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olor based on cut flower put in the polling booth 1,2, and 3, this thesis put the common color - red, pink, and yellow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ut flower based on color in the polling booth 4,5,6. Scrutinizing the flower color after experimental study based on cut flower, this thesis found out that in the case of the rose, the most objects(48 persons, p=0.064) of investigation preferred yellow. In the case of chrysanthemum, the most objects(107 persons, p=0.0000) preferred pink. The rose and the chrysanthemum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Scrutinizing the preference of the cut flower based on the color, in the case of red cut flower, the most objects(89 persons, p=0.0000) preferred the rose, and in the case of yellow cut flower, the most objects(52 persons, p=0.0000) preferred the rose. In the case of pink cut flower, the most objects(89 persons, p=0.003) preferred chrysanthemum. All of them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When scrutinizing the tendency based on sex and age, this thesis found out that in the case of flower color, the persons 19~22 years old preferred pink carnation, and the persons 23~29 years old preferred yellow carnation. All of them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0.007) But the tendency based on sex or age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