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Photo Scan is the science of making measurements from photographs, especially for recovering the exact positions of surface points. 3D Photo Scan may employ high-speed imaging and remote sensing in order to detect, measure and record complex 2D and 3D fields.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on the facility maintenace through BIM based of RC measurements using advanced 3D photo scan.
This study takes shear wall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s study object,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ucture BIM based on automatic reinforcing bar placement system applying set-based design through the most optimum reinforcing bar placement group that was selected by applying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ethod from design step. For this, the most optimum reinforcing bar placement group was selected by pairwise comparison analysis on complex standard of multiple alternatives. And shear wall automatic reinforcing bar place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which can automatically generate members and arrange reinforcing bar by structure design algorithm and using ope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provided by a BIM software vendor. As a result, the most optimum reinforcing bar placement group of the highest weight, ALT1, was selected and was generated using Tekla Structure program.
Since existing modular construction designs are 2D based, they can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odular buildings built by a dry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objects are assembled and constructed as a uni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IM library information system of modular buildings by utilizing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already in Korea.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3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technology through Web Browser, but there are few actu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th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Platform(SHMP) in order to provide owner the structure defect and deterioration by monitoring the state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Web Browser. To achieve this, This study applies the visualization techniques such as the color, symbol and text in the 3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Thus, the users may be understood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By developing The Monitoring Platform based on the Web Browser, it might be a way that checks user's intuitive grasp of the structural information.
집중호우 등의 빈번한 증가로 인해 수방시설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수방시설 관리를 위해서는 구조물에 대한 정보와 구조물이 위치한 지역의 표고, 경사, 토양분포현황, 수계현황 등의 분석 자료를 구축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구축된 정보를 바탕으로 침수 모의를 통해 재난상황 발생 시 수방시설물의 대피 경로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수방시설물에 저류되는 수자원에 대한 계측데이터를 기반으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과 연계하여 신속한 의사결정이 수반되어야 하며 극한홍수 등의 재해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통로를 설정하여야 한다.본 연구에서는 BIM기술과 연계되는 재해 상황 별 시나리오인 확률강우량의 범위를 지점빈도해석과 지역빈도해석을 통해 극한 홍수가 일어나는 범위를 산정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빈도해석에 의한 확률강우량 추정 방법은 지점빈도해석과 지역빈도해석에 의한 방법으로 확률강우량을 추정한다. 지역빈도해석에 의한 확률강우량 추정은 지점빈도해석을 보완한 방법으로 강우 자료의 기록년이 짧아 지점빈도해석에 의한 불확실성이 커졌을 경우 다수의 강우 관측소로부터 수문학적 동질성이 확보하여 적용한다. 본 연구의 대상 유역은 BIM기술에 활용되는 극한 홍수에 대한 침수 피해가 분석 가능한 의정부시의 홍복저수지와 백석천 및 중랑천 유역을 선정하였고, 재난상황별 극한 홍수의 시나리오를 제시할 수 있는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추정하였다. 대상 유역의 침수 분석은 1차원 홍수침수모형인 “HEC-RAS” 를 이용하여 하천구간별 경계조건에 대한 유량 및 수위값을 산정하였고, 2차 홍수침수모형은 “HYDRO AS_2D”를 이용하였으며 효과적인 침수 모의를 위해 두 모형을 연동하여 모의하였다. 침수모의를 위한 재해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별 강우자료는 기상청 산하의 서울 지점의 강우 관측소를 선정하였으며, BIM기술에 활용할 수 있도록 극한 홍수에 대하여 침수범위를 제시하고자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지역빈도해석과 지점빈도해석에 대하여 적절한 재해 상황별 시나리오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토목 시설물의 유지관리 분야에서 BIM을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표준화 항목과 그 추진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관한 가치사슬과 BIM의 기술적 특성을 분석하여 가치사슬 상에서 최초로 수행되는 손상정보의 기록 방식이 BIM의 정보운용 방식과 매우 유사함을 밝혔다. 또한 시설물 유지관리 가치사슬 단계별로 수행되는 업무에 부합되는 BIM 데이터를 생산하고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화 항목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표준화 항목은 시설물의 전 생애주기에서 공통으로 적용되는 표준과 시설물 유지관리 목적에 맞추어 특화된 표준화 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구분된 항목에 대하여 표준화 추진 시 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을 법령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basic requirements for adopting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technology to CO2 monitoring system of building maintenance. This study is progressed to emphasis to utilize BIM building information to estimate amass of CO2 on the maintenance stage. The main purpose of this monitoring technology suggest the effective use of information which enable to efficient evaluation technology.
This paper presents that acquiring 3D-shape through reverse-engineering of the old facilities using 3D-Scanning method and suggesting means of enhancing old facilities management and replacement time for application of BIM. In the experiment, we use the equipment which is multi-laser 3D-Scanning to calculate the distance from objective to it. And then, we could get 3D-shape data for application of BIM which model more information of building. This BIM is taken advantage of prevention or prediction of risk by current facilitie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s appropriate for the design of modular structures due to their parametric modeling technologies. This paper proposed the parametric models of modular bridge piers with multiple concrete filled steel tubes. Knowledge obtained from research works including design and fabrication was embedded in the 3D information models.
Recently, in the field of design and construction, the use of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y using BIM design has been increasing.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its library for efficient design. In particular, the library totally lacks vibration control system for special elements. In this stud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vibration control system, it has been created a library of out-of-plan buckling resistance steel damper using custom component. Further more, the developed system and its properties were defined by the design module.
The importance of facility management has been increased. Management scheme is mainly for organizing the reports which in the form of electrical file, and provides an information service using facility management database. However, current system is not sufficient to interconnect the physical model with semantic information, also the consistency of data is not guarante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ased facility management scheme to overcome this drawback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briefly introduce the concept of BIM and major issues to develop the system.
본 연구에서는 3차원 BIM 기술을 활용한 수방시설의 능동형 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수방시설 BIM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능동형 재난관리체계는 재해예측 모듈과 재해 시뮬레이션 모듈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모듈들은 재난상황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통해 구현된다. 이러한 모듈들이 효율적으로 업무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BIM 모델들은 추후 기술융합을 통해 통합방재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상홍수나 기후변화로 인하여 국내에서도 댐이나 대용량저수지에 비상대처계획을 법령으로 지정하여 필수적으로 수립하게 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정보의 특성상 일반 시민이나 수방시설물 운영자에게 접근성이 떨어지며,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하여도 가시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소방방재청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단 과제의 일환으로 3차원 BIM 기술을 활용한 수방시설의 능동형 재난관리체계를 구축 사업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까지 의정부시의 pilot test 지역을 대상으로 수리·수문학적 홍수량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강우 사상의 발생과 저수지 붕괴 시의 피해예상범위를 예측하였다. 또한 연구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BIM 기술과 연계하기 위하여, 수방시설에 적용되는 정보항목들을 분류하고 표준화 기술 연구를 수행중이다. 또한 BIM 기반으로 지형을 모델링 하여 가시성을 높이고 있으며, 재난상황 발생 시 대피 시뮬레이션을 적용함으로서 본 과제를 수행중이다.