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9

        162.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re are many people who live in rural keep getting away from their town. The reason why become aging and reducing society in Rural is weakness of agricultural competition,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Thereupon, we need counter plans to make boom in exhaustion rural landscape counter plan, losing consciousness of citizenship, over developing from city planners who are giving serious damage to rural landscape. However, there are many promotions going on to cover weakness of rural. In this research, to set up the right view of rural which considered the different cognitions, it is important to derive each preference or non-preference scenery, and countrified or non countrified scenery. From different cognition, finding preserved and improved factors is necessary to preserve, reform, and improve the countryside scenery. Based on this, to investigate natural characters of viewpoint is providing right direction for future rural landscape.
        16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할린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들은 소련시대의 한국어 교육 및 사용 금지 정책을 시작으로 계속해서 한국어 습득의 기회를 박탈당해 왔다. 민족정체성 회복과 한민족 전통, 문화, 언어 교육의 필요성이 논의되면서, 1988년부터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져 왔지만 결과는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할린 한인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준 역사적 배경과 현재 사할린 교육제도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을 살펴보고, 앞으로 사할린에서 한국어 교육이 나아가야 할 교육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할린 지역의 정규, 비정규 교육기관들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을 조사하고, 각종 프로그램 등 한국과 이루어지고 있는 교류 및 지원 현황과 한국어 교육 관련 행사를 소개하였다. 그 결과 사할린 한인들의 정체성 형성을 위해서 가장 우선해야 할 일로 한국어 교육 및 민족교육을 제안하였다. 세계화 추세에 맞추어 세계 한민족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한국과의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며, 한민족 이라는 인식을 더욱 강화시켜야 한다.
        164.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issues on how locality can be revealed through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especially in the local environment. Over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substantial increase in architects and landscape architects working internationally. There are many that believe this may lead to a unifying global brand of design that overlooks the identity and specificity of place. This lead us to think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designers working internationally to understand and create a unique sense of place. Relations between contemporary design trend and local identity will be studied through case studies. Design strategies and languages on revealing locality will be also discussed with the Suncheon Education Culture Center project
        165.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지리산의 역사적 성격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名山文化로서 智異山의 正體性을 조선 초・중기의 문헌사료를 통해서 구명한 것이다. 먼저 명산은 인간 이 인위적으로 창출하고 결정한 의미에 의해서 규정・이해되는 것이다. 그러므 로 명산은 고정되는 경우보다 변화를 겪는 존재로서 사회적 생산물의 성격을 갖고 있어 문화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명산문화는 명산이 의미하는 바의 정체성까지 수렴하는 보다 광의의 의미를 갖고 있다. 조선 초기 지리산은 太祖 李成桂에게 조선 건국과 관련해서 중요한 신성의 장 소이자 그들의 정치적 목적의 정당화를 위한 含意를 지닌 곳이었다. 한편 지리 산의 神聖은 卿·大夫·士・庶人이 숭배 대상으로 하였던 山神으로서 信仰性을 갖 고 있었다. 반면에 왕을 비롯한 위정자에게 지리산의 신성은 명산대천으로서 신성에 정치적 성격을 포함한 이중적 함의를 지녔다. 세종 같은 경우 전통문화 로서 명산대천의 신성을 인정하면서도 惑信하는 신성에 대해서 철저하게 조사 하여 금지하였다. 이처럼 鮮初 지리산의 정체성은 신성에서 신앙성・정치성 등 다양한 함의를 지녔다. 조선 중기 지리산은 지리산권역의 사림들과 수령들에게 仙遊・修養의 공간, 그리고 勳戚政治 개혁을 위한 모색의 공간으로서 의미를 갖게 된다. 이럴 때 馬 崇祖가 지리산 天皇을 숭배하다가 죽임을 당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은 지리산이 신앙으로서 神聖性을 크게 잃어갔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지리산의 정 체성은 조선 중기에 이르러 정치・사회적 함의가 커져갔다. 한편 賊徒 張永己 사 건에서 지리산이 인간의 삶 속으로 급속히 편입되는 사회성을 읽을 수 있다. 이 보다 더 사회성과 정치성을 보여주는 사건이 자칭 의병대장 宋儒眞 사건이다. 16세기 말 지리산은 王朝를 부정하였던 송유진을 따르는 한 무리의 활동 공간 이었다. 이는 그만큼 지리산의 정체성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166.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is a speculation on the thoughts of Wyclif and his early Oxford followers. Wyclif’s reform ideas against the contemporary clerical abuses, culminating the denial of the doctrine of transubstantiation, the support for the royal intervention of church affairs gained support of the temporal rulers and expanded the influence widely at Oxford. His Oxford followers, known as academic Lollards were protagonists of early Wycliffism. Even after a series of condemnation on the ideas of Wyclif which began in 1377 till 1382 when Wyclif resigned from Oxford, his academic followers maintained their identity as church reformers constantly attacking the abuses of the church. But, Archbishop Thomas Arundel’s severe persecution on the Lollards confirm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s in 1407 and 1409 proved a death blow to the academic Lollards. After the rising of sir John Oldcastle, a Lollard knight in 1412, the Oxford Lollards effectively faded out, and there was no more academic and upper class support for the Wycliffism. This broke the connection between academic and popular Lollards, and the so-called popular Lollard movement became more and more sectarian among a section of the artisan class with a considerable doctrinal divergence. The sudden fall of academic Lollard, most of whom recanted and restored their academic positions when facing condemnation tells that the academic Lollards were reform forces within the existing church and social hierarchy, and their reform ideas were principally results of academic speculations even though their assertions at times seemed beyond the acceptable boundary. That is one of the distinctive point with the popular Lollards who became anti-social, constantly denying the existing social order.
        167.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과 대학생 운동선수들의 자아정체성을 같은 연령층의 일반학생들과 비교함으로써 운동선수들의 자아정체성 발달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시도이다. 본 연구에는 총 781명(선수 : 414명, 일반 : 367명)의 피험자가 자아정체성 척도(조학래, 1996)에 응답하였다. 자아정체성 척도는 독특성, 미래계획, 사회성, 자기수용, 자율성, 사회적응력, 가치 등의 7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MANOVA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운동선수들은 일반학생들보다 독특성과 사회적응성에서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선수들은 학교 수준이 높아질수록 독특성, 자율성, 사회적응성 그리고 가치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8.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가상인간인 사이버 캐릭터가 사용자자신의 자아와 정체성과 무관한 존재라고 한다면, 온라인 상에서 통용되는 또 다른 자기자신을 의미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캐릭터는 아바타라고 한다. 온라인에서는 자신의 아바타를 이용 가상공간 속을 살아가고 있다. 심한 중독성과 가상공간 속에서의 아이템이 현실세계로 유입 되는데 따른 문제점을 노출하고는 있지만 온라인속의 아바타는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전이 가지고온 개인의 정체성이 시각화되는데 큰 역할을 하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온라인 게임사이트와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아바타의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공간인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유형의 아바타가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제 더 이상 가상공간은 현실과 다른 세계가 아닌 현실의 일부분이다. 아바타는 현실의 일부분을 대신할 나이기에 보다 구체적인 디자인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