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 이용자들의 게임몰입을 예측하는데 있어, 개인의 셀프리더십 및 자기효능감 특성에 따른 영 향력을 경로분석을 통하여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240명의 대학생들이 연 구에 참여하였으며 최종 228부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인 자신감은 게임 이용자의 게임몰입에 영향력을 가졌으나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선호는 유의하지 않아 부분적 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개인의 셀프리더십 중 자기비판은 자신감에, 자기설정목표와 자기존중은 모두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높은 수준의 셀프리더십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게임몰입에 부분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게임 이용자가 게임몰입에 어떠한 과정에 의하여 도달하는지를 제안하며,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따른 게임몰입의 긍정적 영향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해기직업에 대한 안정이 없으면 인적요인에 의한 해양안전도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해기직업 진입단계에서 부터 은퇴하기까지 생애에 걸쳐 해기사의 직업경로를 개발함으로써 보다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해기직업 생활과 해양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해기직업 경로모델을 설정하고 해기교육기관 진입자, 해상근무자, 육상근무자 2,8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직업경로에 따른 행동요인 분석 결과, 첫째, 해기교육기관 진입자들에게 교육환경 개선과 해기직업생활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전달하고 둘째, 소득수준과 같은 경제적 요인은 해기직업 진입자에게는 동기요인이 되지 못하며 셋째, 적정 시기에 육상근무를 위한 하선유도가 해기직업의 매력화와 파생적인 장기승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넷째, 해기면허체계를 단순화시켜 조기에 상위면허를 취득함으로써 상위직책에 근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공연구의 산업R&D에 대한 파급경로가 다양하다는 전제하에 우리나라 공공연구(대학 및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의 국내 기업들에 대한 파급경로 및 효과를 실증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공공연구의 다양한 파급경로들(논문, 특허, 보고서, 기술자문, 인력이동, 공동연구, 계약연구, 기술이전/라이선싱 등)을 유형화하고 이를 국내 S기업에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한다. S기업에 대한 사례분석은 S기업 관련분야 근무 경력자에 대한 면담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S기업은 주로 유형C(특히 기술회의와 기술자문/지도)와 유형D(특히 공동연구/계약연구)의 파급경로를 통해서 공공연구로부터 이득을 얻고 있었으며, 유형A(특히 세미나, 인력양성)도 일부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형B(논문, 보고서, 저서, 특허)는 매우 약하게 작동하고 있으며, 유형E(창업, 조인트벤쳐, 라이선싱)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사가 국내 재벌그룹의 계열사로서 대기업이라는 특성에 기인하지만, 공공연구 활용 관련 대기업들의 전반적인 추세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공공연구를 볼 때, 의도적인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이나 기술확산, 공식적인 협동연구에만 초점을 맞추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서, 유형A, 유형B, 유형C에 속하는 다양한 공공연구의 지식전파 경로들을 함께 고려하는 관점에서 관련정책들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이다.
The psychosoci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MSDs) have been one of major health problems for hospital worker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associated with MSDs and risk factors such as working posture, job stress,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A total number of 655 hospital wor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REBA was applied for evaluating working posture and a checklist prepared by KOSHA(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as used for symptom survey. A questionnaire from KOSHA was also used for collecting data associated with job stress,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All these data were formulated and modeled by path analysis which was one of major statistical tools in this study. Specifically, path analysis for the data we collected came up with several major findings. As a result, as for body part(neck), (waist) and (arms) the degree of risk of work posture measured with the use of job stress(KOSS), psycho-social stress(PWI-SF) and REBA is significantly more affected by fatigue than muscular skeletal disease related consciousness symptom. However, regarding bod(wrist), the degree of risk of work posture measured with the use of job stress(KOSS) and REBA is directly affected by muscular skeletal disease related consciousness sympto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clarified the causal relations of the degree of risk of work posture, degree of fatigue, and muscular skeletal disease related consciousness symptoms by each body part measured with the use of work stress(KOSS), psycho-social stress(PWI-SF) and REBA.
본 연구는 흑쌀보리 육성을 위해 Otello, 흰쌀보리 및 늘쌀보리 등 3품종으로 교배하고 계대 육성하여 F7세대의 각 형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7세대에 대한 상관의 정도는 단백질 함량과 β-glucan 함량 간에서, β-glucan 함량과 까락 길이 간에서, β-glucan 함량과 1000립중 간에서, 이삭 길이와 1000립중 간에서 각각 유의하였다. 광의 유전력은 모든 형질에서 0.9292 이상으로 높았다. 경로계수 분석에서 1000립중에 관여하는 직접효과는 단백질 함량, β-glucan 함량, 이삭 길이가 정의 효과를 보였으며, 간접효과도 단백질 함량, β-glucan 함량, 이삭 길이의 관여 조합이 정의 효과를 보였다. 선발지수는 단일형질에서 까락 길이와 단백질 함량이 정으로 높았다. 3개 형질 및 4개 형질의 조합에서는 단백질 함량과 까락 길이의 관여가 모두 정으로 높았다.
The psychosoci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MSDs) have been one of major health problems for hospital worker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associated with MSDs and risk factors such as working posture, job stress,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A total number of 655 hospital wor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REBA was applied for evaluating working posture and a checklist prepared by KOSHA(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as used for symptom survey. A questionnaire from KOSHA was also used for collecting data associated with job stress,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All these data were formulated and modeled by path analysis which was one of major statistical tools in this study. Specifically, path analysis for the data we collected came up with several major findings. The risk scores from working posture based on REBA had indirect effects via fatigue factor(MFS) as well as direct effects on symptom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job stress (KOSS) and psychosocial stress(PWI-SF) had significant effects on symptoms. Specifically, indirect effect of job stress factors via fatigue factors(MFS) had bigger than that of direct effect of job stress on symptom.
The psychosoci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MSDs) have been one of major health problems for hospital worker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associated with MSDs and risk factors such as working posture, job stress,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A total number of 655 hospital wor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REBA was applied for evaluating working posture and a checklist prepared by KOSHA(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as used for symptom survey. A questionnaire from KOSHA was also used for collecting data associated with job stress,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All these data were formulated and modeled by path analysis which was one of major statistical tools in this study. Specifically, path analysis for the data we collected came up with several major findings. The risk scores from working posture based on REBA had indirect effects via fatigue factor(MFS) as well as direct effects on symptom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job stress(KOSS) and psychosocial stress(PWI-SF) had significant effects on symptoms. Specifically, indirect effect of job stress factors via fatigue factors(MFS) had bigger than that of direct effect of job stress on sympto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diseases of shipbuilding workers by considering related factors synthetically. The survey was completed by 1,536 shipbuilding workers and except for poor responses, 1,532 were analyzed.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lifestyle, duration of service, physical and ment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PC+ (a descriptive statistics program) and with AMOS 4.0 (a statistical program for path modeling) to test whether the hypothesized path model fitted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musculoskeletal disease was associated with duration of service (r=-.095), physical stress (r=.077), and mental stress (r=.602). The results of the hypothesized path model satisfied the criteria required in relation to fitting the collected data. Musculoskeletal disease was directly affected by mental stress but not by physical stress, duration of service and life style. Thus, it is suggested that reducing mental stress is a strategy for the prevention for musculoskeletal disea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sensitive indicator of food intake and specific food group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 and to analyze the pathway among factors affecting food intake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aged. 179 people over 50 years old were investigated and all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0.0 package. Food frequency was more sensitive indicator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intake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aged than the numbers of standard amount of food eaten. Consumption of grains and starch, meat, fish, eggs and beans were strongly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 of the aged and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also have relationship with it. Moreover, the more frequent eating the carbohydrate and the protein, the higher the cognitive level of the aged. Age, education period, income, blood pressure, duration after retirement,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and BMI were correlated with food intake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aged. Among them, age and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were most strongly correlated with food intake, and education period with cognitive function of them. This investigation shows that more stable intake of carbohydrate and protein containing foods need to be supplied to low income aged and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of the aged must be emphasized with food intake for better life of the aged.
本 硏究는 거래비용을 적용하여 유통 경로 구조를 분석한 지금까지의 연구와는 다르게 費用 뿐만 아니라 收入의 측면까지 고려하여 기업의 수출 경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는 한국 전자 및 전기 업체의 수출 경로 선택에 거래비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수출량도 수출경로 선택에 영향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통관리 비용이나 거래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수출 경로를 선택하는 것은 아님을 보여 주고 있다. 수출 경험이 쌓일수록 간접 수출에 비해 직접 수출을 선호하는 기업의 비중이 커지나 수출 초기 단계에서 부터 상당수의 기업이 내부 조직을 이용하여 직접 수출 활동을 하고 있어 점진적으로 시장 개입도가 높은 수출 경로를 채택한다고 일반화 하기는 어렵다. 해외시장 지식이 축적됨에 따라 간접 수출이나 중개인을 통한 수출보다는 기업조직을 이용한 수출 방식을 선택할 확율이 커 해외시장 지식을 바탕으로 해외에서의 경제적 기회를 활용할 목적으로 더 높은 시장 개입이 이루어 진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고유 상표로 수출하는 기업은 간접 수출보다는 직접수출을 선호하고 있어 한국 전자 및 전기 업체의 수출경로 결정에 해외시장에서 경제적 수입을 증대시키려는 전략적 의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시사하고 있다.
과육량(果肉量)이 많은 우량(優良) 고추품종(品種) 육종(育種)을 위한 효율적(效率的)인 선발기준(選拔基準)을 마련코자 8개(個) 품종(品種)과 이들을 이면교배(二面交配)하여 얻는 28개(個) 조합(組合)들은 공시(供試)하여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후(果肉厚)(생체(生體)와 건체(乾體)) 및 과육중(果肉重)(생체(生體)와 건체(乾體)) 등(等) 과육구성형질간(果肉構成形質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와 과육중(果肉重)과 종자중(種子重) 및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종자중(種子重)의 비율간(比率間)의 상관정도(相關程度)를 밝히고 과육중(果肉重)(생체(生體)와 건체(乾體))에 대(對)한 경로계수분석(經路係數分析)을 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친(親)에 있어서 과경(果徑)과 생과육후(生果肉厚), 과육중간(果肉中間), 생과육후(生果肉厚)와 과육중간(果肉重間), 그리고 생과육중(生果肉重)과 건과육중간(乾果肉重間)에는 높은 정(正)의 유전(遺傳) 및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이 있었다. 2. 에 있어서 과장(果長)은 건과육후(乾果肉厚)와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과육중(果肉重)과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과경(果徑)과 과육후(果肉厚) 및 과육중간(果肉重間), 과육후(果肉厚)와 과육중간(果肉重間), 그리고 생과육중(生果肉重)과 건과육중간(乾果肉重間)에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3. 과육구성형질(果肉構成形質)에 있어서 과 양친평균간(兩親平均間)에는 유의(有意)한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4. 과육중(果肉重)과 종자중간(種子重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과육중(果肉重)과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종자중(種子重)의 비율간(比率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5.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경로계수분석(經路係數分析) 결과(結果)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후(果肉厚)가 모두 정(正)의 직접결과(直接結果)를 나타내었고 에서 과장(果長)이 직접효과(直接效果)가 가장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